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2. 실험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의 영점이 맞는지 확인 한 후, 이동 검침봉과 검침봉을 검류계와 연결한다.
4) 전원을 켜고, 전압을 약 10V로 조정한 후, 전류계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한 다음, 고정 검침봉을 유리의 한 끝에 고정시킨다.
5) 이동 검침봉의 끝점을 적당히 이동하면서 검류계의 숫자를 읽는다. 숫자가 변동이 없는 곳은 고정 검침 봉의 등전위 점에 가까이 왔음을 의미한다. 다시 정밀하게 그 근처에서 움직여가며 검류계의 값이 0점이 되는 위치를 찾는다. 그래프 용지에 잘 표시해 가면서 하나의 등전위선을 그린다.
6) 고정 검침봉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 검침봉을 이동하여 같은 방법으로 위치를 찾아 표시하며 등전위선을 그린다.
7) 이상의 실험이 끝났으면 다른 모양의 전극체로 바꾸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다.
5. 주의사항
검류계 G는 아주 약한 전류에 의해 동작되므로 검침봉이 전극체에 직접 닿으면 과도한 전류가 흘러서 검류계가 파손될 수 잇으므로 주의한다.
검침봉을 고정시켜서 좌표를 측정 할 때 고정 검침봉이 확실하게 고정 되어 있지 못하면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검침봉으로 좌표를 읽을 때 수직으로 세우지 않으면 좌표에 오차가 생기므로 주의한다.
4) 전원을 켜고, 전압을 약 10V로 조정한 후, 전류계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한 다음, 고정 검침봉을 유리의 한 끝에 고정시킨다.
5) 이동 검침봉의 끝점을 적당히 이동하면서 검류계의 숫자를 읽는다. 숫자가 변동이 없는 곳은 고정 검침 봉의 등전위 점에 가까이 왔음을 의미한다. 다시 정밀하게 그 근처에서 움직여가며 검류계의 값이 0점이 되는 위치를 찾는다. 그래프 용지에 잘 표시해 가면서 하나의 등전위선을 그린다.
6) 고정 검침봉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 검침봉을 이동하여 같은 방법으로 위치를 찾아 표시하며 등전위선을 그린다.
7) 이상의 실험이 끝났으면 다른 모양의 전극체로 바꾸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다.
5. 주의사항
검류계 G는 아주 약한 전류에 의해 동작되므로 검침봉이 전극체에 직접 닿으면 과도한 전류가 흘러서 검류계가 파손될 수 잇으므로 주의한다.
검침봉을 고정시켜서 좌표를 측정 할 때 고정 검침봉이 확실하게 고정 되어 있지 못하면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검침봉으로 좌표를 읽을 때 수직으로 세우지 않으면 좌표에 오차가 생기므로 주의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