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이해E] 자신의 유형에 속한 책들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읽은 후, 반드시 다음 지시에 따라 과제를 작성. - ≪프로이트의 환자들≫ 김서영 저 (프로네시스, 2010)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의이해E] 자신의 유형에 속한 책들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읽은 후, 반드시 다음 지시에 따라 과제를 작성. - ≪프로이트의 환자들≫ 김서영 저 (프로네시스, 2010)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문 발췌

Ⅲ. 독후감
1. 우리의 삶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 프로이트의 인간적인면모를 부각한 저자의 의도에 관한 소고
3. 프로이트를 지지하는 라캉과 반대하는 융에 대한 설명은 프로이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주었다.

Ⅳ. 결 론

본문내용

을 어루만져서 그들이 다시 세상과 대면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정신분석이다.
대중들에게 익숙한 프로이트는 ‘성 문제’에 집착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하지만 성과 관련된 문제는 억압되어 있는 우리 내부의 단편일 뿐이며, 단지 프로이트 이론의 하나에 불과하다.
그리고 프로이트가 이룩한 정신분석의 토대는 이드, 자아, 초자아로서 불리는 틀을 중심으로 하여 움직인다. 억압되어 있는 것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해소하지 못하게 된다면 우리는 정신적인 문제를 앓게 된다.
정신의 문제는 몸을 통해서 나타나기도 하는데, 팔이나 다리가 갑자기 움직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더불어 억압되어진 사건은 꿈을 통해서 나타나기도 한다. 꿈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도 있고, 반대로 표현이 될 수도 있다.
정확하게 이를 읽어내기 위해서는 앞뒤, 전후 상황에 관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단지 환자가 말하는 증상만을 가지고서는 치료의 과정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 치료를 위하여 환자는 의사에게 모든 것을 털어 놓아야만 하고 그러기 위해서 의사는 환자에게 신뢰를 주어야 한다.
결국, 서로에 대한 믿음이 없다고 한다면 치료는 시작될 수가 없는 것이다.
또한 치료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환자가 스스로 본인을 들여다 볼 수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고, 억압된 원인을 찾아야 한다. 거울을 통해서 자신의 내부를 천천히 들여다보는 것이 우선인 것이다.
‘내 마음 속 진실’과 마주한다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다. 우리는 언제나 바쁘고, 스스로를 들여다 볼 여유가 없다.
삶이 정글 속에서의 여유는 도태를 의미하는 단어가 되어 버렸다.
결국 우리는 스스로를 인식하지도 못한 채 정신질환자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나를 들여다보지 않고, 오직 앞만 보고 달린다는 것은 마음 에 억압된 무엇을 들여다 볼 기회를 스스로 박탈해 버리는 것과 마찬가지다.
진정 나다운 나로 성장을 할 수가 없다. 몇 달에 단 하루만이라도 온전히 나를 위한 시간을 가져보자! 과거의 나를 들여다보고 앞으로의 나를 만들기 위해서...
이렇게 스스로의 내면을 마주하고 앉아서 내 마음속 문제는 없는 지를 들여다보는 것이 정신분석의 시작인 것이다.
스스로 인정을 하는 것만으로 우리의 내면은 억압으로부터 상당부분 해방이 된다. 그 다음에 억압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내면의 진실과 마주할 시간을 먼저 가져야 할 것이다.
2. 프로이트의 인간적인면모를 부각한 저자의 의도에 관한 소고
프로이트에 대한 호감이나 비호감을 떠나서, 그가 남긴 위대한 업적에 대해서 논란의 여지를 보이는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 철학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몇몇은 프로이트가 그저 인간의 모든 것을 성적(sexual)으로 설명하고 풀어나간다고 하며 거북함을 드러내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이전까지 분명히 존재하였지만, 인간이 알지 못했던 것을 처음으로 구체화시킨 일종의 선각자이며, 창조자였다.
그렇지만 프로이트 역시 한계점은 명확하였다.
정신과학이라는 워낙 방대한 학문을 스케치하다보니 색을 어색하게 칠한 부분이나, 묘사를 잘못한 부분들도 많아서 후대의 석학들이 이에 대해서 의문점을 제기하거나 반론을 펼쳐서 그의 이론을 많이 수정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더욱이 프로이트의 초기 이론들은 보다 많은 부분에서 비판을 받았고, 일부는 현재로서는 인정받지 못하는 부분들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정신과학이나 또는 심리학을 배우는 사람들이 프로이트를 배우기를 권유하고, 또 지금도 공부를 하는 것일까?
이것은 단순한 ‘온고이지신’을 실천하고자하는 것이 아니다.
일생을 거치는 동안 프로이트는 수많은 이론들을 제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끊임없이 수정하며, 심지어는 폐기하는 등의 일련의 여과과정을 거쳐 왔기 때문에 그의 삶을 아는 것이 그의 이론의 변화와 흐름들을 알아가는 데에 도움이 된다.
또한 프로이트는 스스로를 분석하기도 하였는데, 그의 생애를 알면, 그 자신의 분석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고, 이러한 생각의 전개를 이해하는 것이 프로이트의 생각과 이론을 조금이나마 올바르게 아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또, 다른 정신과 학문에서 가장 먼저 프로이트에 대해서 배우기를 권유하는 이유는 앞서 말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하여 그가 했던 생각의 사고를 이해해 나가자는 것이다.
비록 이미 오류로 밝혀진 이론들일 지라도 그가 어떻게 그러한 결론을 도출했는지, 사고의 흐름을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1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