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중 가요에 나타난 가사의 시대적 흐름과
노랫말에 반영된 한국인의 심리, 가치관
-
§ 들어가는 말
§ 본론
◇ 대중가요의 정의와 특성
-대중가요란?
-대중가요의 특성
◇ 시대별 상황에 따른 대중가요 읽기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 대중가요 가사의 변천
◇ 대중가요를 통해 본 한국인의 심리와 가치관
§ 나가는 말
노랫말에 반영된 한국인의 심리, 가치관
-
§ 들어가는 말
§ 본론
◇ 대중가요의 정의와 특성
-대중가요란?
-대중가요의 특성
◇ 시대별 상황에 따른 대중가요 읽기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 대중가요 가사의 변천
◇ 대중가요를 통해 본 한국인의 심리와 가치관
§ 나가는 말
본문내용
대중 가요에 나타난 가사의 시대적 흐름과
노랫말에 반영된 한국인의 심리, 가치관
- 목 차 -
§ 들어가는 말
§ 본론
◇ 대중가요의 정의와 특성
-대중가요란?
-대중가요의 특성
◇ 시대별 상황에 따른 대중가요 읽기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 대중가요 가사의 변천
◇ 대중가요를 통해 본 한국인의 심리와 가치관
§ 나가는 말
● 들어가는 글
☞2002년 월드컵 때의 오~!필승 코리아~!가 아직도 귀에 맴돈다. 이 노래가 우리를 그 때의 한국의 분위기와 함께 나누었던 감동으로 이끌어준다.
대중가요는 말 그대로 널리 대중들이 부르는 노래이고, 대중들이 가장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이다. 대중가요는 단어 자체에서 보여지듯이 대중이 없으면 안 되는 가요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왜 대중가요를 들으면서 친숙함을 느끼고, 가사에 공감하며, 널리 불려지는 가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어는 한국의 문화를 반영하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하는 한말 가요속에 한국의 문화가 들어 있을 거라 가정해 볼 수 있다. 우리는 시대별 상황을 고려해서 대중가요를 읽어보고 대중가요 가사의 변천을 살펴보며 그 속에 담긴 한국인의 심리와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론
◇ 대중가요의 정의와 특성
1)대중가요란?
☞ 대중에게 널리 불리는 노래의 총칭. 본래는 가요의 한 종류로서 세속적 내용과 형식을 가지며 민요가곡과 분류되나 한정된 범주에 국한되지는 않고 시대와 장소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인다. 즉 현재 쓰이는 서양음계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민요가 대중가요로서의 역할을 했으며, 성악을 위한 가곡 역시 대중성을 획득하여 대중가요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단어가 가지는 의미로는 지역에 구애받지 않는 세속적 노래 전반을 가리키나 실제로는 국가 또는 민족의 범위와 일치하며, 따라서 영국미국의 <팝송>과 프랑스의 <샹송>이 그 단어의 일반적 의미와는 달리 특정 국가의 특정한 노래를 가리키듯 대중가요 역시 한국의 대중적 가요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2)대중가요의 특성
-대중성 : 대중가요는 특수성을 띈 소수의 것이 아닌 도시의 대중으로부터 대중매체를 주 전달매체로 하여 수용층을 넓혀 나갔다. 많은 사람들을 위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대중 속에 자리잡은 가장 친숙하면서도 생활 가까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함께 공유하고 함께 나누기 쉬운 점이 있다.
-사회성 : 대중가요는 그 시대에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로서 그 사회를 반영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뒷부분에서 대중가요의 변화 양상을 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사회적 상황과 함께 시대별로 나누어 이야기 할 것이다.
-통속성 : 세상에 널리 통하는 일반적인 일을 다루기 때문에 전문적이 아니어도 일반 대중이 쉽게 알 수 있다. 주로 인간들의 삶과 사랑, 이별 애환 등 인간의 주제와 가장 가까운 소재를 다룬다.
◇ 시대적 상황에 따른 대중가요 읽기
1)1960년대
☞1960년대는 해방과 정부수립, 3년에 걸친 긴 전쟁의 혼란과 상처가 표면적으로는 아물기 시작하면서, 419와 516, 한일 수교,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등 20세기 후반 한국의 정치. 경제의 기본 틀이 형성되는 사건들이 벌어진 시기였다. 사회적으로 경제계획으로 인한 이농과 도시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졌으며, 대중문화계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다.
우리 나라 대중 가요사에서 1960년대만큼 도시 성인 서민들의 삶이 희망적이고 아름답게 그려진 적은 없다. 그것은 이 시대만의 독특한 특성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로 인해 도시에서는 \"이지리스닝\"계열의 노래가 유행하였다.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그 때가 좋았지\' 하며 박정희 정권 시절을 그리시는 이유도 그 시절에 소박하지만 인생에 대해 낙관적인 기대를 할 수 있었던 따뜻한 희망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1)도시의 즐거움과 서민의 희망
내 님은 누구일까 어디 계실까/ 무엇을 하는 님일까 만나보고 싶네/ 신문을 보실까 그림을 그리실까/ 호반의 벤취로 가봐야겠네
<호반의 벤취>(1963, 이보라 작사. 황문평 작곡. 권혜경 노래>
서울의 아가씨는 멋쟁이 아가씨/ 서울의 아가씨는 맘 좋고 슬기로워/ 서울의 아가씨는 명랑한 아가씨/ 남산에 꽃이 파면 라라라라 라라라/ 그대와 나란히 손을 잡고 걸어요/(하략)
<서울의 아가씨>(1962. 김남석 작사. 박선길 작곡. 이시스터즈 노래)
꽃집의 아가씨는 예뻐요 그렇게 예쁠 수가 없어요/ 그녀만 만나면은 그녀만 만나면은 내 가슴 울렁울렁 거려/ (중략) 어쩌다 한 번만 웃으면 마음이 약한 나는 미쳐요/ 새빨간 장미보다 새하얀 백합보다 천 배나 만 배나 예뻐요.
<꽃집 아가씨>(1962, 지웅 작사. 홍현걸 작곡. 봉봉사중창단 노래)
위의 노래를 봤을 때, 잘 될 것 같고 즐거운 사랑이 벌어지는 장소는 참 중요하다. 세련된 꽃집의 아가씨니까 예쁜 것이고, 서구적인 호반에 나가야 멋진 남자를 만날 수 있으며, 서울 남산에서 하이힐 소리를 높이며 걷는 아가씨니까 명랑하고 아름다운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당대 대중들이 도시의 삶에 대해 희망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서민의 희망과 따뜻한 해학
여덟 시 통근 길에 대머리 총각/ 오늘도 만나려나 떨리는 마음/ 시원한 대머리에 나이가 들어/ 행여나 장가갔나 근심하였죠/ 여덟 시 통근 길에 대머리 총각/ 내일도 만나려나 기다려지네/ 무심코 그를 따라 타고 본 전차/ 오가는 눈총 속에 싹트는 사랑/ 빨갛게 젖은 얼굴 부끄러움에/ 처녀 맘 아는 듯이 답하는 미소/ 여덟 시 통근 길에 대머리 총각/ 내일도 만나려나 기다려지네
<대머리 총각>(1966. 진원 작사. 정민섭 작곡. 김상희 노래)
우리 애인은 올드 미스 히스테리가 이만저만/ 데이트에 좀 늦게 가면 하루종일 말도 안해
노랫말에 반영된 한국인의 심리, 가치관
- 목 차 -
§ 들어가는 말
§ 본론
◇ 대중가요의 정의와 특성
-대중가요란?
-대중가요의 특성
◇ 시대별 상황에 따른 대중가요 읽기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 대중가요 가사의 변천
◇ 대중가요를 통해 본 한국인의 심리와 가치관
§ 나가는 말
● 들어가는 글
☞2002년 월드컵 때의 오~!필승 코리아~!가 아직도 귀에 맴돈다. 이 노래가 우리를 그 때의 한국의 분위기와 함께 나누었던 감동으로 이끌어준다.
대중가요는 말 그대로 널리 대중들이 부르는 노래이고, 대중들이 가장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이다. 대중가요는 단어 자체에서 보여지듯이 대중이 없으면 안 되는 가요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왜 대중가요를 들으면서 친숙함을 느끼고, 가사에 공감하며, 널리 불려지는 가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어는 한국의 문화를 반영하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하는 한말 가요속에 한국의 문화가 들어 있을 거라 가정해 볼 수 있다. 우리는 시대별 상황을 고려해서 대중가요를 읽어보고 대중가요 가사의 변천을 살펴보며 그 속에 담긴 한국인의 심리와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론
◇ 대중가요의 정의와 특성
1)대중가요란?
☞ 대중에게 널리 불리는 노래의 총칭. 본래는 가요의 한 종류로서 세속적 내용과 형식을 가지며 민요가곡과 분류되나 한정된 범주에 국한되지는 않고 시대와 장소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인다. 즉 현재 쓰이는 서양음계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민요가 대중가요로서의 역할을 했으며, 성악을 위한 가곡 역시 대중성을 획득하여 대중가요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단어가 가지는 의미로는 지역에 구애받지 않는 세속적 노래 전반을 가리키나 실제로는 국가 또는 민족의 범위와 일치하며, 따라서 영국미국의 <팝송>과 프랑스의 <샹송>이 그 단어의 일반적 의미와는 달리 특정 국가의 특정한 노래를 가리키듯 대중가요 역시 한국의 대중적 가요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2)대중가요의 특성
-대중성 : 대중가요는 특수성을 띈 소수의 것이 아닌 도시의 대중으로부터 대중매체를 주 전달매체로 하여 수용층을 넓혀 나갔다. 많은 사람들을 위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대중 속에 자리잡은 가장 친숙하면서도 생활 가까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함께 공유하고 함께 나누기 쉬운 점이 있다.
-사회성 : 대중가요는 그 시대에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로서 그 사회를 반영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뒷부분에서 대중가요의 변화 양상을 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사회적 상황과 함께 시대별로 나누어 이야기 할 것이다.
-통속성 : 세상에 널리 통하는 일반적인 일을 다루기 때문에 전문적이 아니어도 일반 대중이 쉽게 알 수 있다. 주로 인간들의 삶과 사랑, 이별 애환 등 인간의 주제와 가장 가까운 소재를 다룬다.
◇ 시대적 상황에 따른 대중가요 읽기
1)1960년대
☞1960년대는 해방과 정부수립, 3년에 걸친 긴 전쟁의 혼란과 상처가 표면적으로는 아물기 시작하면서, 419와 516, 한일 수교,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등 20세기 후반 한국의 정치. 경제의 기본 틀이 형성되는 사건들이 벌어진 시기였다. 사회적으로 경제계획으로 인한 이농과 도시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졌으며, 대중문화계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다.
우리 나라 대중 가요사에서 1960년대만큼 도시 성인 서민들의 삶이 희망적이고 아름답게 그려진 적은 없다. 그것은 이 시대만의 독특한 특성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로 인해 도시에서는 \"이지리스닝\"계열의 노래가 유행하였다.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그 때가 좋았지\' 하며 박정희 정권 시절을 그리시는 이유도 그 시절에 소박하지만 인생에 대해 낙관적인 기대를 할 수 있었던 따뜻한 희망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1)도시의 즐거움과 서민의 희망
내 님은 누구일까 어디 계실까/ 무엇을 하는 님일까 만나보고 싶네/ 신문을 보실까 그림을 그리실까/ 호반의 벤취로 가봐야겠네
<호반의 벤취>(1963, 이보라 작사. 황문평 작곡. 권혜경 노래>
서울의 아가씨는 멋쟁이 아가씨/ 서울의 아가씨는 맘 좋고 슬기로워/ 서울의 아가씨는 명랑한 아가씨/ 남산에 꽃이 파면 라라라라 라라라/ 그대와 나란히 손을 잡고 걸어요/(하략)
<서울의 아가씨>(1962. 김남석 작사. 박선길 작곡. 이시스터즈 노래)
꽃집의 아가씨는 예뻐요 그렇게 예쁠 수가 없어요/ 그녀만 만나면은 그녀만 만나면은 내 가슴 울렁울렁 거려/ (중략) 어쩌다 한 번만 웃으면 마음이 약한 나는 미쳐요/ 새빨간 장미보다 새하얀 백합보다 천 배나 만 배나 예뻐요.
<꽃집 아가씨>(1962, 지웅 작사. 홍현걸 작곡. 봉봉사중창단 노래)
위의 노래를 봤을 때, 잘 될 것 같고 즐거운 사랑이 벌어지는 장소는 참 중요하다. 세련된 꽃집의 아가씨니까 예쁜 것이고, 서구적인 호반에 나가야 멋진 남자를 만날 수 있으며, 서울 남산에서 하이힐 소리를 높이며 걷는 아가씨니까 명랑하고 아름다운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당대 대중들이 도시의 삶에 대해 희망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서민의 희망과 따뜻한 해학
여덟 시 통근 길에 대머리 총각/ 오늘도 만나려나 떨리는 마음/ 시원한 대머리에 나이가 들어/ 행여나 장가갔나 근심하였죠/ 여덟 시 통근 길에 대머리 총각/ 내일도 만나려나 기다려지네/ 무심코 그를 따라 타고 본 전차/ 오가는 눈총 속에 싹트는 사랑/ 빨갛게 젖은 얼굴 부끄러움에/ 처녀 맘 아는 듯이 답하는 미소/ 여덟 시 통근 길에 대머리 총각/ 내일도 만나려나 기다려지네
<대머리 총각>(1966. 진원 작사. 정민섭 작곡. 김상희 노래)
우리 애인은 올드 미스 히스테리가 이만저만/ 데이트에 좀 늦게 가면 하루종일 말도 안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