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관계 통합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관계 통합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관계 통합자료

본문내용

유형의 스트레스 원
내적 스트레스 원
외적 스트레스원
규범적 스트레스원
비규범적 스트레스원
모호한 스트레스원
확실한 스트레스원
자의적 스트레스원
비자의적 스트레스원
만성적 스트레스원
급성적 스트레스원
누적되는 스트레스원
독립적 스트레스원
3: 가족스트레스 이론
1. ABCX model
* Hill(1949)에 의해 제안
* A= 스트레스원; 가족체계에 변화를 가져다 주는 생활사건
* B= 스트레스원을 극복할 수 있는 자원
* C= 스트레스원에 대한 가족원들의 인지 및 평가
* X= 위기상태
☞ ABC가 상호작용하여 X를 유발
2. Double ABCX model
* 매커빈과 패터슨(McCubbin & Patterson, 1983)에 의해 발전
* 위기변수를 추가하여 가족스트레스를 설명
* 가족스트레스는 하나의 스트렛원 보다는 누적된 스트레스원(aA)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음.
3. Contextual model
* Boss에 의해 발전
* 가족은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더 큰 체계의 부부이므로 가족스트레스를 중재하는 두 맥락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
- 외적맥락: 문화적, 역사적, 경제적, 가족발달적, 유전적 체계가 포함
- 내적맥락: 가족의 구조적, 심리적, 철학적 체계가 포함.
정리하기
권력이란: 조직체 내의 다른 사람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개인의 잠재적인 또는 실제적인 능력을 의미하고, 권력을 행사하게 하는 요인은 자원, 상호작용 기술, 결정권이 있다.
스트레스원은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사건으로 12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가족스트레스 이론은 ABCX model, Double ABCX model,Contextual model 이 있다.
가족관계
5주차: 가족의 인간관계
3교시: 갈등과 의사소통
1) 갈등의 개념과 유형
2) 의사소통의 이해
학습목표
1. 갈등의 개념과 갈등이 유발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유형에 대해 알 수 있다.
2. 다양한 관점에서의 의사소통의 개념과 의사소통의 구성요소에 대해 알 수 있다.
학습내용
1. 내적갈등과 외적갈등 상태와 갈등이 나타는 유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
2. 의사소통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3. 의사소통에 있어 절대적 공리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 갈등의 개념과 유형
1. 갈등
* 갈등:
- 내적갈등: 개인의 욕구가 동시에 둘 이상 존재하여 해결에 곤란을 느끼는 상태
- 외적갈등: 개인의 욕구가 다르므로 해서 문제가 발생하는 상태
*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방식이 인격형성에 끼치는 영향을 중요시 한 학자
- Freud: id, ego, super ego 간에 생기는 갈등
- Adler: 열등감과 성취욕 사이의 갈등처리과정에서 적응능력 발달
- Lewin: 생활환경 속에서 욕구를 끌어당기고 밀어내는 힘
2. 갈등의 유형
1) 접근-접근 갈등(approach-approach conflict)
* plus-plus 갈등이라고 함
* 힘이 비슷한 두 개의 유사성을 가진 욕구, 즉 긍정적인 욕구들이 동시에 나타나서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를 때 생기는 갈등
2) 접근-회피 갈등(approach-avoidance conflict)
* plus-minus 갈등이라고 함
* 끌리는 목표와 싫은 목표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생기는 갈등
* 애증의 교차로 나타나기도 함.
2) 회피-회피 갈등(avoidance-avoidance conflict)
* minus-minus 갈등이라고 함
* 두 개의 부정적인 욕구가 동시에 나타나서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경우.
2: 의사소통의 이해
1. 의사소통의 정의
* 의사소통: 라틴어의 communis(공유) or communicare(공동체, 공통성을 이룬다)라는 com, 개념을 전제.
* 의사소통에 대한 정의
- 구조적관점, 기능적관점, 의도적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음.
1) 구조적 관점: 의사소통을 메시지나 정보의 송수신 과정으로 보는 견해
의사소통의 구조를 중요시하며 메시지의 유통과정이나 기술적인 문제에 비중을 둠.
대표학자: 샌본, 세넌, 위버
2) 기능적 관점: 의사소통을 기호를 사용하는 행동 그 자체로 보는 견해
기호화 및 해독과정을 중요시하며, 의사소통의 기능이나 의미상의 문제에 대한 비중을 둠
대표학자: 스티븐스, 반런드, 댄스
3) 의도적 관점: 의사소통을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계획한 행동이라고 보는 견해
의식적인 의도가 있는 행위라는 점을 강조하므로 설득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함
의사소통의 효과에 관한 문제를 중요시함.
대표학자: 호브랜드, 체리, 아이젠슨
* 의사소통이란 유기체들이 기호를 통하여 서로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신해서 서로 공통된 의미를 수립하고, 나아가서는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 및 행동.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 발신자 (메세지를 주는 사람), 정보(메세지), 수신자(메세지를 받는 사람), 상황, 효과로 구분
- 발신자: 행위자를 의미, 개인 또는 집단
- 정보: 발신자가 보내고자 하는 내용으로, 객관적, 사물, 사상, 개념, 감정 등이 해당
- 매체: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 글자, 말, 몸짓
- 수신자: 메시지를 받는 개인이나 집단
- 상황: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시간적, 지리적, 심리사회적 상태로 분위기, 장소, 시간, 송수신자간의 관계,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해당
- 효과: 발신자가 보내는 메시지를 수신자가 받아 나타내는 반응 중 발신자가 의도한 반응만을 효과라고 함.
3. 의사소통의 공리
* 의사소통의 가설적 공리
첫째, 의사소통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둘째, 모든 의사소통에는 내용(content)과 관계(relationship)의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셋째, 의사소통자간의 관계는 계속되는 의사소통에 있어 일단락짓기에 의하여 특정지워진다.
넷째, 사람들은 언어적 형태와 비언어적 형태로 의사소통 한다.
다섯째, 모든 의사소통은 의사소통하는 사람들의 관계에 따라 대칭적 형태이거나 상보적 형태이다.
대칭적 형태(symmeterical pattern)
상보적 형태(complementary pattern)
의사소통자의 행동이 서로 상대방의 행동을 반향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85페이지
  • 등록일2013.09.0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7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