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사회환경 1C형] 행동발달에 대한 사회적 학습이론의 입장과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을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C형] 행동발달에 대한 사회적 학습이론의 입장과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을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행동발달에 대한 사회적 학습이론의 입장

2. 반두라(A. Bandura)의 사회적 학습이론
1) 반두라 (Albert Bandura)의 생애
2) 반두라 (Albert Bandura)의 관찰학습 과정
3) 반두라 (Albert Bandura)의 학습이론에 따른 학습원리

3.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
1) 관찰학습
2) 주의집중과정
3) 파지과정
4) 행동생산과정
5) 동기과정
6) 상호 결정주의
7) 행동의 자기조절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순한 모방보다는 훨씬 더 복잡하다. 이론에 가장 가까운 학습이론을 선택한다면 그것은 Smith Tolman(1899-1970)의 이론일 것이다. Tolman은 비록 행동 주의자이지만 그는 행동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신적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Bandura도 마찬가지로 정신적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Tolman의 이론과 Bandura의 이론은 모두 성질상 인지적이며 강화이론이 아니다. Bandura가 보기로는 관찰학습은 언제나 일어나며 “관찰학습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완전하게 발달하고 난 다음이면 본 것을 학습하는 것을 막을수 있는 길이 없다” 또한 Dome Miller와 Toni Dollard의 주장과는 달리 관찰학습은 외현적 반응이나 강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Bandura의 생각이다.
2) 주의집중과정
모델로부터 무엇을 학습하기 전에 우선 모델에 주의집중 해야 한다. 앞에서 주목한 바와 같이 Bandura는 학습이란 연속적 과정이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는 관찰한 것만을 학습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관찰자의 선택적 주의집중은 과거의 강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도한 모델의 여러가지 특징들도 주의집중을 받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과 같은 경우 모델은 주의집중을 보다 많이 받는다.
3) 파지과정 (retentional process)
관찰에서 얻은 정보가 유용하기 위하여서는 그것은 파지되어야 한다. 정보는 심상적인 방법과 어문적인 방법의 두 가지 상징적인 기호로 저장 된다는 것이 Bandura의 주장이다. 심상적으로 저장된 기호는 모델링한 경험의 실제 모습을 저장한 것이며, 이것은 관찰학습이 일어난 뒤 오래지나도 인출되고 행위로 옮겨질 수 있다. 두 번째이며 Bandura가 보다 중요한 종류의 상징화라고 생각하는 것은 것이다. 심상적 기호와 어문적 기호를 별도로 다룰 수도 있지만, 사상이 기억에서 표상될 때에는 이들은 흔히 분리 불가능하다. 일단 정보를 인지적으로 저장하고 나면, 관찰학습이 일어난 뒤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우리는 그것을 내현적으로 인출하고, 시연하고 그리고 강대화시킬 수 있다. 지연무델링이 가능하다는 사실, 즉 관찰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에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은 저장되어 있는 그러한 기호들 때문이다.
4) 행동생산과정
행동생산과정은 학습된 것이 어느 정도 수행으로 번역되느냐를 결정한다. Bandura는 비록 적절한 반응을 하는 데 필요한 신체적 장치는 모두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관찰자의 행동이 모델의 행동과 어울리고 배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인지적 시연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5) 동기과정
Bandura의 이론에서는 강화는 두 가지의 주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관찰자로 하여금 모델과 같이 행동하면 자기도 역시 강화를 받는다는 기대를 가지게 한다. 둘째, 강화는 학습을 수행으로 번역되게 하는 유인의 구실을 한다. 강화가 가지고 있는 이들 두 가지의 기능은 모두 정보적인데, 그 중 하나의 기능은 관찰자에게 어떤 장면에서 어떤 식으로 행위 하면 강화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하고, 다른 하나의 기능은 이미 학습한 것을 활용하려는 동기를 부여한다. Bandura에 의하면, 학습이 일어나는 데는 강화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 경험 또한 불필요하다 관찰자는 단지 남의 행위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도 학습할 수 있으며, 그는 그 정보를 상징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나중에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때 그것을 활용하는 것이다. Bandura는 학습자는 자기 자신의 생동 또는 남들의 행동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정보를 획득한다고 생각한다.
6) 상호 결정주의
사람, 환경 그리고 그 사람의 행동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21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