[임상운동학] Mobilization(관절 가동기법) & Manipulation(도수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상운동학] Mobilization(관절 가동기법) & Manipulation(도수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Mobilization(관절 가동기법)
1. 관절가동기법 정의
2. 관절가동 기법 목적
3. 관절가동 기법 기본적 내용
1) 관절의 자세
(1) 관절의 모양
(2) 안정자세
(3) 잠김자세
2) 관절내 운동
(1) 관절낭내 일어나는 운동 종류
(2) 관절 기능부전
3) 관절 운동의 검사(Testing of Joint Movement)
(1) 운동의 질(Quality of movement)
(2) 운동의 양(Quantity of movement)
(3) 감소된 미끄러짐 운동의 방향(Direction of decreased joint gliding)
4) 관절의 볼록-오목 법칙(Convex-Concave Rule)
(1) 이론 설명
(2) 치료 적용
5) 관절가동 등급(Grades of Joint Mobilization)
6) 관절가동 기법의 적용(Application of Joint Mobilization)



◈ Manipulation(도수치료)
1. 정의
2. 기전
3. 치료방법
4. 적응증
5. 금기증
6. 합벙증
CF. 도수정복

본문내용

이라고도 한다.
③ 관절낭 내에서 가장 큰 공간과 가장 많은 활액을 축적할 수 있다.
④ 관절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석고 고정이나 부목으로 장기간 고정할 때 이 자세로 놓는다.
⑤ 관절내 운동의 평가 및 관절 가동 기법을 적용한다.
(3) 잠김 자세(Close-packed position)
① 정의 : 관절 주위 조직(관절낭, 인대)이 가능한 가장 단단하거나 최대로 팽팽한 관절의 자세를 의미한다.
② 관절내 운동이나 관절 가동 기법을 적절히 수행할 수 없다.
③ 고정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한다.
[2] 관절내 운동(Joint Play)
(1) 관절낭내 일어나는 운동 종류
① 구름(rolling), 미끄러짐(gliding, sliding), 회선(spinning)
; 수동 관절운동을 검사시 사용되어 진다.
② 병진 미끄러짐(translatoric gliding), 견인(destraction)
; 관절 기능부전을 치료할 때 사용되어 진다.
③ 압박(compression)
; 검사에 이용된다.
[용어설명]
* 병진 미끄러짐(traslatoric gliding)
; 수동운동으로 치료면(오목 관절면)에 평행하게 수행되는 운동
* 견인(traction)
; 치료면에서 직각으로 멀어지는 운동
* 압박(compression)
; 치료면을 향해 직각으로 가까워지는 운동
(2) 관절 기능부전
생리적인 골운동을 할때 관절낭 내에서 운동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3] 관절 운동의 검사(Testing of Joint Movement)
관절 운동 검사 시, 끝느낌(End-Feel)과 운동의 양과 질이 결정된다.
(1) 운동의 질(Quality of movement)
운동의 질을 알고 느끼는 능력은 끝느낌을 알아야 한다.
- 끝느낌의 종류
① 부드러운 끝느낌(Soft end-feel) ; 연부조직이 맞닿았을 때
② 단단한 끝느낌(firm end-feel) ; 관절낭이나 인대 조직이 신장될 때
③ 뼈나 연골 맞닿는 끝느낌(hard end-feel)
(2) 운동의 양(Quantity of movement)
* 해부학인 뼈의 운동 각도로
① 중립 0°자세에서 각도계로 측정하여 좌우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것
② 각도계로 측정하기 불가능한 작은 운동범위의 관절내 운동이 있다.
* 도수적 등급으로 0~6단계로 나뉘어 측정된다.
- 저가동성(hypomobility)일때
; 관절가동기법으로 치료
- 과가동성(hypermobility)일때
; 테이프 고정, 근력 강화 등의 안정화(stabilization)방법으로 치료
(3) 감소된 미끄러짐 운동의 방향(Direction of decreased joint gliding)
* 감소된 미끄러짐 운동의 방향의 검사로 볼록 관절면과 아니면 오목 관절면과 연관 되는지를 알아낼수 있고, 감소된 관절 미끄러짐 운동의 방향은 볼록-오목 법칙을 적용하여 추론한다.
* 관절의 미끄러짐 운동의 방향을 알수 있는 방법
① 직접적 방법(미끄러짐 운동을 검사하는 것)
; 수동 병진 미끄러짐 운동은 제한된 관절 미끄러짐 방향을 직접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모든 가능한 방향으로 수행한다.
② 간접적인 방법( 능동-수동 생리적 운동으로 검사해 미끄러짐 운동 감소 결정하는 것)
; 치료사가 능동-수동 생리적 운동을 검사하고 어떤 운동이 감소 되었는지를 결정한다.
[4] 관절의 볼록-오목 법칙(Convex-Concave Rule)
(1) 이론 설명
관절을 생리학적 운동인 능동이나 수동으로 움직일 때
① 움직이는 뼈의 관절면이 볼록(convex)한 경우
움직이는 뼈의 관절면이 볼록(convex)한 경우는 상대하는 관절면 보다 크기 때문에 그 뼈의 움직이는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