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코더(recorder) 학습지도의 실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코더(recorder) 학습지도의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리코더의 역사적 배경
2. 리코더가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이유
3. 각국의 리코더 명칭
4. 리코더의 종류와 음역
5. 리코더 주법

본문내용

약간 상체를 앞으로 쏠 리듯이 서는 것이 호흡하기에 편안하다. 양팔은 몸에 닿지 않도록 하고 가볍게 떨어져 있어야 하며 리코더와 신체와의 각도는 40-45° 정도가 좋다. 리코더를 아랫입술에 살짝 얹고, 윗입술로 가볍게 악기 취구를 덮는다. 이때 너무 깊게 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손모양은 둥글게 만들고 지문이 있는 손가락 끝부분으로 리코더의 구멍을 막는다. 막는 다는 생각보다는 구멍에 손가락을 갖다 댄다는 기분으로 하면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2) 텅잉
텅잉이란 말할 때와 같이 분명하게 음을 만들어 주는 혀의 움직임을 말하는 것으로 아 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중요하다. 흔히 ‘투’소리를 내는 방법으로 하나 이럴 경우 숨이 너무 세기 때문에 제 음을 내기 어려우므로 ‘뒤’, ‘두’, ‘도’, ‘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호흡 (복식호흡)
(4) 튜닝(Tuning)
<음정이 낮아진다.> < 음정이 높아진다.>
(5) 아티큘레이션(Ariculation)
- 음표를 텅잉을 이용해서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것
* 논 레가토(Non Legato)
* 스타카토(Staccato)
* 레가토(Legato)
* 포르타토(Portato)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10.23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