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격을 표현하는 것이다. 즉, 자기의 분노를 다른 사람에게 터트린다.(인간발달학회, 1996)
(8)부모의 강압적 행동
아동의 공격성은 가족 상호작용의 양상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는다. 공격적인 아동의 부모는 아동의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언어적 설명보다는 신체적인 처벌과 더불어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부모의 행동은 아동들에게 공격행동의 모델이 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타인을 통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나아가 형제관계에서도 영향을 준다.
Patterson 은 이러한 가족 상호 작용 양상을 강압적 가족과정 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위기에서 자라난 아동의 공격적 성향은 사춘기에 반사회적 행동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높다.
7.공격성의 통제방법
(1)부모훈련
부모의 양육방식은 아동의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부모훈련을 통해 아동의 공격성을 통제하는 방안이다. 신체적 처벌을 언어적 규제로 대치하는 방법, 부정적인 언어표현(지시적)을 칭찬, 긍정적 표현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훈련 후에 부모와 아동모두에게 공격적 행동이 급격히 감소 되었고, 또한 유사한 훈련을 교사들에게 시킴으로써 교실내 아동의 공격적 행동이 감소도 나타났다.
(2)인지적 방법
공격적 동기나 결과를 사고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대화나 조망수용훈련을 통해 공격성이 타인에게 미치는 감정적인 영향이나 실제적 결과를 사고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공감훈련
공격성의 직접적인 원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분노이다. 따라서 분노를 공감으로 대치하거나 공감을 증진시키는 훈련을 통해 공격성을 감소 시킨다.
나의 분노를 이해하고, 타인의 슬픔과 분노를 같이 이해한다.
-문제해결기술훈련
상황을 재현해보고, 문제가 발생했을때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훈련이다. 서로의 생각을 듣고 이야기 나누는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고가 길러지며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3)모델
교사나, 부모는 교사의 기대사항을 표현하고, 타협, 협상,승승전략과 같은 구성으로 비공격적인 해결책을 사용함으로 갈등상황을 다루는 모델이 될 수 있다.
(4)타임-아웃
공격적인 아동을 그곳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없이 일정한 시간동안 혼자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아동은 홀로 남아서 진정하고 자신의 행위를 생각해 본다.
-더 이상 공격이 나타날 기회를 최소화 한다.
-교사,부모는 공격적 행동의 모델이 되지 않는다.
타임-아웃 후에는 진지한 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방적으로 "왜 그랬어?" 식의 질문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즉, 협동적 비공격행위를 적극적으로 강화 해야 한다.
(5)식품
최근 아동이 먹는 음식과 아동의 공격성에는 관련이 있다고 한다.
인스탄트, 설탕, 음식물속에 들어간 식품첨가물들이 그 주요원인이라 하겠다.
서구화된 음식문화와 외식문화가 늘어남에 따라 더 달고 더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인데, 이러한 것들이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실험에서, 이러한 음식을 많이 섭취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더 공격적이라고 한다.
과일과 야채를 충분히 섭취하고, 설탕이 첨가된 간식으로 탄산음료나 과자보다는 자연식에 가까운 감자나 옥수수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두뇌에 좋은 견과류와 생선을 많이 먹인다.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2007 송명자 학지사
아동발달론 2007 강문희 외2 공동체
발달심리학 2005 송길연옮김 시그마프레스
아동심리학 2006 성영혜외 4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SITE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45864658137626829
-반두라 보보 인형실험
(8)부모의 강압적 행동
아동의 공격성은 가족 상호작용의 양상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는다. 공격적인 아동의 부모는 아동의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언어적 설명보다는 신체적인 처벌과 더불어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부모의 행동은 아동들에게 공격행동의 모델이 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타인을 통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나아가 형제관계에서도 영향을 준다.
Patterson 은 이러한 가족 상호 작용 양상을 강압적 가족과정 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위기에서 자라난 아동의 공격적 성향은 사춘기에 반사회적 행동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높다.
7.공격성의 통제방법
(1)부모훈련
부모의 양육방식은 아동의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부모훈련을 통해 아동의 공격성을 통제하는 방안이다. 신체적 처벌을 언어적 규제로 대치하는 방법, 부정적인 언어표현(지시적)을 칭찬, 긍정적 표현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훈련 후에 부모와 아동모두에게 공격적 행동이 급격히 감소 되었고, 또한 유사한 훈련을 교사들에게 시킴으로써 교실내 아동의 공격적 행동이 감소도 나타났다.
(2)인지적 방법
공격적 동기나 결과를 사고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대화나 조망수용훈련을 통해 공격성이 타인에게 미치는 감정적인 영향이나 실제적 결과를 사고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공감훈련
공격성의 직접적인 원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분노이다. 따라서 분노를 공감으로 대치하거나 공감을 증진시키는 훈련을 통해 공격성을 감소 시킨다.
나의 분노를 이해하고, 타인의 슬픔과 분노를 같이 이해한다.
-문제해결기술훈련
상황을 재현해보고, 문제가 발생했을때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훈련이다. 서로의 생각을 듣고 이야기 나누는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고가 길러지며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3)모델
교사나, 부모는 교사의 기대사항을 표현하고, 타협, 협상,승승전략과 같은 구성으로 비공격적인 해결책을 사용함으로 갈등상황을 다루는 모델이 될 수 있다.
(4)타임-아웃
공격적인 아동을 그곳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없이 일정한 시간동안 혼자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아동은 홀로 남아서 진정하고 자신의 행위를 생각해 본다.
-더 이상 공격이 나타날 기회를 최소화 한다.
-교사,부모는 공격적 행동의 모델이 되지 않는다.
타임-아웃 후에는 진지한 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방적으로 "왜 그랬어?" 식의 질문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즉, 협동적 비공격행위를 적극적으로 강화 해야 한다.
(5)식품
최근 아동이 먹는 음식과 아동의 공격성에는 관련이 있다고 한다.
인스탄트, 설탕, 음식물속에 들어간 식품첨가물들이 그 주요원인이라 하겠다.
서구화된 음식문화와 외식문화가 늘어남에 따라 더 달고 더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인데, 이러한 것들이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실험에서, 이러한 음식을 많이 섭취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더 공격적이라고 한다.
과일과 야채를 충분히 섭취하고, 설탕이 첨가된 간식으로 탄산음료나 과자보다는 자연식에 가까운 감자나 옥수수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두뇌에 좋은 견과류와 생선을 많이 먹인다.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2007 송명자 학지사
아동발달론 2007 강문희 외2 공동체
발달심리학 2005 송길연옮김 시그마프레스
아동심리학 2006 성영혜외 4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SITE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45864658137626829
-반두라 보보 인형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