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치료 이론
3. 증상
4. 원인
5. 이유없는 분노 무감각한 폭력 ‘반사회적 인격 장애’
6. 진단
7. 특징
8. 치료 및 대안 방법
9.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궁금증
10. 나의 의견
11. 결론
▶ 참고문헌
2.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치료 이론
3. 증상
4. 원인
5. 이유없는 분노 무감각한 폭력 ‘반사회적 인격 장애’
6. 진단
7. 특징
8. 치료 및 대안 방법
9.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궁금증
10. 나의 의견
11.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부치료 (7) 약물치료 반사회성 성격장애 자체에 해당하는 적합한 약물치료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8) 통합적인 치료 접근
3. 증상
이들은 겉보기엔 똑똑해 보이고 말도 합리적이지만 신의가 없고 성실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반사회적인 행동의 동기가 모호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들은 자기중심적이고 자기애적이며, 가끔 남을 위하는 체 하지만 깊은 정서관계는 갖지 않는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청소년 비행, 무단결석, 규칙위반, 거짓말 등 반사회적인 행동을 보여 왔으며 성장하면서 직업적인 실패, 범법행위, 무책임한 가정생활, 폭력행위, 성적인 문란, 채무 불이행, 무모한 행동 등을 보인다. 불안해하거나 우울해야 할 상황에 처했을 때도 전혀 불안이나 우울을 나타내지 않으며 남성에서 흔히 몸의 문신과 자해의 흉터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폭력배\'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생각하면 반사회적 인격 장애가 어떤 형태의 인격의 문제인지 쉽게 이해하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잠시도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 흔히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갖은 사람은 사회, 경제적 신분이 낮은 사람들로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지 않은 경우들도 많이 있다. 그 전모가 드러나기 전까지 화려하고 매력적이며, 확신에 차 보이는 사회적 지도층들도 반사회적 인격 장애에 속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반사회적 인격 장애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시적으로는 매력적이고 타인을 조종할 수 있을 만큼 유혹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일단 그들이 본색을 드러내면 그 매력은 사라지고 만다. 겉보기에는 남의 기분을 잘 알아주는 것 같고 현명해 보이는 경우가 많고 지능도 정상인 편이고, 말도 합리적으로 정신병적 사고를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인상과는 달리 신의 성실성이 없고, 거짓이 가득찬 내면이 인격을 바탕하고 있다. 또한 책망 시 핑계와 거짓말로 모면하고 잘못했다는 느낌을 갖지 않으며 반사회적 행동의 동기가 매우 모호하다. 극도의 자기 중심성, 대인관계형성 능력 부재, 정서관계의 부재를 가지고 있고 학령기 혹은 늦어도 사춘기 초반에서부터 증상이 나타나며 중년 혹은 평생 지속되어 행동양상이 나이에 따라 변화되어진다는 것이다.
1) 학년기 및 사춘기 초기의 증상
훔치는 행동, 제멋대로의 행동, 학교에 가지 않는 일, 가출, 충동성 행동, 책임감 결여, 야뇨증, 죄책감 결여, 성범죄, 성도착, 병적 거짓말, 등이 있다.
2) 성인의 증상
직업적응장애(직업을 자주 바꾸고 실직이 잦고 직장에서도 상관과 동료와의 관계유지에 어려움을 격음)와 경제적으로 독립을 못하고 가족과 친지들의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결혼 생활의 어려움과 성적 문란, 술과 약물의 상습적인 복용이 있다.
3) 예후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 중에서 불안이나 우울증이 있는 경우는 치료에 잘 반응하고 예후가 좋을 수 있다. 우울이 있는 경우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자책을 할 수 있다는것을 의미하고, 불안이 있는 것은 자신의 행동을 걱정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속된 일이 있거나 반복적인 거짓말을 하는 경우 등은 예후가 좋지 않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는 지속적인 장기 입원을 통해서만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치료에는 잘 통제되는 환경이 도움이 된다. 집단의 질서를 파괴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히 제제한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들을 대하는 사람들은 마음속에 환자에 대한 불신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불신에 대한 부정이 나타나 환자가 생각보다 나쁘지는 않다는 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환자를 대하는 사람들이 환자를 돕고 있다는 생각에 불법적이거나 윤리적이지 못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유혹당하여 환자와 성관계를 하기도 한다. 반사회적 인격장애 환자들은 눈물이나 슬픔 등으로 상대방이 자신에게 공감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반사회적 환자들을 대할 때에는 그들의 잘못된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서 그것이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 계속해서 말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이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충동과 행동 사이에 생각을 개입 시키도록 한다. 자신이 충동적으로 행동했을 때 어떤 결과가 될까 생각해보도록 유도한다
4. 원인
1) 유전적 요인
로빈스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병질 이나 알콜중독인 아버지를 가진 경우에서는 이 아이가 실제로 아버지 밑에서 성장했건 안했건 상관없이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되기 쉽다고 하였다.
그 밖에도 기질적 근거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동기에서 볼 수 있는 과잉행동이나 가벼운 신경학적 이상이 성장 후에 반사회적 인격장애와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대뇌피질의 각성수준의 저하나, 억제기능을 하는 불안수준의 저하 등도 충동적 감각 추구 행동의 원인이라는 가설도 있다고 본다. 유전적 요인으로 특히 쌍둥이 연구가 주목된다. A집단(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특히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의 가족에 정신분열증이 많다. B집단(히스테리성, 자기애적, 반사회적, 경계형)의 가족 중에는 반사회적 인격장애와 알코올리즘이 많고, 특히 경계형 인격장애의 가족에 기분장애가 많다. 또한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는 신체화장애와 관련이 높다. C집단(강박성, 의존성, 회피성)중, 강박성향은 일란성 쌍둥이간의 일치율이 이란성 때보다 높고 특히 우울과 관련이 있다. 회피성 인격장애는 불안성향이 높다. 어릴 때부터의 기질temperament도 성인의 인격장애와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어려서 공포심이 많았던 사람은 회피성 인격을 가질 수 있고, 어려서 경한 신경학적 증후가 있던 사람은 나중 반사회적 및 경계성 인격장애가 되기 쉽다.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남녀의 비율은 4 : 1 에서무터 20 : 1에 이르는 정도로 남자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이것은 사회화에서 문화적 영향의 중요성을 암시해 주는 것이다. 또한 남자와 여자가 유전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볼 수도 잇다.
남자들 중에서도 젊은 연력의 남자들이 범죄를 저지른다. 범죄의 2/3 정도가 12세에서 28세에 분포하고 있다.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은 대부분 중배엽형이며, 근육질에다 운동선수 체
3. 증상
이들은 겉보기엔 똑똑해 보이고 말도 합리적이지만 신의가 없고 성실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반사회적인 행동의 동기가 모호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들은 자기중심적이고 자기애적이며, 가끔 남을 위하는 체 하지만 깊은 정서관계는 갖지 않는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청소년 비행, 무단결석, 규칙위반, 거짓말 등 반사회적인 행동을 보여 왔으며 성장하면서 직업적인 실패, 범법행위, 무책임한 가정생활, 폭력행위, 성적인 문란, 채무 불이행, 무모한 행동 등을 보인다. 불안해하거나 우울해야 할 상황에 처했을 때도 전혀 불안이나 우울을 나타내지 않으며 남성에서 흔히 몸의 문신과 자해의 흉터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폭력배\'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생각하면 반사회적 인격 장애가 어떤 형태의 인격의 문제인지 쉽게 이해하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잠시도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 흔히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갖은 사람은 사회, 경제적 신분이 낮은 사람들로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지 않은 경우들도 많이 있다. 그 전모가 드러나기 전까지 화려하고 매력적이며, 확신에 차 보이는 사회적 지도층들도 반사회적 인격 장애에 속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반사회적 인격 장애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시적으로는 매력적이고 타인을 조종할 수 있을 만큼 유혹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일단 그들이 본색을 드러내면 그 매력은 사라지고 만다. 겉보기에는 남의 기분을 잘 알아주는 것 같고 현명해 보이는 경우가 많고 지능도 정상인 편이고, 말도 합리적으로 정신병적 사고를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인상과는 달리 신의 성실성이 없고, 거짓이 가득찬 내면이 인격을 바탕하고 있다. 또한 책망 시 핑계와 거짓말로 모면하고 잘못했다는 느낌을 갖지 않으며 반사회적 행동의 동기가 매우 모호하다. 극도의 자기 중심성, 대인관계형성 능력 부재, 정서관계의 부재를 가지고 있고 학령기 혹은 늦어도 사춘기 초반에서부터 증상이 나타나며 중년 혹은 평생 지속되어 행동양상이 나이에 따라 변화되어진다는 것이다.
1) 학년기 및 사춘기 초기의 증상
훔치는 행동, 제멋대로의 행동, 학교에 가지 않는 일, 가출, 충동성 행동, 책임감 결여, 야뇨증, 죄책감 결여, 성범죄, 성도착, 병적 거짓말, 등이 있다.
2) 성인의 증상
직업적응장애(직업을 자주 바꾸고 실직이 잦고 직장에서도 상관과 동료와의 관계유지에 어려움을 격음)와 경제적으로 독립을 못하고 가족과 친지들의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결혼 생활의 어려움과 성적 문란, 술과 약물의 상습적인 복용이 있다.
3) 예후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 중에서 불안이나 우울증이 있는 경우는 치료에 잘 반응하고 예후가 좋을 수 있다. 우울이 있는 경우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자책을 할 수 있다는것을 의미하고, 불안이 있는 것은 자신의 행동을 걱정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속된 일이 있거나 반복적인 거짓말을 하는 경우 등은 예후가 좋지 않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는 지속적인 장기 입원을 통해서만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치료에는 잘 통제되는 환경이 도움이 된다. 집단의 질서를 파괴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히 제제한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들을 대하는 사람들은 마음속에 환자에 대한 불신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불신에 대한 부정이 나타나 환자가 생각보다 나쁘지는 않다는 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환자를 대하는 사람들이 환자를 돕고 있다는 생각에 불법적이거나 윤리적이지 못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유혹당하여 환자와 성관계를 하기도 한다. 반사회적 인격장애 환자들은 눈물이나 슬픔 등으로 상대방이 자신에게 공감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반사회적 환자들을 대할 때에는 그들의 잘못된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서 그것이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 계속해서 말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이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충동과 행동 사이에 생각을 개입 시키도록 한다. 자신이 충동적으로 행동했을 때 어떤 결과가 될까 생각해보도록 유도한다
4. 원인
1) 유전적 요인
로빈스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병질 이나 알콜중독인 아버지를 가진 경우에서는 이 아이가 실제로 아버지 밑에서 성장했건 안했건 상관없이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되기 쉽다고 하였다.
그 밖에도 기질적 근거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동기에서 볼 수 있는 과잉행동이나 가벼운 신경학적 이상이 성장 후에 반사회적 인격장애와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대뇌피질의 각성수준의 저하나, 억제기능을 하는 불안수준의 저하 등도 충동적 감각 추구 행동의 원인이라는 가설도 있다고 본다. 유전적 요인으로 특히 쌍둥이 연구가 주목된다. A집단(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특히 분열형 인격장애 환자의 가족에 정신분열증이 많다. B집단(히스테리성, 자기애적, 반사회적, 경계형)의 가족 중에는 반사회적 인격장애와 알코올리즘이 많고, 특히 경계형 인격장애의 가족에 기분장애가 많다. 또한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는 신체화장애와 관련이 높다. C집단(강박성, 의존성, 회피성)중, 강박성향은 일란성 쌍둥이간의 일치율이 이란성 때보다 높고 특히 우울과 관련이 있다. 회피성 인격장애는 불안성향이 높다. 어릴 때부터의 기질temperament도 성인의 인격장애와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어려서 공포심이 많았던 사람은 회피성 인격을 가질 수 있고, 어려서 경한 신경학적 증후가 있던 사람은 나중 반사회적 및 경계성 인격장애가 되기 쉽다.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남녀의 비율은 4 : 1 에서무터 20 : 1에 이르는 정도로 남자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이것은 사회화에서 문화적 영향의 중요성을 암시해 주는 것이다. 또한 남자와 여자가 유전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볼 수도 잇다.
남자들 중에서도 젊은 연력의 남자들이 범죄를 저지른다. 범죄의 2/3 정도가 12세에서 28세에 분포하고 있다.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은 대부분 중배엽형이며, 근육질에다 운동선수 체
추천자료
[정신병]Good Will Hunting을 보고 정신 질환적 분석 (경계선 성격장애)
[경계선성격장애]가정폭력과 학교폭력의 관련성 및 가정폭력경험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수동공격적 성격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강박장애(강박성성격장애)
심리적 장애 분류체계 OAM-IV에 의하면 성격장애는 A,B,C의 세 군집으로 분류되고 10가지 하...
심리치료,성격장애,사이코,영화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
성격장애 정신과 케이스
[현대사회와 심리학] 영화 혹은 드라마에서 보이는 부적응적 인간관계와 성격장애
[미술치료] 아동기의 정신병리 - 기질연구, 애착연구, 소아와 청소년 우울증, 자폐증, 학습부...
[성격의 정상과 비정상] 성격장애(정신병리)에 대한 이해
[심리장애] 심리장애의 유형(성격장애, 발달관련장애, 성관련장애)
[노년기 정신장애] 노년기의 심리적 부적응(노년기 불안장애, 정신분열증, 우울증, 성격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