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리는 커플이 부쩍 늘고 있다. 아주 정숙하고 신비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일생을 약속하는 신랑, 신부는 영화에서처럼 낭만적인 결혼식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원래 기독교식으로 결혼식을 올릴 경우 가족들만 모여서 결혼식을 올린 뒤 피로연에서 초대받은 손님들과 축복을 나누는 분위기였으나 최근에는 결혼식에도 손님들을 함께 참석해 축하해 주기도 하고 야외에서 올리는 경우도 많이 있다.
③ 신사
가장 일본다운 결혼식은 전통결혼식인 신도식 결혼식이다. 오늘날의 신도식은 기독교식을 모방한 것으로 1900년에 시작된 것이다. 혼례식 당일에 신부는 우지가미나 절 등에 가서 참배하거나, 자신의 집의 가미다나 일가의 조상신을 참배하는 일을 각지에서 행한다. 또한 신부측에서는 혼례당일이나 전날 이웃, 친척들을 불러 연회를 여는 곳도 있다. 신도식 결혼식에는 신랑,신부,나코도(중매인) 부부,가족,친족만이 참석한다. 하지만 엄격한 분위기와 엄숙함, 복잡한 의식 때문인지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없다고 한다. 하얗고 뽀샤시한 피부화장을 하고 빨갛게 바른 립스틱이 인상적인 신부와 턱시도 차림보다 더 늠름해 보이는 신랑은 주말 오후쯤 하라주쿠에 있는 메이지신궁에 가면 운 좋은 날엔 전통 결혼식을 구경할 수 있다고 한다.
-신도식 의례 순서-
1) 모든 이들은 식장에 들어가 앉는다. 입장순서는 신랑, 나코도(중매인), 신부,나코도(중매인)부인, 이어 신랑 측 부모, 신부 측 부모, 신랑 측 부모, 신부 측 가족 순서로 한다.
2) 식이 시작되면 전원이 일어선다. 간누시(신관)가 누사(신에게 기도할 때, 혹은 액풀이 할 때 쓰는 종이)와 다마구시(비쭈기 나무가지에 닥나무 섬유로 만든 베 또는 종이 오린 것을 신전에 바치는 것)로 액풀이를 하는 동안 가볍게 머리를 숙인다.
3) 신랑, 신부가 신전으로 인도되어 간누시와 함께 두 번 절하고, 두 번 박수치고, 한 번 절하고 자리로 돌아온다.
4) 산산구도의 술잔의식(三三九度杯)을 시작된다. 신랑은 가장 윗 잔을 양손으로 들고 미코(신이나 신사에 봉사하는 여성)가 따르는 술을 받는다. 이를 세 번에 나누어 마시고 다음은 신부 다시 신랑으로 똑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두 번째 잔은 신부, 신랑, 신부의 순으로, 세 번째 잔은 다시 신랑, 신부, 신랑의 순으로 반복하여 모두 아홉 번의 술잔을 비우게 된다. 이로써 두 사람은 부부가 되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이 때 결혼반지를 교환하는 경우가 많다.
5) 신랑, 신부는 다마고시 앞에 서서 신랑이 신전을 향해 결혼서약서를 읽으면, 신부는 마지막에 자기 이름을 말한다. 각자 다마고시를 신전에 바친다. 두 사람은 자리로 돌아오기 전에 두 번 절하고, 두 번 박수 치고, 한 번 절하게 되는데, 이 때 참석자 모두 서서 두 사람에 맞추어 행한다.
6) 양가를 대표하여 나코도 부부가 야마구시를 바친다.
7) \'친족결합의 술잔의식\'으로 옮겨져 모두 함께 세 번에 나누어 술잔을 비운다.
④ 인전(人前) 결혼식
인전 결혼식은 사람들 앞에서 친형제나 친척, 친구들을 증인으로하여 식을 올리는 것으로 비용도 저렴하고 번거롭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결혼식은 공민관과 같은 공적인 집회장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공민관 결혼식이라고도 불린다.
⑤ 불교식 결혼식
주로 사원에서 행해지나 경우에 따라서는 승려를 초대하여 가정 내에 있는 불전에서 행해지기도 한다. 승려가 성혼선언문과 같은 경백문을 낭독한 다음 신랑 신부에게 염주를 수여한다. 이어서 승려의 주례사와 중매인의 서약서 낭독이 있는 후 신랑 신부가 분향을 하고 맹세의 뜻으로 3.3.9도의 음복을 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2) 피로연
-피로연의 유래
결혼식이 끝나면 피로연장으로 옮긴다. 피로연장에는 친척 외에 친구나 관계자를 초대 한다. 옛날에는 남자가 여자 집을 다닌 지 3일째 되는 날 밤에 밋카요노모치라 하여 두 남녀가 요 위에 정좌로 앉아 떡을 먹고 술을 마시며 식을 올렸다. 식이 올려지는 동안에 두 사람 사이에 놓여 있는 가베시로(璧代)라는 휘장을 연다. 그리고 주위에 가득 모여 있던 사람들이 축사를 보낸다. 이를 도코로아라와시(露顯)라 하는데, 이는 부부가 함께 자는 것을 제 3자에게 인정받기 위한 것이다. 자고 일어나 부부를 위한 술잔을 나눈다. 이것이 오늘날의 결혼피로연이 되었다. 오늘날 피로연의 평균 출석자는 80명 정도가 보통이다.
-피로연 순서
1) 피로연은 나코도의 인사로 시작되는데, 이 때 참석한 이들에게 신랑, 신부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한다.
2) 주빈들의 축사, 건배 후 웨딩케이크를 자른다.
3)식사가 시작된다. 보통 양식이나 일식 풀코스 요리를 먹으며, 친구들과의 테이블 스피치가 이어진다.
4) 피로연은 약 2시간 정도 소요되는데, 피로연 도중에 신부가 자리를 떠나 의상을 갈아입고 나온다. 이를 오이나오시라 하는데, 수 백 년 전부터 내려오는 관습이다. 최근에 한창 때에 비하면 오이나이시를 덜 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그렇다 해도 신부가 결혼식과 피로연에서 입는 의상의 평균 2.8벌이 된다. 대여에도 불구하고 요금은 60만엔 가까이 든다.
5) 마지막으로 친족 대표가 하례객에게 답례인사를 함으로써 결혼식은 끝난다. 이때 \'결혼식이 끝났다\'.라고 하지 않고, 두 사람의\' 미래가 열렸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경사스러운 자리이기 때문에 끝, 자른다. 다시등 파국, 종말등과 같은 말이나 단어가 들어가는 것을 삼가 한다.
6) 하례객들은 답례품을 가지고 돌아간다.
- 결혼식의 본식은 그다지 길지 않지만 결혼식의 연장이라 할 수 있는 피로연은 대개 2~3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그만큼 여유 있게 진행된다. 일본에서의 피로연은 신랑신부와 초대받은 손님들이 함께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신랑 신부의 추억과 축복을 나누는 자리이다.
예식 다음으로 피로연이 준비되는데 신랑 신부는 대기실로 돌아가 대기하고, 입구에서는 하객들이 부조를 하고 좌석 배치표를 받아 자기 좌석에 앉게 된다. 예식에 참석했던 가족들과 친지들도 준비된 좌석에 앉게 된다.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신랑신부가 동시에 입장하고 신랑신부와 주빈의 소개가 끝나면 신랑 신부가 웨딩 케
원래 기독교식으로 결혼식을 올릴 경우 가족들만 모여서 결혼식을 올린 뒤 피로연에서 초대받은 손님들과 축복을 나누는 분위기였으나 최근에는 결혼식에도 손님들을 함께 참석해 축하해 주기도 하고 야외에서 올리는 경우도 많이 있다.
③ 신사
가장 일본다운 결혼식은 전통결혼식인 신도식 결혼식이다. 오늘날의 신도식은 기독교식을 모방한 것으로 1900년에 시작된 것이다. 혼례식 당일에 신부는 우지가미나 절 등에 가서 참배하거나, 자신의 집의 가미다나 일가의 조상신을 참배하는 일을 각지에서 행한다. 또한 신부측에서는 혼례당일이나 전날 이웃, 친척들을 불러 연회를 여는 곳도 있다. 신도식 결혼식에는 신랑,신부,나코도(중매인) 부부,가족,친족만이 참석한다. 하지만 엄격한 분위기와 엄숙함, 복잡한 의식 때문인지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없다고 한다. 하얗고 뽀샤시한 피부화장을 하고 빨갛게 바른 립스틱이 인상적인 신부와 턱시도 차림보다 더 늠름해 보이는 신랑은 주말 오후쯤 하라주쿠에 있는 메이지신궁에 가면 운 좋은 날엔 전통 결혼식을 구경할 수 있다고 한다.
-신도식 의례 순서-
1) 모든 이들은 식장에 들어가 앉는다. 입장순서는 신랑, 나코도(중매인), 신부,나코도(중매인)부인, 이어 신랑 측 부모, 신부 측 부모, 신랑 측 부모, 신부 측 가족 순서로 한다.
2) 식이 시작되면 전원이 일어선다. 간누시(신관)가 누사(신에게 기도할 때, 혹은 액풀이 할 때 쓰는 종이)와 다마구시(비쭈기 나무가지에 닥나무 섬유로 만든 베 또는 종이 오린 것을 신전에 바치는 것)로 액풀이를 하는 동안 가볍게 머리를 숙인다.
3) 신랑, 신부가 신전으로 인도되어 간누시와 함께 두 번 절하고, 두 번 박수치고, 한 번 절하고 자리로 돌아온다.
4) 산산구도의 술잔의식(三三九度杯)을 시작된다. 신랑은 가장 윗 잔을 양손으로 들고 미코(신이나 신사에 봉사하는 여성)가 따르는 술을 받는다. 이를 세 번에 나누어 마시고 다음은 신부 다시 신랑으로 똑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두 번째 잔은 신부, 신랑, 신부의 순으로, 세 번째 잔은 다시 신랑, 신부, 신랑의 순으로 반복하여 모두 아홉 번의 술잔을 비우게 된다. 이로써 두 사람은 부부가 되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이 때 결혼반지를 교환하는 경우가 많다.
5) 신랑, 신부는 다마고시 앞에 서서 신랑이 신전을 향해 결혼서약서를 읽으면, 신부는 마지막에 자기 이름을 말한다. 각자 다마고시를 신전에 바친다. 두 사람은 자리로 돌아오기 전에 두 번 절하고, 두 번 박수 치고, 한 번 절하게 되는데, 이 때 참석자 모두 서서 두 사람에 맞추어 행한다.
6) 양가를 대표하여 나코도 부부가 야마구시를 바친다.
7) \'친족결합의 술잔의식\'으로 옮겨져 모두 함께 세 번에 나누어 술잔을 비운다.
④ 인전(人前) 결혼식
인전 결혼식은 사람들 앞에서 친형제나 친척, 친구들을 증인으로하여 식을 올리는 것으로 비용도 저렴하고 번거롭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결혼식은 공민관과 같은 공적인 집회장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공민관 결혼식이라고도 불린다.
⑤ 불교식 결혼식
주로 사원에서 행해지나 경우에 따라서는 승려를 초대하여 가정 내에 있는 불전에서 행해지기도 한다. 승려가 성혼선언문과 같은 경백문을 낭독한 다음 신랑 신부에게 염주를 수여한다. 이어서 승려의 주례사와 중매인의 서약서 낭독이 있는 후 신랑 신부가 분향을 하고 맹세의 뜻으로 3.3.9도의 음복을 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2) 피로연
-피로연의 유래
결혼식이 끝나면 피로연장으로 옮긴다. 피로연장에는 친척 외에 친구나 관계자를 초대 한다. 옛날에는 남자가 여자 집을 다닌 지 3일째 되는 날 밤에 밋카요노모치라 하여 두 남녀가 요 위에 정좌로 앉아 떡을 먹고 술을 마시며 식을 올렸다. 식이 올려지는 동안에 두 사람 사이에 놓여 있는 가베시로(璧代)라는 휘장을 연다. 그리고 주위에 가득 모여 있던 사람들이 축사를 보낸다. 이를 도코로아라와시(露顯)라 하는데, 이는 부부가 함께 자는 것을 제 3자에게 인정받기 위한 것이다. 자고 일어나 부부를 위한 술잔을 나눈다. 이것이 오늘날의 결혼피로연이 되었다. 오늘날 피로연의 평균 출석자는 80명 정도가 보통이다.
-피로연 순서
1) 피로연은 나코도의 인사로 시작되는데, 이 때 참석한 이들에게 신랑, 신부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한다.
2) 주빈들의 축사, 건배 후 웨딩케이크를 자른다.
3)식사가 시작된다. 보통 양식이나 일식 풀코스 요리를 먹으며, 친구들과의 테이블 스피치가 이어진다.
4) 피로연은 약 2시간 정도 소요되는데, 피로연 도중에 신부가 자리를 떠나 의상을 갈아입고 나온다. 이를 오이나오시라 하는데, 수 백 년 전부터 내려오는 관습이다. 최근에 한창 때에 비하면 오이나이시를 덜 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그렇다 해도 신부가 결혼식과 피로연에서 입는 의상의 평균 2.8벌이 된다. 대여에도 불구하고 요금은 60만엔 가까이 든다.
5) 마지막으로 친족 대표가 하례객에게 답례인사를 함으로써 결혼식은 끝난다. 이때 \'결혼식이 끝났다\'.라고 하지 않고, 두 사람의\' 미래가 열렸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경사스러운 자리이기 때문에 끝, 자른다. 다시등 파국, 종말등과 같은 말이나 단어가 들어가는 것을 삼가 한다.
6) 하례객들은 답례품을 가지고 돌아간다.
- 결혼식의 본식은 그다지 길지 않지만 결혼식의 연장이라 할 수 있는 피로연은 대개 2~3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그만큼 여유 있게 진행된다. 일본에서의 피로연은 신랑신부와 초대받은 손님들이 함께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신랑 신부의 추억과 축복을 나누는 자리이다.
예식 다음으로 피로연이 준비되는데 신랑 신부는 대기실로 돌아가 대기하고, 입구에서는 하객들이 부조를 하고 좌석 배치표를 받아 자기 좌석에 앉게 된다. 예식에 참석했던 가족들과 친지들도 준비된 좌석에 앉게 된다.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신랑신부가 동시에 입장하고 신랑신부와 주빈의 소개가 끝나면 신랑 신부가 웨딩 케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와 소설을 통해 본 한국의 결혼과 가족에 관한 보고서
[분석/조사]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한국 국제결혼 문제의 실태와 해결방안
한국(사회)의 결혼관
한국과 일본의 차 문화 비교
[가족사회복지론] 다문화가정,국제결혼 현황 및 문제점,해결방안 분석
[다문화가정]다문화가정의 등장 배경과 국내 현황, 국제결혼 및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와 다문...
라면을 통해 바라본 한국문화 - 라면의역사와유래,라면시장조사,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아시아국가]아시아국가 한국의 문화, 아시아국가 중국의 문화, 아시아국가 일본의 문화, 아...
[사회복지조사론] 한국이 결혼이민자 가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결혼이민자 가정에 대...
결혼이민자의 지원센터 및 단체 (다문화사회report)
국제결혼이주여성 혹은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책_완득이 1.기존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 세가...
[다문화사회복지] 다문화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결혼이민자에 대한 이해 - 결혼이민자가 겪...
최근 결혼에 대한 견해가 다양해지면서 결혼 문화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결혼과정 3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