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퇴원위단이 상슬개낭으로 뚫고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골절시 혈관 또는 신경손상을 동반하는 수 가있으며 혈관 손상시에는 슬와 부위의 종창과 하지의 창백, 무맥(pulseless)등이 나타나며 이때는 외과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치료 및 예후 : 과상골절에 있어서는 비관혈적 방법과 관혈적 방법이 있으며, 골절주위의 피부나 연부조직의 손상이 심하고 창상의 염증증상이 있을때는 비관혈적 견인방법이 좋다. 개방성골절시에는 debridement과 일치봉합술로 치료한후 견인치료를 시행하여 창상이 치료되고 염증의 우려가 없을시에 내고정을 시행하거나 또는 계속 견인치료를 시행한다. 골절후 비정상적으로 슬와부의 종창이 있을시는 혈관손상을 의심하며 이때는 혈관 촬영을 시향하여 동맥의 손상이 확실한 경우는 즉시 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그로므로 골절후 약2~3일간 족부의 혈액순환 상태를 주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상골절시 신경손상은 대개 신장형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수상후 약3~4개월 경과후 그기능이 회복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깊은 관찰을 요한다.
대퇴과간(intercondylar of femur) 골절
분류 : 대퇴과간골절은 흔히 골절선이 사선 또는 분쇄골절이 많으며 때로는 골절선이 슬관절내로 연결되므로 여러모양의 골절로 나타난다. 이러한모양의 골절을 T자골절 또는 Y자골절 이라부르며 임상적으로 Neer씨분류 방법이 가장 잘 이용된다.
치료 : 환자의 연령, 골절형태, 골절주위의 연부조직 손상 정도 등에따라 치료방법이 결정된다. 흔히는 전위된 골절도 경골 근위부에 핀을 박고 골견인 치료를 시행하므로 만족하게 정복되는 수가 있다. 처음에 과상골절이나 과간골절의 환자는 경골 근위부에 핀을 고정한후 골견인 치료를 하면서 하지에 혈액순환 상태를 계속적으로 주시하면서 처음 견인 무게는 7~9kg으로 시작하여 견인각이나 무게를 조절하녀 주기적인 견인하에 방사선 촬영이 필요하다. 골절부위에 신생골이 형성될때까지 견인으로 정복을 유지하며 견인무게는 이 시기에 점차 감소시킬수 있다. 수술적내고정술은 어려운 골절치료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40세 미만의 환자로 골절부위에 연부조직 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는 수술적 정복술이 만족한 결과를 얻을수 있을것이다. 그러나 수술적 정복술은 연부조직의 추가적 손상이 불가피하므로 광범위한 연부조직의 손상을 주는 단점이 있으나 골절의 골편을 정확하게 해부학적 위치를 정복하며 골절부위의 압박고정
치료 및 예후 : 과상골절에 있어서는 비관혈적 방법과 관혈적 방법이 있으며, 골절주위의 피부나 연부조직의 손상이 심하고 창상의 염증증상이 있을때는 비관혈적 견인방법이 좋다. 개방성골절시에는 debridement과 일치봉합술로 치료한후 견인치료를 시행하여 창상이 치료되고 염증의 우려가 없을시에 내고정을 시행하거나 또는 계속 견인치료를 시행한다. 골절후 비정상적으로 슬와부의 종창이 있을시는 혈관손상을 의심하며 이때는 혈관 촬영을 시향하여 동맥의 손상이 확실한 경우는 즉시 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그로므로 골절후 약2~3일간 족부의 혈액순환 상태를 주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상골절시 신경손상은 대개 신장형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수상후 약3~4개월 경과후 그기능이 회복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깊은 관찰을 요한다.
대퇴과간(intercondylar of femur) 골절
분류 : 대퇴과간골절은 흔히 골절선이 사선 또는 분쇄골절이 많으며 때로는 골절선이 슬관절내로 연결되므로 여러모양의 골절로 나타난다. 이러한모양의 골절을 T자골절 또는 Y자골절 이라부르며 임상적으로 Neer씨분류 방법이 가장 잘 이용된다.
치료 : 환자의 연령, 골절형태, 골절주위의 연부조직 손상 정도 등에따라 치료방법이 결정된다. 흔히는 전위된 골절도 경골 근위부에 핀을 박고 골견인 치료를 시행하므로 만족하게 정복되는 수가 있다. 처음에 과상골절이나 과간골절의 환자는 경골 근위부에 핀을 고정한후 골견인 치료를 하면서 하지에 혈액순환 상태를 계속적으로 주시하면서 처음 견인 무게는 7~9kg으로 시작하여 견인각이나 무게를 조절하녀 주기적인 견인하에 방사선 촬영이 필요하다. 골절부위에 신생골이 형성될때까지 견인으로 정복을 유지하며 견인무게는 이 시기에 점차 감소시킬수 있다. 수술적내고정술은 어려운 골절치료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40세 미만의 환자로 골절부위에 연부조직 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는 수술적 정복술이 만족한 결과를 얻을수 있을것이다. 그러나 수술적 정복술은 연부조직의 추가적 손상이 불가피하므로 광범위한 연부조직의 손상을 주는 단점이 있으나 골절의 골편을 정확하게 해부학적 위치를 정복하며 골절부위의 압박고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