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바이킹의 영토확장
1. 서 론
2. 본 론
⑴ 민족구성
⑵ 위치 및 기후
1) 위 치
2) 기 후
⑶ 토양 및 식생
1) 토 양
2) 식 생
⑷ 이동이유
1) 기후적 요인
2) 외부적 요인
⑸ 원정형태
⑹ 바이킹의 생활
1) 依생활
2) 농업과 食생활
3) 住생활
4) 자급자족 생활
5) 일상생활
6) 정치와 계급
7) 룬문자
8) 바이킹원정 시기의 고향에서의 생활
9)종교
10) 조선술과 항해술
⑺ 노르웨이바이킹의 영토확장
1) 페로제도
2) 아이슬란드
3) 빈랜드
⑻ 덴마크바이킹의 영토확장
⑼ 스웨덴바이킹의 영토확장
3. 결 론
참고문헌
1. 서 론
2. 본 론
⑴ 민족구성
⑵ 위치 및 기후
1) 위 치
2) 기 후
⑶ 토양 및 식생
1) 토 양
2) 식 생
⑷ 이동이유
1) 기후적 요인
2) 외부적 요인
⑸ 원정형태
⑹ 바이킹의 생활
1) 依생활
2) 농업과 食생활
3) 住생활
4) 자급자족 생활
5) 일상생활
6) 정치와 계급
7) 룬문자
8) 바이킹원정 시기의 고향에서의 생활
9)종교
10) 조선술과 항해술
⑺ 노르웨이바이킹의 영토확장
1) 페로제도
2) 아이슬란드
3) 빈랜드
⑻ 덴마크바이킹의 영토확장
⑼ 스웨덴바이킹의 영토확장
3.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동계에 바다가 거칠어지기 전에 인양했다. 전리품의 약취를 목적으로한 원정이 많았기 때문에 매년 정기적인 파상공격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부족의 수장 코능그(왕이라는 뜻)나 지도자 헤르시르(가장이라는 뜻)에 인솔되는 전사가 중심이었다.
그러나 조선기술, 항해술의 발달에 따라 9C 중엽으로부터 행동반경이 넓어짐에 따라 강구나 입강에 숙영하여 월동하고 이곳을 거점으로 하여 다시 오지로 침입하는 정복적인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리하여 일정한 토지를 점거하여 정착하는 단계가 되자 처자들을 대동하고 농민이나 직인 상인들도 참가케 되었으며 원주민과의 교류, 그 수장의 용병적 존재, 기독교로의 개종 등 다양한 국면이 전개되어 갔다.
⑹ 바이킹의 생활
1) 依생활
바이킹의 의복은 고대 유럽식 의상의 연속이다. 특징이 있다면 1200년 이후 날씨가 아주 차가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린란드 인들은 유럽식 의상을 계속 입었다. 얼어붙은 땅속에서 발굴된 양털 드레스와 두건은 그 당시의 그린란드 인들이 입었던 것이다. 이누이트, 즉 에스키모인들은 동물 가죽과 털을 사용해 추운 날씨를 견뎌냈는데, 그린란드에서 노르만 식민지개척자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
2) 농업과 食생활
농사를 지을 수 있을 정도로 기후가 포근한 지역에서도 바이킹들은 추위를 견디는 작물, 특히 보리를 재배했다. 보리보다 내한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덜 중요하게 여겨진 작물로는 귀리, 밀, 호밀이 있었다. 채소는 캐비지, 양파, 완두공, 콩이 있었고, 아마포를 얻기 위해 아마가 재배되었다. 또한 맥주를 양조하는 데 필요한 홉도 재배되었다. 적어도 노르웨이에서는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농작물의 중요성이 가축에 비해 떨어졌다.
추운기후에서는 곡물 재배보다 가축 사육이 더 쉬웠다. 가축은 ‘비옥한 초등달’과 유럽에서 수천 년 동안 기본적인 먹을거리가 되었던 다섯 종과 같았다. 즉 젖소, 양, 염소, 돼지, 그리고 말이었다. 이 중에서 바이킹이 가장 소중하게 생각한 가축은 살코기를 얻기 위해 사육한 돼지, 치즈와 같은 유제품을 제공하는 젖소, 그리고 운송수단으로 쓰였고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진 말이었다.
야생동물의 살코기는 가축을 대신할 수 있는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특히 생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지 노르웨이바이킹의 쓰레기 더미에서 발굴한 짐승 뼈의 절반 이상이 생선 뼈이다. 바다표범을 비롯한 수생 포유동물, 순록과 말코손바닥사슴, 작은 육지 포유동물, 번식을 위한 서식지에서 나포한 바닷새, 오리와 물새 등을 사냥해서 먹기도 했다.
그들은 암소와 염소의 젖을 짜서 치즈를 만들고 맥주를 빚고 꿀처럼 달콤한 벌꿀주를 만들었다. 곡식빻는 맷돌로는 알곡을 갈아서 죽을 만들었는데 보통 아침식사로 먹었다. 물고기나 살코기를 약한 난롯불에 굼거나 익혀서 저녁에 먹을 음식을 만들었다. 혹은 겨자씨, 마늘 등으로 간을 맞춘 냄비에 뜨거운 돌을 집어넣어 물고기를 삶아 먹기도 했다.
3) 住생활
아이슬랜드나 다른 북대서양의 섬에서는 좋은 목재가 부족했기 때문에 집을 지을 때는 대개 돌로 기초를 세웠으며 벽과 지붕은 잔디로 만들었다. 땅을 파서 만든 집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했다. 벽에는 추위와 습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무 판자로 안을 대었다.
노르웨이에서는 벽은 통나무를 수평으로 쌓아 만들었으며 통나무 끝에 홈을 파서 고정시켰다. 뾰족한 지붕에는 자작나무 껍질을 깔고 그 위를 잔디로 덮었다. 나무껍질은 물을 막아주고 흙과 풀은 단열제 작용을 했다. 집은 그 지방의 전통이나 손에 넣을 수 있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세웠다. 나무 벽은 기둥을 똑바로 세워 만들고 나뭇가지를 엮어서 벽을 만들고 방수를 위해 진흙이나 쇠똥을 바른 집도 있었다. 지붕은 나무판자, 짚, 잔디, 매트형태로 싼 갈대 등으로 덮었다.
스칸디나비아의 마을들은 듬성듬성 떨어져 있었고 기독교가 전파된 유럽의 마을들과 비교해볼 때 소규모였다. 대부분의 농장은 산맥과 바다 사이의 좁고 비옥한 해안지대에 단독으로 들어서 있었다. 농장의 중심에는 공동가옥이 있었다. 미관보다 보온에 더 신경을 쓴 롱하우스(long house)는 통나무 벽인 경우가 흔했으나, 때때로 뗏장, 욋가지, 회반죽(잔가지에 진흙을 발라 만든 것)등을 바르기도 했다. 집 주위에 또는 그 집에 이어 붙인 다양한 별채가 잇었다. 축사, 음식 창고, 소외 기타 물건을 만드는 대장간, 겨울에 배를 보관하는 배집, 쟁기, 낚시도구, 수레, 썰매, 스키등 귀중한 장비를 보관하는 창고 등이 이런 별채에 들어갔다. 일부 바이킹 농가에는 뚝 떨어져 있는 변소와 사우나 같은 목욕탕이 있었다. 농가 주위에는 무덤들이 점점이 수를 놓고 있었다. 비이킹들은 사자가 후손들 주위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믿었다.
바이킹의 가정생활은 중앙에 있는 넓은 공간 즉 거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집 내부의 배치는 모든 바이킹 세계가 아주 비슷했다. 길고 커다란 난로가 거실 중앙에서 타고 있었고 그 위로 천정에는 굴뚝이 있었다. 집의 바닥은 흙을 밟아 다져서 만들었다. 구부러진 벽을 따라 높직하게 만든 단에 앉거나 잠을 잤는데 오리털이나 닭털로 채운 베개나 방석을 깔면 더욱 안락했다.
4) 자급자족 생활
그들은 빵, 버터, 치즈 등을 농가에서 만들었다. 식품은 얼리거나 말리는 등 원시적인 방법으로 저장했다. 생선을 말렸다. 계란처럼 상하기 쉬운 식품은 땅속에 묻어 보관했다. 겨울에는 우유를 천연 얼음을 채운 병에 담아보관했다. 목제 연장(갈퀴, 고무래, 곡괭이, 괭이) 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 썼다. 집은 집주인이 직접 짓거나 마을의 목수가 지었다.
뼈를 다듬어 물건을 만드는 일은 동네 장인들의 주요 작업 가운데 하나였다.
5) 일상생활
대부분의 바이킹 남자들은 기회만 있다면 싸움을 하거나 습격하러 가는 것을 좋아했다. 전형적인 카를(자유민)은 농장 일 때문에 한시적인 모험가 노릇으로 만족해야 했다. 가을부터 그 다음해 봄까지는 농장일에 매달려 바빴기 때문이다. 겨울은 빨리 왔고 겨울이 오기 전 몇 달은 추수와 건초를 해야했다.
건초작업은 특히 중요했는데, 추위와 폭설의 긴 겨울 몇 달은 버티려면 통상 20여마리의 소가 50t의 건초를 필요로 했기
그러나 조선기술, 항해술의 발달에 따라 9C 중엽으로부터 행동반경이 넓어짐에 따라 강구나 입강에 숙영하여 월동하고 이곳을 거점으로 하여 다시 오지로 침입하는 정복적인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리하여 일정한 토지를 점거하여 정착하는 단계가 되자 처자들을 대동하고 농민이나 직인 상인들도 참가케 되었으며 원주민과의 교류, 그 수장의 용병적 존재, 기독교로의 개종 등 다양한 국면이 전개되어 갔다.
⑹ 바이킹의 생활
1) 依생활
바이킹의 의복은 고대 유럽식 의상의 연속이다. 특징이 있다면 1200년 이후 날씨가 아주 차가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린란드 인들은 유럽식 의상을 계속 입었다. 얼어붙은 땅속에서 발굴된 양털 드레스와 두건은 그 당시의 그린란드 인들이 입었던 것이다. 이누이트, 즉 에스키모인들은 동물 가죽과 털을 사용해 추운 날씨를 견뎌냈는데, 그린란드에서 노르만 식민지개척자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
2) 농업과 食생활
농사를 지을 수 있을 정도로 기후가 포근한 지역에서도 바이킹들은 추위를 견디는 작물, 특히 보리를 재배했다. 보리보다 내한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덜 중요하게 여겨진 작물로는 귀리, 밀, 호밀이 있었다. 채소는 캐비지, 양파, 완두공, 콩이 있었고, 아마포를 얻기 위해 아마가 재배되었다. 또한 맥주를 양조하는 데 필요한 홉도 재배되었다. 적어도 노르웨이에서는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농작물의 중요성이 가축에 비해 떨어졌다.
추운기후에서는 곡물 재배보다 가축 사육이 더 쉬웠다. 가축은 ‘비옥한 초등달’과 유럽에서 수천 년 동안 기본적인 먹을거리가 되었던 다섯 종과 같았다. 즉 젖소, 양, 염소, 돼지, 그리고 말이었다. 이 중에서 바이킹이 가장 소중하게 생각한 가축은 살코기를 얻기 위해 사육한 돼지, 치즈와 같은 유제품을 제공하는 젖소, 그리고 운송수단으로 쓰였고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진 말이었다.
야생동물의 살코기는 가축을 대신할 수 있는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특히 생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지 노르웨이바이킹의 쓰레기 더미에서 발굴한 짐승 뼈의 절반 이상이 생선 뼈이다. 바다표범을 비롯한 수생 포유동물, 순록과 말코손바닥사슴, 작은 육지 포유동물, 번식을 위한 서식지에서 나포한 바닷새, 오리와 물새 등을 사냥해서 먹기도 했다.
그들은 암소와 염소의 젖을 짜서 치즈를 만들고 맥주를 빚고 꿀처럼 달콤한 벌꿀주를 만들었다. 곡식빻는 맷돌로는 알곡을 갈아서 죽을 만들었는데 보통 아침식사로 먹었다. 물고기나 살코기를 약한 난롯불에 굼거나 익혀서 저녁에 먹을 음식을 만들었다. 혹은 겨자씨, 마늘 등으로 간을 맞춘 냄비에 뜨거운 돌을 집어넣어 물고기를 삶아 먹기도 했다.
3) 住생활
아이슬랜드나 다른 북대서양의 섬에서는 좋은 목재가 부족했기 때문에 집을 지을 때는 대개 돌로 기초를 세웠으며 벽과 지붕은 잔디로 만들었다. 땅을 파서 만든 집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했다. 벽에는 추위와 습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무 판자로 안을 대었다.
노르웨이에서는 벽은 통나무를 수평으로 쌓아 만들었으며 통나무 끝에 홈을 파서 고정시켰다. 뾰족한 지붕에는 자작나무 껍질을 깔고 그 위를 잔디로 덮었다. 나무껍질은 물을 막아주고 흙과 풀은 단열제 작용을 했다. 집은 그 지방의 전통이나 손에 넣을 수 있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세웠다. 나무 벽은 기둥을 똑바로 세워 만들고 나뭇가지를 엮어서 벽을 만들고 방수를 위해 진흙이나 쇠똥을 바른 집도 있었다. 지붕은 나무판자, 짚, 잔디, 매트형태로 싼 갈대 등으로 덮었다.
스칸디나비아의 마을들은 듬성듬성 떨어져 있었고 기독교가 전파된 유럽의 마을들과 비교해볼 때 소규모였다. 대부분의 농장은 산맥과 바다 사이의 좁고 비옥한 해안지대에 단독으로 들어서 있었다. 농장의 중심에는 공동가옥이 있었다. 미관보다 보온에 더 신경을 쓴 롱하우스(long house)는 통나무 벽인 경우가 흔했으나, 때때로 뗏장, 욋가지, 회반죽(잔가지에 진흙을 발라 만든 것)등을 바르기도 했다. 집 주위에 또는 그 집에 이어 붙인 다양한 별채가 잇었다. 축사, 음식 창고, 소외 기타 물건을 만드는 대장간, 겨울에 배를 보관하는 배집, 쟁기, 낚시도구, 수레, 썰매, 스키등 귀중한 장비를 보관하는 창고 등이 이런 별채에 들어갔다. 일부 바이킹 농가에는 뚝 떨어져 있는 변소와 사우나 같은 목욕탕이 있었다. 농가 주위에는 무덤들이 점점이 수를 놓고 있었다. 비이킹들은 사자가 후손들 주위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믿었다.
바이킹의 가정생활은 중앙에 있는 넓은 공간 즉 거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집 내부의 배치는 모든 바이킹 세계가 아주 비슷했다. 길고 커다란 난로가 거실 중앙에서 타고 있었고 그 위로 천정에는 굴뚝이 있었다. 집의 바닥은 흙을 밟아 다져서 만들었다. 구부러진 벽을 따라 높직하게 만든 단에 앉거나 잠을 잤는데 오리털이나 닭털로 채운 베개나 방석을 깔면 더욱 안락했다.
4) 자급자족 생활
그들은 빵, 버터, 치즈 등을 농가에서 만들었다. 식품은 얼리거나 말리는 등 원시적인 방법으로 저장했다. 생선을 말렸다. 계란처럼 상하기 쉬운 식품은 땅속에 묻어 보관했다. 겨울에는 우유를 천연 얼음을 채운 병에 담아보관했다. 목제 연장(갈퀴, 고무래, 곡괭이, 괭이) 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 썼다. 집은 집주인이 직접 짓거나 마을의 목수가 지었다.
뼈를 다듬어 물건을 만드는 일은 동네 장인들의 주요 작업 가운데 하나였다.
5) 일상생활
대부분의 바이킹 남자들은 기회만 있다면 싸움을 하거나 습격하러 가는 것을 좋아했다. 전형적인 카를(자유민)은 농장 일 때문에 한시적인 모험가 노릇으로 만족해야 했다. 가을부터 그 다음해 봄까지는 농장일에 매달려 바빴기 때문이다. 겨울은 빨리 왔고 겨울이 오기 전 몇 달은 추수와 건초를 해야했다.
건초작업은 특히 중요했는데, 추위와 폭설의 긴 겨울 몇 달은 버티려면 통상 20여마리의 소가 50t의 건초를 필요로 했기
추천자료
조선시대총론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
국사도표
맹자의 사상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란?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의 제자백가 사상에 대한 고찰
나치즘에 대하여
조선시대 교육
순자의 사상연구
[십자군][십자군원정][십자군원정 결과][교황][이슬람교도][성전]1~5차 이후의 십자군원정 고...
[매너리즘][매너리즘 사회적 배경][매너리즘과 고딕][매너리즘과 바로크][매너리즘의 대표적 ...
고대국가의 형성과 삼국의 발전
[한일국교정상화]한일국교정상화(한일기본조약)와 한일관계, 한일국교정상화(한일기본조약)와...
무기여 잘 있거라 (어니스트 헤밍웨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