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조선 청년들의 희망이었던 약산 김원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민지 조선 청년들의 희망이었던 약산 김원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한 평가가 다른 민족운동가에 비해 높지않다.
임시정부에게서 대한민국의 원류를 찾고 있기에 임시정부의 지도자였던 김구는 주목을 받는데 비해 김구와는 노선을 달리하고 월북을 했던 김원봉에게는 높은 평가가 내려 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월북을 했다던가 독립운동의 노선이 달랐던 것은 김원봉의 업적을 가릴 만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김원봉같은 독립운동가가 해방 후 자리를 잡지 못하고 사라져야만 했던 그 당시 우리의 상황이 아쉬울 뿐이다.
개인보고서를 마치고난 소감
이번 해방 전후사 과제로 개인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나로서는 대학에 들어와 처음 써보는 보고서인데다가 해방 전후사 근현대사에 대해 고등학교 수업시간에 배운 지식이상은 가지고 있지 않았던 터라 걱정이 많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개인보고서 주제였던 김원봉에 대한 조사를 해나가면서 내가 알고 있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되고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나와있는 사실만으로 한 인물에 대한 평가를 내린다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 알게되었다. 그리고 한 인물에 대해서도 여러 관점에서 보는 것을 통해 한 관점에서 볼 때 뛰어난 인물이라고 해도 다른 관점에서 보면 또 다른 평가를 내릴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이번 김원봉 조사를 통해 김원봉과 김구에 대한 그간의 내 생각이 잘못되었었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 보고서가 처음 이라 미흡한 것이 많지만 대학에 들어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보고서였다.
▣참고문헌
강만길 “20세기 우리 역사” 창작과 비평사
염인호 “김원봉 연구” 창작과 비평사
그 외 네이버 백과사전과 블로그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0.0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