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Adler)의 자아심리이론 - 인간관과 기본관점, 자아심리이론의 주요개념, 성격의 발달 및 성격의 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들러(Adler)의 자아심리이론 - 인간관과 기본관점, 자아심리이론의 주요개념, 성격의 발달 및 성격의 유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간관과 기본관점

2. 주요개념
1) 열등감과 보상
2) 우월성 추구
3) 사회적 관심
4) 생활양식
5) 가상적 목적론

3. 성격의 발달 및 성격의 유형
1) 성격의 발달
(1) 출생순서
(2) 생활양식을 왜곡하기 쉬운 상황
2) 성격의 유형
(1) 지배형
(2) 획득형
(3) 회피형
(4) 사회적으로 유용한 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처하는 유일한 방법이 다른 사람에게 요구하는 것이 된다. 응석받이의 관심은 오직 자신에게만 쏠려 있으며 협동의 필요성이나 유익성을 알지 못한다. 이런 사람은 문제나 장애물에 부딪힐 때 퇴행함으로써 반응한다. 극복하는 방법을 배운 것이 없으므로 열등감을 피하기 위해 퇴행하는 것이다.
- 셋째는 거부된 아동의 상황이다. 부모에게서 거부당한 아동은 잘 못된 훈련을 받기가 쉽다. 아동이 거부당하는 이유는 신체적 결함, 부모의 불행한 결혼, 가정의 재정문제 등 다양하다. 거부는 물리적 폭력을 가하는 외형적인 것일 수도 있고 심리적 학대 같은 미묘한 것일 수도 있다. 거부당한 아동은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을 접해본 적이 없어 사랑이나 협력 등을 알 기회가 없으며, 다른 사람에게 유익한 행동을 함으로써 애정이나 존경을 얻는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은 생활상 모든 문제를 과대평가하고 자신의 능력은 과소평가하기 때문에 사회가 자신에게만 냉혹하다고 믿으며 항상 그런 상황만을 습관적으로 기대한다.
이 세가지 상황, 즉 불완전한 신체기관, 지나친 사랑, 거부는 인생에 잘못된 의미를 부여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기 쉽다. 이 세가지 부정적 요소들은 자존심과 사회적 관심의 발달을 위협하는데 아들러는 이에 대한 개선의 가능성은 인생에 대해 보다 협동적이며 용기있는 대처방식을 훈련하는데 달려 있다고 보았다.
2) 성격의 유형
- 아들러는 생활양식 태도의 유형으로 성격을 유형화하였다. 이 유형론은 사회적 관심과 활동수준을 기준으로 하였다. 사회적 관심은 개인적 이익보다 사회발전을 위해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활동수준은 삶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개인의 에너지 수준을 말한다. 활동수준은 무기력한 사람으로부터 원기왕성하게 활동하는 사람에게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활동수준이 건설적일지 혹은 파괴적일지는 사회적 관심과 결합될 때 결정된다.
- 사회적 관심과 활동 수준에 따른 생활양식은 네 가지로 설명된다.
(1) 지배형
활동수준은 높으나 사회적 관심은 낮은 유형으로 독선적이고 공격적이며, 활동적이지만 사회적 관심이 거의 없는 사람이다. 이 유형은 사회적 관심 외의 측면에서 활동적이며 외부세계를 지배하려는 태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인생과업에 공격적, 비사회적인 방법으로 대처해 나간다.
(2) 획득형
활동수준은 중간이고 사회적 관심은 낮은 유형으로,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여 자신의 욕구를 충족한다. 인생의 주된 관심은 가능한 한 많은 것을 다른 사람에게서 얻어내는 것이다. 활동수준이 낮아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는 것이 위험한 정도는 아니다.
(3) 회피형
참여하려는 사회적 관심도 적고 활동수준도 낮은 유형으로 성공하려는 욕구보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더 강하기 때문에 인생과업으로부터 도피하는 행동을 주로 한다. 인생의 모든 문제에서 회피함으로써 실패를 면하려 하고 사회적으로 무익한 행동이 대부분이다.
(4) 사회적으로 유용한 형
사회적 관심과 활동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으로 사회적 관심이 커 자신과 타인의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면서 인생과업을 완수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협력한다. 사회적으로 유용한 유형은 사회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협력, 개인적 용기, 다른 사람의 안녕에 기여하려는 의지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참고문헌
이영실, 나임순 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창지사 2013
김윤정 저, 알기쉬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11
최덕경, 서의정 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13
엄명용, 김성천 외 저,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11
고명수, 신경희 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두남 2013
이훈구, 한종철 외 저, 인간행동의 이해, 법문사 2009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17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