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 재배 ( 상 추 )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경 재배 ( 상 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1. 서론 .....1p

◇... 2. 연구사 .....1p~3p

◇... 3. 재료 및 방법 .....4p~5P

◇... 4. 결 과 (재배일지) .....6p~9P

◇... 5. 고 찰 .....9p

◇... 6. 적 요 .....10p~11P

◇... 7. 참고문헌 .....11p

본문내용

℃최저온도… 16℃현재온도…18℃)
← 떡잎 전개
(10)月.(29)日. (최고온도… 28℃최저온도…12℃현재온도…15℃)
← 떡잎이 많이 자라 3(매) 정도 가량 됨.
-no.7-
(11)月.(05)日. (최고온도… 28℃최저온도… 10℃현재온도… 1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no. 1~ 18 : 청상추 no.19~27 : 적상추
― 일정한 수심으로 양액 (KNO₃,Ca(NO3)24H2O, MgSO47H2O, NH4H2PO4, 미량 원소) 을 채운 베드에 적당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은 스치로폼 판을 띄워놓고 각각의 구멍에 상추 모를 삽입하여 정식
(11)月.(12)日. (최고온도… 30℃최저온도… 10℃현재온도… 16℃)
― 첫수확
청상추 : 98 g
적상추 : 72 g
(11)月.(19)日. (최고온도… 32℃최저온도… 7℃현재온도… 18℃ )
― 두 번째 수확
청상추 : 102 g
적상추 : 81 g
-no.8-
(11)月.(23)日. (최고온도… 22℃최저온도… 11℃현재온도… 17℃ )
― 배양액 공급
(11)月.(26)日. (최고온도… 20℃최저온도… 10℃현재온도… 19℃ )
― 세 번째 수확
청상추 : 126 g
적상추 : 84 g
(12)月.(03)日. (최고온도… 21℃최저온도… 12℃현재온도… 15℃ )
― 네 번째 수확
청상추 : 104 g
적상추 : 78 g
(12)月.(10)日. (최고온도… 19℃최저온도… 11℃현재온도… 14℃ )
― 마지막 수확
☜ 수확 전
-no.9-
☜ 수확 후
51g (줄기) 81g (줄기)
192g (뿌리) 308g (뿌리)
청치마 : 202g (잎) 적치마 : 152g (잎)
5 . 고 찰
상추 같은 연약한 채소의 수경재배는 연중재배를 하되 작부횟수를 늘려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경영상 유리하다. 그러나 상추는 여름철 고온기 재배시에 팁번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연중재배 체계가 완전히 확립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팁번현상은 기온이 높아서 생육이 빠를 때에 자주 발생하는데 주로 본잎이 10~15매 정도 전개되었을 경우 속잎의 선단부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타는 현상으로 3~4매 정도가 연속적으로 피해를 입고 그후에는 발생을 멈추는 특성이 있다.
대책으로서는 배양액 중의 칼륨, 칼슘, 마그네슘, NO₃- N의 양음이온의 비율을 합리적으로 조성시키는 방법과 차광, 그리고 3~5일에 1회정도 염화칼륨을 엽면 살포하는 방법이 있으나 약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뿐 큰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품종에 따라서도 발생정도가 다른데 일반적으로 포기상추가 치마상추보다 발생이 많고 축적면보다 청축면이 쉽게 발생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추의 연중 수경재배를 위해서는 고온기인 여름철에 팁번현상이 발생치 않고 더위에 견디는 내서성이 강하면서도 추대가 늦은 수경재배 전용 품종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수경재배시 가장 어려운 일이 배양액의 관리이다. 특히 상추와 같은 연약한 채소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배양액을 보충하는 일은 있어도 완전히 갱신하는 일은 드물다. 이 때문에 배양액의
-no.10-
양분균형이 맞지 않게 되어 안전재배와 양질의 상추 생산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따라서 양액재배 농가는 자신이 스스로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pH(산도), EC(전기전도도) 측정기를 준비하여 5~10일 간격으로 주기적인 측정을 할 필요가 있다.
6 . 적 요
ⅰ. 파 종
일반적으로 상토, 훈탄 또는 버미큘라이트를 모판에 담아 줄뿌림한 후 본잎이 2매 정도 나왔을 때 가로×세로 3㎝ 크기의 우레탄스펀지에 옮겨심어 본잎이 3매 정도 전개하였을 때 정식한다. 그러나 상추는 광발아 종자이기 때문에 복토를 깊게하면 발아율이 심하게 떨어지고, 이식할 때 세근의 손상이 많으므로 활착이 지연된다. 따라서 요즘에는 파종용 우레탄스펀지나 암면에 파종하여 본엽이 3~4매 정도 전개하였을 때 정식 함으로써 식상을 줄일 수 있다.
ⅱ. 육 묘
육묘는 작물 재배중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상추의 종자가 발아하여 정상적인 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 범위는 15~20℃이다.
ⅲ. 정 식
일반 상토에 파종하여 육묘한 경우에는 본엽이 3~4매 전개하였을 때 뿌리에 묻은 흙을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잘 씻은 다음 우레탄스펀지에 싸서 정식혈에 꽂는다. 이 때 상추 잎의 밑부분이 스펀지에 싸이면 배양액이 스며 올라와 잎이 썩는 경우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ⅳ. 양액 관리
가) pH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의 pH는 6 내외이다. 그러나 작물을 재배하다 보면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나) 농도
상추의 경우 재배기간이 25~30일 정도 밖에 안되므로 추비 없이도 재배할 수 있으나 잎상추의 경우는 재배기간이 길기 때문에 몇차례 웃거름을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웃거름은 줄어든 배양액의 양만큼 물을 공급하고 그 물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료를 공급하면 되지만 양액의 농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배양액의 완전 교체는 웃거름을 3~4회 주었거나 산도의 변동이 심하여 산이나 알칼리성 시약으로 조정을 해도 다시 변할 경우에만 행한다.
-no.11-
다) 온도
배양액의 온도는 20~25℃ 범위가 적당하다. 그러나 여름에는 액온이 높아지고, 겨울에는 낮아지므로 이의 조절이 필요하다.
라) 용존산소
원예작물이 최소한의 생육을 유지하려면 배양액중에 적어도 5ppm 정도의 산소가 녹아 있어야 하는데, 정상적으로 자라려면 그보다 높아야 한다.
ⅴ. 수 확
상추는 정식후 25~30일경부터 수확이 가능
7 . 참 고 문 헌
♣ 농업기술지 92. 11월호. 농촌진흥청
♣ 표준영농교본 - 71, 농촌진흥청
♣ 이경희, 수경재배기술, 대학서림
♣ 김광용. 박상근 공저, 수경재배, 오성출판사
♣ 서울종묘기술연구소, 채소재배기술
♣ 충남농업진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