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리더쉽 사례연구
1) 잭 웰치의 리더쉽
(1) GE에서의 잭 웰치의 업적과 GE방식
(2) 잭웰치 리더쉽의 특성
(3) 평 가
2) 히딩크의 리더쉽
(1) 월드컵 4강 신화와 히딩크 방식
(2) 히딩크 리더쉽의 성공 요인
(3) 평 가
3) 이순신의 리더쉽
(1) 임진왜란과 이순신의 업적
(2) 리더로서의 특성
(3) 평 가
4) 징기스칸의 리더쉽
(1) 징기스칸의 업적.
(2) 징기스칸 리더쉽의 특성
(3) 평 가
Ⅲ.사례를 통해 본 리더들의 특성
Ⅳ. 부록.
Ⅴ. 결론
참고 자료 & 사이트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리더쉽 사례연구
1) 잭 웰치의 리더쉽
(1) GE에서의 잭 웰치의 업적과 GE방식
(2) 잭웰치 리더쉽의 특성
(3) 평 가
2) 히딩크의 리더쉽
(1) 월드컵 4강 신화와 히딩크 방식
(2) 히딩크 리더쉽의 성공 요인
(3) 평 가
3) 이순신의 리더쉽
(1) 임진왜란과 이순신의 업적
(2) 리더로서의 특성
(3) 평 가
4) 징기스칸의 리더쉽
(1) 징기스칸의 업적.
(2) 징기스칸 리더쉽의 특성
(3) 평 가
Ⅲ.사례를 통해 본 리더들의 특성
Ⅳ. 부록.
Ⅴ. 결론
참고 자료 & 사이트
본문내용
야 징기스칸이 단순한 정복자가 아님이 알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당시 몽골은 문자가 없었다. 그래서 징기스칸은 글을 몰랐다. 따라서 징기스칸의 기록은 위 구르(Ug-urs), 중국, 페르시아, 아르메니아 등의 역사 문서와 유럽인 여행자들의 기록에 드문드문 기재되어 있었다. 이렇게 기록을 남긴 사람들은 모두 징키스칸의 반대편 사람들이어서 징기스칸을 침략자로 보고 기록하여 살육과 약탈을 일삼는 잔인한 정복자로 기록에 남기고 있다.
하지만 전쟁을 치르면서 그가 한 전략 및 리더쉽들은 충분히 현 시대에도 귀감이 될 만 한 가치가 있다.
그저 무자비한 정복자가 아닌 상당히 개방적이고 트인 사고를 가진 리더였다.
호자름 전투에서 이슬람교장로, 성직자, 법률박사, 법관 등 수천명에 대해 보호령을 내리고 엄중히 지켰다. 그래서 그 지역 통치에 활용했으며 그리고 기술자는 절대로 죽이지 않고 살려주고 활용하도록 했다. http://blog.daum.net/bys8964/5239586 발췌
징기스칸은 기마병의 기동성을 이용한 전략적이고 전술적부대 기동을 완전히 터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부대를 우회 기동으로 적을 각개 격파하여 적의 병력이 집중할 틈을 주지 않고 전장에서의 집결하여 특정 시기에 특정 장소에서 전력의 우위를 확보하였다. 그래서 몽골군은 호라즘전투에서 광정면 기동을 하여 예약된 시기와 장소에 합류한 후 전과 확대를 위해 다시 흩어졌다.
징기스칸은 기동의 이점을 살려 적의 주력이 있는 곳을 우회하여 적의 배후를 공격했다. 그래서 적이 혼란하여 어떤 조치를 취할 틈을 주지 않고 포위 공격하여 섬멸한 것이다. 금나라 공격시 징기스칸은 제베로 하여금 거용관을 배후에서 고역하게 하였으며, 부하라와 사마르칸트도 배후에 갑자기 나타나 적의 허를 찌를 전투였다. 그래서 전략가 리델 하트는 몽골군은 배후 공격을 개척했다고 주장했다.
징기스칸은 몽골군의 광범위한 첩보 조직을 사용하여 철저하게 준비했다. 이 제도는 잠제도로 발전하여 적정보 뿐아니라 자기 부대의 상황을 소상하게 알고 지휘하였다. 다시말 하면 13세기형 Internet 정보망을 활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첩보 조직은 효과적인 정보를 징기스칸에게 제공하는 한편 적 국민들에게 몽골군의 우수성을 선전했기 때문에 몽골군이 접근하기 전에 이미 공포에 질려 있었다.
징기스칸은 사전에 기동할 지역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입수한 후에 통상 3개 종대 대형으로 신속하게 목표 지점으로 진격하되 서로 연락을 취하도록 하여 종대 측면의 안전을 유지하도록 했다. 이러한 신속한 3열 종대형 기동은 적 배후를 찌르는 효과를 얻어 순식간에 적을 무력화하였다.
또한 징기스칸은 몽골군이 기병전에는 능하난 공성전, 보병전, 또는 요새전에 취약함을 알고 현지에서 능력있는 기술자를 우대하여 사용했다. 그는 언제나 새로운 지역에서 기술자를 우대하고 기술자는 죽이지 않고 포로로하여 본국으로 보내거나 현지에서 활용했다. 그러므로 새로운 지역에 적합한 새로운 전술과 무기를 신속하게 배워 활용하였다.
징기스칸은 대상(隊商, 상인)들을 보호하여 오늘날과 같은 유통 체제를 활성화 하도록 했다. 그래서 몽골군이 가는데는 항시 상인들이 들끓었고 몽골군은 그들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었다. 예를 들어 제베와 수부타이가 러시아에 침공하여 러시아연합군을 무찌른 후 크리미아반도에 들어가 제노아상인을 접견한 사실을 참고한다면 징기스칸이 얼마나 상인들을 보호했는가를 알 수 있다. 실제로 서아시아 정보는 상인들에게 들은 것이 많았다.
징기스칸은 글자를 읽을 수 없었으나 현명한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고 바른 판단을 내렸다. 점령지역의 지도자들을 우대하고 그들의 신분을 보호해 주고 그 지역의 종교 활동을 존중해 주었다. 부하라에서는 코란경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여 경청했다. 중국의 도교 철인 장춘(張春)의 말을 경청했다. 야라와치 부자와 야율초재가 파괴보다 행정으로 다스리느 것이 이득이라는 것을 설명하자 바로 그렇게 하도록 조치했다. 그는 결심권자로서 뛰어난 판단력을 지니고 있었다.
징기스칸은 거란인 야율야해에게 공로를 인정하여 만호(뒤에 요왕으로 임명)를 부여했고, 중도전투에서 야율초재를 등용하여 행정을 담당하도록 했다. 페르시아인 알라와디(阿刺 而思) 에게는 재정업무를 맡겼다. 그가 점령지를 지배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지역에 귀순한 우수한 인재는 발탁하여 활용할 줄 아는 혜안(慧眼)이 있었기 때문이였다. CEO 칭키스칸-유목민에게 배우는 21세기 경영전략 /김종래 지음/삼성경제연구소 펴냄/2002년 11월
후세 사람들은 징기스칸이 큰 야심을 지닌 대정복자라고 하지만 실제 징기스칸은 어려서부터 생존하기 위해 현실에 적응해나가는 소양을 터득하고 이를 발전시켜 나아갔다. 몽골 통일후 금나라가 부당하게 조공을 요청하자 금정벌에 나섰고 여기서 중국의 보병전과 요새전을 터득하고 무카리로 하여금 중국의 병법을 배우도록 했다. 오트라르성주가 대상을 죽이고 사신에 대해 무례한 행위를 하자 호라즘국을 침입했고 이 나라를 정복하자 즉각 전과 확대를 하였다. 이때 역시 현지인을 최대로 활용하였다. 서하왕 이현이 배반하자 서하를 공격하다가 몸을 다쳐 죽음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알고도 서하정벌 계속했다. 그는 서하왕의 배신을 철저히 응징하는 반면에 금나라를 정벌하는 원대한 계획을 실천하면서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면에서 징기스칸은 현실에 적응하는 탁월한 능력을 지닌 철저한 현실주의 적인 인물이였다. 그래서 현실에 잘 적응하기 위해 몽골인의 부족함을 다른 인종의 우수한 사람을 발탁하여 우대하고 그들의 조언을 듣고 현명한 판단을 하였다. 일찍이 노자는 “남을 아는 자는 똑똑하다 하고자기를 아는 자는 현명하다고 한다”라고 했는데, 징기스칸은 자기와 자기 만족의 부족함을 알고 다른 민족의 지식을 잘 활용할 줄 아는 명실상부한 지장임과 동시에 명장이었다.
Ⅲ. 사례를 통해 본 리더의 특성
모두 뛰어난 리더였으며 항상 적극적으로…실패가 아니라, 성공을 생각했고 부정적인 환경을 경계하였다. 이순신 같은 경우는 12척의 낡은 배로 133척의 배에 맞서 이겼고 징기스칸의 경우에도 어렷을 적 아버지를 잃고 마을에서
당시 몽골은 문자가 없었다. 그래서 징기스칸은 글을 몰랐다. 따라서 징기스칸의 기록은 위 구르(Ug-urs), 중국, 페르시아, 아르메니아 등의 역사 문서와 유럽인 여행자들의 기록에 드문드문 기재되어 있었다. 이렇게 기록을 남긴 사람들은 모두 징키스칸의 반대편 사람들이어서 징기스칸을 침략자로 보고 기록하여 살육과 약탈을 일삼는 잔인한 정복자로 기록에 남기고 있다.
하지만 전쟁을 치르면서 그가 한 전략 및 리더쉽들은 충분히 현 시대에도 귀감이 될 만 한 가치가 있다.
그저 무자비한 정복자가 아닌 상당히 개방적이고 트인 사고를 가진 리더였다.
호자름 전투에서 이슬람교장로, 성직자, 법률박사, 법관 등 수천명에 대해 보호령을 내리고 엄중히 지켰다. 그래서 그 지역 통치에 활용했으며 그리고 기술자는 절대로 죽이지 않고 살려주고 활용하도록 했다. http://blog.daum.net/bys8964/5239586 발췌
징기스칸은 기마병의 기동성을 이용한 전략적이고 전술적부대 기동을 완전히 터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부대를 우회 기동으로 적을 각개 격파하여 적의 병력이 집중할 틈을 주지 않고 전장에서의 집결하여 특정 시기에 특정 장소에서 전력의 우위를 확보하였다. 그래서 몽골군은 호라즘전투에서 광정면 기동을 하여 예약된 시기와 장소에 합류한 후 전과 확대를 위해 다시 흩어졌다.
징기스칸은 기동의 이점을 살려 적의 주력이 있는 곳을 우회하여 적의 배후를 공격했다. 그래서 적이 혼란하여 어떤 조치를 취할 틈을 주지 않고 포위 공격하여 섬멸한 것이다. 금나라 공격시 징기스칸은 제베로 하여금 거용관을 배후에서 고역하게 하였으며, 부하라와 사마르칸트도 배후에 갑자기 나타나 적의 허를 찌를 전투였다. 그래서 전략가 리델 하트는 몽골군은 배후 공격을 개척했다고 주장했다.
징기스칸은 몽골군의 광범위한 첩보 조직을 사용하여 철저하게 준비했다. 이 제도는 잠제도로 발전하여 적정보 뿐아니라 자기 부대의 상황을 소상하게 알고 지휘하였다. 다시말 하면 13세기형 Internet 정보망을 활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첩보 조직은 효과적인 정보를 징기스칸에게 제공하는 한편 적 국민들에게 몽골군의 우수성을 선전했기 때문에 몽골군이 접근하기 전에 이미 공포에 질려 있었다.
징기스칸은 사전에 기동할 지역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입수한 후에 통상 3개 종대 대형으로 신속하게 목표 지점으로 진격하되 서로 연락을 취하도록 하여 종대 측면의 안전을 유지하도록 했다. 이러한 신속한 3열 종대형 기동은 적 배후를 찌르는 효과를 얻어 순식간에 적을 무력화하였다.
또한 징기스칸은 몽골군이 기병전에는 능하난 공성전, 보병전, 또는 요새전에 취약함을 알고 현지에서 능력있는 기술자를 우대하여 사용했다. 그는 언제나 새로운 지역에서 기술자를 우대하고 기술자는 죽이지 않고 포로로하여 본국으로 보내거나 현지에서 활용했다. 그러므로 새로운 지역에 적합한 새로운 전술과 무기를 신속하게 배워 활용하였다.
징기스칸은 대상(隊商, 상인)들을 보호하여 오늘날과 같은 유통 체제를 활성화 하도록 했다. 그래서 몽골군이 가는데는 항시 상인들이 들끓었고 몽골군은 그들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었다. 예를 들어 제베와 수부타이가 러시아에 침공하여 러시아연합군을 무찌른 후 크리미아반도에 들어가 제노아상인을 접견한 사실을 참고한다면 징기스칸이 얼마나 상인들을 보호했는가를 알 수 있다. 실제로 서아시아 정보는 상인들에게 들은 것이 많았다.
징기스칸은 글자를 읽을 수 없었으나 현명한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고 바른 판단을 내렸다. 점령지역의 지도자들을 우대하고 그들의 신분을 보호해 주고 그 지역의 종교 활동을 존중해 주었다. 부하라에서는 코란경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여 경청했다. 중국의 도교 철인 장춘(張春)의 말을 경청했다. 야라와치 부자와 야율초재가 파괴보다 행정으로 다스리느 것이 이득이라는 것을 설명하자 바로 그렇게 하도록 조치했다. 그는 결심권자로서 뛰어난 판단력을 지니고 있었다.
징기스칸은 거란인 야율야해에게 공로를 인정하여 만호(뒤에 요왕으로 임명)를 부여했고, 중도전투에서 야율초재를 등용하여 행정을 담당하도록 했다. 페르시아인 알라와디(阿刺 而思) 에게는 재정업무를 맡겼다. 그가 점령지를 지배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지역에 귀순한 우수한 인재는 발탁하여 활용할 줄 아는 혜안(慧眼)이 있었기 때문이였다. CEO 칭키스칸-유목민에게 배우는 21세기 경영전략 /김종래 지음/삼성경제연구소 펴냄/2002년 11월
후세 사람들은 징기스칸이 큰 야심을 지닌 대정복자라고 하지만 실제 징기스칸은 어려서부터 생존하기 위해 현실에 적응해나가는 소양을 터득하고 이를 발전시켜 나아갔다. 몽골 통일후 금나라가 부당하게 조공을 요청하자 금정벌에 나섰고 여기서 중국의 보병전과 요새전을 터득하고 무카리로 하여금 중국의 병법을 배우도록 했다. 오트라르성주가 대상을 죽이고 사신에 대해 무례한 행위를 하자 호라즘국을 침입했고 이 나라를 정복하자 즉각 전과 확대를 하였다. 이때 역시 현지인을 최대로 활용하였다. 서하왕 이현이 배반하자 서하를 공격하다가 몸을 다쳐 죽음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알고도 서하정벌 계속했다. 그는 서하왕의 배신을 철저히 응징하는 반면에 금나라를 정벌하는 원대한 계획을 실천하면서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면에서 징기스칸은 현실에 적응하는 탁월한 능력을 지닌 철저한 현실주의 적인 인물이였다. 그래서 현실에 잘 적응하기 위해 몽골인의 부족함을 다른 인종의 우수한 사람을 발탁하여 우대하고 그들의 조언을 듣고 현명한 판단을 하였다. 일찍이 노자는 “남을 아는 자는 똑똑하다 하고자기를 아는 자는 현명하다고 한다”라고 했는데, 징기스칸은 자기와 자기 만족의 부족함을 알고 다른 민족의 지식을 잘 활용할 줄 아는 명실상부한 지장임과 동시에 명장이었다.
Ⅲ. 사례를 통해 본 리더의 특성
모두 뛰어난 리더였으며 항상 적극적으로…실패가 아니라, 성공을 생각했고 부정적인 환경을 경계하였다. 이순신 같은 경우는 12척의 낡은 배로 133척의 배에 맞서 이겼고 징기스칸의 경우에도 어렷을 적 아버지를 잃고 마을에서
추천자료
문화재 반출 사례와 일본의 문화재 침탈사례연구
특수아동 사례연구, 특수아동 지도사례, 특수아동지도
2011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갈등에 대한 사례)
2012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갈등에 대한 사례)
경영혁신 사례 - 경영혁신 사례연구
2013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 (거주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갈등사례 )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단일사례연구 설계 중 ABCD와 복수기초선 설계에 대해 사례를 들어 기...
가족친화경영 사례연구-국내외 가족친화정책 비교,해외 가족친화경영,가족친화정책사례미국,...
행동수정 사례연구 - 편식 하는 행동, 편식하는 아이 (행동수정사례, 아동문제, 아동행동, 행...
[기업인수합병 M&A사례분석] SK커뮤니케이션즈의 엠파스(Empas) 인수 M&A 사례연구-...
2014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거주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갈등사례 )
청소년 사례연구의 검토 위기개입 기술분석 및 성공사례
2015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거주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갈등사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