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시대를열어간 중세지성 서포 김만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설시대를열어간 중세지성 서포 김만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포 김만중의 생애

Ⅱ. 시대배경

Ⅲ. 서포 김만중의 사상

Ⅳ. 작가 김만중의 작품세계
- 구운몽, 사씨남정기, 김만중 소설의 양면성

Ⅴ. 결론

본문내용

몽』의 주제를 흔히 ‘인생무상’이나 ‘인생은 일장춘몽’ 정도로 생각하는데 이는 옳지 않다. 『구운몽』 내용을 봐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인생무상이란 내용으로 어머니의 근심 걱정을 풀어드릴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홀로 늙으신 어머님에게 효자 아들이 위로한다고 하는 말이 “어머니, 부귀공명은 한바탕 꿈같은 거예요”라고 말했을까? 그리고 그 말을 듣고 어머니는 위로를 받았을까? 오히려 근심이 더 늘지 않았을까?
『구운몽』의 주제는 ‘공(空)’이라고 보는 것이 옳은 것 같다.
1) 『구운몽』의 ‘공(空)’ 사상
『구운몽』이 나타내는 사상은 불교사상 중에서도 공사상(空思想)이라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정규복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중심으로 한 공사상과 대응된다.\"
성현경 \"넓게는 불교사상, 좁게는 공사상이 서포적으로 변용, 굴절되어 나타났다.\"
정주동 \"불교사상 중에서도 《금강경》의 공사상, 곧 공즉시색(空卽是色) · 색즉시공(色卽是空) 곧 진공묘유의 사상을 토대로 하고 있다.“
설성경 \"『구운몽』에서는 대승불법이 강조되고, 이는 금강경의 공사상을 통하여 구현된다.\"
공은 표면적으로는 인생만사를 부정하는 데 있는 것 같지만 이면적으로는 인생만사를 역설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공사상\'은 한문의 뜻대로 간단히 말해서 \'비어있다\'라는 뜻이다. 불교의 \'공사상\'은 『구운몽』의 주제와 같이 현실 세계에서의 부귀영화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것을 뜻한다. 극락세계에 간다면 몸을 비운 채로 가야 한다는 뜻인 것이다. 김만중은 『구운몽』을 통해서 어머니께 ‘내가 현재 이렇게 고통 받고 있어도 죽어서는 부귀영화를 누렸던 사람들과는 다를 바 없다’고 전달하여 어머니의 걱정을 조금이라도 덜어 드리고자 했다고 본다.
2) 줄거리
<당나라 때 육관이라는 대사가 형산 연화봉에 큰 법당을 짓고 도를 신천하며 제자를 길렀 는데, 그 중 성진이라는 제자가 가장 뛰어났다. 성진이 대사의 심부름으로 가론에 참여한 사례를 동정호의 용왕에게 하러 갔다가 술을 마시고, 돌아오던 길에 남악 위부인이 대사에 게 보낸 팔선녀와 만나 수작을 한다. 선방에 돌아온 이후에도 팔선녀의 생각이 떠나지 않 고 불가의 적막함을 탄한다. 이에 육관대사는 성진과 팔선녀를 인간 세계에 보낸다. 성진은 양소유란 인물로 환생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입신양명의 길을 걷는다. 팔선녀는 정경패, 이 소화, 진채봉, 가춘운, 계섬월, 적경홍, 심요연, 백능파 등 여러 모습으로 환생하여 성진과 부부의 연을 맺는다. 온갖 영화를 누리며 살던 중 호승으로 분한 육관 대사를 만나 지금까 지의 모든 부귀영화가 꿈이었음을 알게 된다. 꿈에서 깬 성진은 육관대사의 정법을 물려받 고 보살대도를 얻어 팔선녀와 함께 극락세계로 돌아간다.>
창작시기는 선천 유배지에서 창작되었다는 설과 남해 유배지에서 창작되었다는 설이 있었지만 근래 『서포연보』의 발견으로 선천 창작설이 입증되었다. 그 동기에 대해서는 『서포연보』의 정묘년 기록에서 <“멀리 어머님께서 아들을 그리며 눈물 흘리실 것을 생각하니, 하나는 죽어 이별이요 하나는 생이별이로다.” 또 글을 지어 부쳐서 윤부인의 소일거리를 삼게 하였는데 그 글의 요지는 ‘일체의 부귀영화가 모두 몽환(夢幻)이다.’라는 것이었으니, 또한 부군이 뜻을 넓히고 슬픔을 달래기 위한 것이었다.> 라는 글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일체의 부귀영화가 모두 몽환이다’의 글이 바로 『구운몽』이다.
부귀영화란 양소유의 삶의 성취를 의미하는 것이고 몽환이란 성진의 깨달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운몽>은 대체로 당시의 독자들에게 양소유의 삶의 성취를 지양하는 성진의 깨달음을 주제적 의미로 환기하고 있는 작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구운몽』의 서사적 구성과 그 체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파악해 본다. 『구운몽』의 서사적 전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고 있다.
(가) 성진이 불도를 닦다가 번뇌에 사로잡히면서 유가적인 가치관에 입각한 세속적인 부귀 영화를 부러워하였다.
(나) 꿈(사유)속에서 양처사의 외아들 소유로 태어나 여자와 부와 권력으로 춤만된 부귀영화 를 마음껏 누리다가, 인생의 무상함을 느껴 불법에 귀의하고자 했다.
(다) 꿈(사유)에서 깨어난 성진은 부귀영화와 인생이 허무한 것임을 깨닫고 다시 불도에 정 진, 해탈의 경지에 이르러 극락세계로 갔다.
『구운몽』은 불제자 성진이 양소유를 거쳐 다시 성진으로 돌아오면서 겪는 사유의 여정이다. 이 때 우리가 유의해야 할 점은 (가)의 성진과 (나)의 양소유 (다)의 성진이 동일자이며 개별자라는 사실이다. 특히 (가)의 성진은 (나)의 양소유와 (다)의 성진의 서격이 혼란스럽게 결합되어 있는 인물이며, (다)의 성진은 (나)의 양소유를 매개로 (가)의 혼란스러움을 지양하여 정립된 인물이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가)의 성진은 일차적으로 불도에 전념하여 스승인 육관대사의 법통을 전수받고자 구도하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세속적인 욕구의 세계에 벗어나 참 진리를 지향하는 인물인 것이다. 허나, 육관대사의 심부름으로 용궁을 다녀온 뒤 성진은 법문의 적막함에 동요하고 자신의 구도의 길에 대해 회의하게 되며, 하여 부귀공명 즉 세속적 삶의 형식으로써 유가적인 삶을 꿈꾸게 된다.
(나)의 양소유의 삶은 (가)의 성진의 꿈이 꿈(사유)의 형식으로 실현된다. 여덟 명의 다양한 여인들과 맺는 다채로운 결연의 방식, 과거에 급제하고 외적을 물리치며 공명을 획득하는 상승의 방식은 유가적 삶의 이상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가 이룩한 유가적 성취란 거의 고난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어서 그 성취의 화려함이 두드러지게 돋보이는 것이기도 하면서 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가적 질서, 가부장적 자신을 중심으로 한 위계적 질서는 유가적 조화의 극치를 보여준다. 허나, (가)의 성진으로서 꿈꾸던 유가적 삶이 완성된 순간에 양소유는 다시 욕구 그 자체의 덧없음을 회의 한다. 법문의 적막함에 동요하던 성진이 유문의 충일함을 회의하기에 이른 것이다. 또한 법문의 적막함에 동요하여 부정하던 성진이나 유문의 충일함을 회의하며 부정하는 양소유나 둘이 다른 것이 아닌, 긍극적인 하나임을 깨닫는 것이 바로 (다)의 성진에 의해

키워드

소설,   서포,   김만중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10.2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