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상에 의한 피해의 종류
1) 저온에 의한 피해 : 냉해 및 동해
2) 고온에 의한 피해 : 서해
3) 수분과다의 피해 : 습해
4) 수분부족의 피해 : 건조해
5) 광선부족
6) 광선과다
7) 풍해
8) 조풍(염해)
9) 설해
10) 그 밖에 여러가지
2. 기상재해의 예방대책
1) 적지 적수(適地 適樹)
2) 천연수종의 보존
3) 혼합림의 조성과 천연갱신의 활용
4) 기상재해량과 요인의 평가 (기상재해의 분석)
5) 임업 각 전문분야간의 협력
1) 저온에 의한 피해 : 냉해 및 동해
2) 고온에 의한 피해 : 서해
3) 수분과다의 피해 : 습해
4) 수분부족의 피해 : 건조해
5) 광선부족
6) 광선과다
7) 풍해
8) 조풍(염해)
9) 설해
10) 그 밖에 여러가지
2. 기상재해의 예방대책
1) 적지 적수(適地 適樹)
2) 천연수종의 보존
3) 혼합림의 조성과 천연갱신의 활용
4) 기상재해량과 요인의 평가 (기상재해의 분석)
5) 임업 각 전문분야간의 협력
본문내용
기상에 의한 식물의 피해
과목 : 식물방제학
담당교수 :
학과 : 조경학과
학번 : 2009320026
이름 : 박준호
<목 차>
<서론>
<본론>
1. 기상에 의한 피해의 종류
1) 저온에 의한 피해 : 냉해 및 동해
2) 고온에 의한 피해 : 서해
3) 수분과다의 피해 : 습해
4) 수분부족의 피해 : 건조해
5) 광선부족
6) 광선과다
7) 풍해
8) 조풍(염해)
9) 설해
10) 그 밖에 여러 가지
2. 기상재해의 중요성
1) 삼림재해 요인간(要因間)의 비교
2) 기상재해 요인간의 상대적 중요성
3) 기상재해의 지역적 특수성
<결론>
3. 기상재해의 예방대책
1) 적지 적수(適地 適樹)
1) 천연수종의 보존
1) 혼합림의 조성과 천연갱신의 활용
1) 기상재해량과 요인의 평가 (기상재해의 분석)
1) 임업 각 전문분야간의 협력
<서론>
기상에 의한 식물의 피해
식물은 환경을 이루고 있는 여러 요인의 특정한 범위 안에서 가장 잘 자란다. 이러한 요인은 온도, 토양습도, 토양양분, 빛, 대기 및 토양 오염물질, 대기습도 등을 이른다. 이러한 요인들은 자연 상태에서 자라고 있는 모든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상적인 생장에 필요한 조건들을 거의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라고 있는 재배식물에서는 특히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이 매우 크다. 더구나 재배식물은 대부분 완전히 인공적인 환경(온실, 가정, 창고 등)에서 자라거나 보관되며, 이들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경작법(시비, 관개, 농약살포 등)의 영향을 받는다.
식물분포를 제한하는 인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조와 저온에 의한 피해이다. 건조와 저온의 환경조건은 식물분포의 한계선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생장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저온의 의한 피해는 한대나 온대지역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아열대지역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으며, 건조의 피해도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되고 있다.
기상재해는 매년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몇 년 또는 몇 십년만에 이상적인 기상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보통이다. 농작물과 같은 일년생 식물들은 그 피해가 그 해에만 국한되지만, 다년생 식물인 수목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한번의 재해만으로도 장기간 동안의 생장량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생장이 감소되고 병충해와 같은 또 다른 재해가 유발될 수도 있다.
<본론>
1. 기상에 의한 피해의 종류
(1) 저온에 의한 피해 : 냉해 및 동해
저온에 의한 피해는 크게 냉해와 동해의 두 가지로 나눈다. 1˚~ 10℃의 영상의 온도에 의한 냉해는 열대, 아열대 및 난대지역에서 많이 일어나며 이 지역의 수종들이 온대에 심겨질 때 특히 많이 발생하게 된다. 냉해의 원인은 저온에 의하여 광합성과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세포내에서 단백질이 분해되며, 독소가 있는 물질이 생성되어 생화학적 물질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동해는 영하의 온도에 의하여 식물체내의 수분이 얼게 되므로써 일어난다. 동해는 온대 및 한대에서 많이 일어나며, 난대에서도 가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동해는 시기에 따라 초가을에 발생하는 조상과 한겨울에 발생하는 동해, 그리고
과목 : 식물방제학
담당교수 :
학과 : 조경학과
학번 : 2009320026
이름 : 박준호
<목 차>
<서론>
<본론>
1. 기상에 의한 피해의 종류
1) 저온에 의한 피해 : 냉해 및 동해
2) 고온에 의한 피해 : 서해
3) 수분과다의 피해 : 습해
4) 수분부족의 피해 : 건조해
5) 광선부족
6) 광선과다
7) 풍해
8) 조풍(염해)
9) 설해
10) 그 밖에 여러 가지
2. 기상재해의 중요성
1) 삼림재해 요인간(要因間)의 비교
2) 기상재해 요인간의 상대적 중요성
3) 기상재해의 지역적 특수성
<결론>
3. 기상재해의 예방대책
1) 적지 적수(適地 適樹)
1) 천연수종의 보존
1) 혼합림의 조성과 천연갱신의 활용
1) 기상재해량과 요인의 평가 (기상재해의 분석)
1) 임업 각 전문분야간의 협력
<서론>
기상에 의한 식물의 피해
식물은 환경을 이루고 있는 여러 요인의 특정한 범위 안에서 가장 잘 자란다. 이러한 요인은 온도, 토양습도, 토양양분, 빛, 대기 및 토양 오염물질, 대기습도 등을 이른다. 이러한 요인들은 자연 상태에서 자라고 있는 모든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상적인 생장에 필요한 조건들을 거의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라고 있는 재배식물에서는 특히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이 매우 크다. 더구나 재배식물은 대부분 완전히 인공적인 환경(온실, 가정, 창고 등)에서 자라거나 보관되며, 이들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경작법(시비, 관개, 농약살포 등)의 영향을 받는다.
식물분포를 제한하는 인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조와 저온에 의한 피해이다. 건조와 저온의 환경조건은 식물분포의 한계선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생장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저온의 의한 피해는 한대나 온대지역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아열대지역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으며, 건조의 피해도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되고 있다.
기상재해는 매년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몇 년 또는 몇 십년만에 이상적인 기상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보통이다. 농작물과 같은 일년생 식물들은 그 피해가 그 해에만 국한되지만, 다년생 식물인 수목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한번의 재해만으로도 장기간 동안의 생장량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생장이 감소되고 병충해와 같은 또 다른 재해가 유발될 수도 있다.
<본론>
1. 기상에 의한 피해의 종류
(1) 저온에 의한 피해 : 냉해 및 동해
저온에 의한 피해는 크게 냉해와 동해의 두 가지로 나눈다. 1˚~ 10℃의 영상의 온도에 의한 냉해는 열대, 아열대 및 난대지역에서 많이 일어나며 이 지역의 수종들이 온대에 심겨질 때 특히 많이 발생하게 된다. 냉해의 원인은 저온에 의하여 광합성과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세포내에서 단백질이 분해되며, 독소가 있는 물질이 생성되어 생화학적 물질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동해는 영하의 온도에 의하여 식물체내의 수분이 얼게 되므로써 일어난다. 동해는 온대 및 한대에서 많이 일어나며, 난대에서도 가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동해는 시기에 따라 초가을에 발생하는 조상과 한겨울에 발생하는 동해, 그리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