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임금 정조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임금 정조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정조

1. 정조의 생애
2. 정조의 가계도
3. 정조의 업적

Ⅲ. 정조의 죽음

1. 정조의 죽음
2. 정조의 죽음에 관한 학설


Ⅳ. 결론

본문내용

\"을 육성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4) 규장각의 활성화 - 조선후기 최대의 학술연구기관인 규장각을 창설하여 인재 양성 및 왕의 측근세력을 키워내 당시의 기득권세력인 노론의 입지를 축소시켰다. 정조의 개혁정치를 뒷받침할 학자를 길러내는 정책 연구기관. 수 만 권의 책을 갖추어 두고 젊은 학자들을 모아 학문과 정책을 연구하도록 하였다.
5) 서적의 편찬 - 각종 인문, 지리, 군사에 관련한 실용적인 서적을 널리편찬하였다.
*대전통편 -경국대전과 속대전을 보완, 정조 때 새로 재정된 법을 덧붙여 만든법전 *동문휘고 - 조선 후기의 외교문서집. *탁지지 - 호조(戶曹-6조 중 재정 담당 기구)의 옛 사례를 기록한 책 *규장전운 편찬- 규장각 학자가 만든 음운서
6) 수원화성의 축조, 수원 천도 - 정약용이 서양의 기구를 벤치마킹하여 개발한 거중기를 활용하여 실용적이면서도 아름다운 화성을 축조. 수원천도를 시도하였으나 결국 성공하지못하고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다. 수도를 수원으로 옮기려던 것은 한양의 기득권들을 물리치려고 했던 획기적이면서 공격적이었던 개혁정책의 일환 이였다.
8) 신해통공 - 난전상인들의 철밥통줄이었던 금난전권을 전면 폐지하여 상업의 자유화를 촉성. 경제의 발전을 유도하였다.
9) 서얼의 등용 - 신분상제약으로 정계진출에 제한이 있었던 서얼들에게 길을 열어줌으로써 신분해방의 첫 물꼬를 틈.
10) 탕평책의 계승 - 영조 때 이어져왔던 탕평책을 계승하였다. 정조는 아버지 장헌세자가 당쟁으로 희생되고 자신도 당쟁의 직접적 피해를 입음으로써 당쟁의 폐해를 절감하고, 자기의 거실을 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이라 이름하는 등 당색에 구애되지 않고 인물 본위로 관리를 등용하려 했다.
Ⅲ. 정조의 죽음
1.정조의 죽음
정조의 투병과정 기록
사망하기 보름 전부터 기록된 정조는 병은 해묵은 홧병과 그로 인한 종기였다.
6월 14일, 지방의원이 정유교에게 진찰 받는다
6월 16일, 궁중의 주치의 격인 내약원이 진찰을 청하자 이를 거부한다. 게다가 정조는 가감소요산이나 백호탕 등의 약을 직접 처방한다. 정조는 내약원을 불신을 했다. 자신의 제거하려는 정치세력이라고 생각했다. 당시 내의원 최고 책임자는 좌의정 심환지이며 그는 정적관계에 있던 노론 강경파의 영수였다.
6월 24~26일, 연훈방 치료만 했다.
정약용은 여유당전서에 의원을 시켜 왕을 죽인 정승이라고 적은 인물이 바로 심환지 였고 그가 썼다는 독약이 연훈방이었다.
연훈방 치료를 받은 후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듯 했다.
그러나 사흘째 연훈방 치료를 받은 26일 저녁부터 의식이 혼미해져갔다.
6월 28일, 정조의 의식은 좀처럼 돌아오지 않았으며 끝내 숨지고 만다.
2. 정조 독살설에 관한 학설들
1)정조 독살설
1. 의원들이 처방한 약
- 의원들은 6월 27일~28일에 가미 팔물탕, 독삼탕, 인삼차등을 처방한다. 이 약재들은 몸을 보호하는 부분도 있지만 종기에는 독이 되는 약이라고 한다.
2.경옥고
- 노론벽파 이시수 경옥고를 쓰자고 주장하였다. 정조는 원래 온제를 복용하지 못하는데 음산하고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0.2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