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와 배아의 도덕적 지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낙태와 배아의 도덕적 지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명윤리의 철학 내용 정리
1. 낙태에 관한 윤리학적 접근방법
1) 여성주의적 논거
2) 낙태에 관한 여성주의적 시각
3) 연속성 논거
4) 예약이론
5) 잠재성 - 동일성
(1) 경계설정문제
(2) 가치문제
(3) 헤어의 입장
(4) 동일성 논거
2. 태아에 대한 의무란 성립가능한가?
1) 생산의무
2) 사전 배려의 이무

[2] 배아에 관한 타 참고자료의 정리
1. 배아는 어떤 지위를 가지고 있는가?
-워렌의 주장
2. 생명권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경계설정의 문제 (6가지종류)
3. 잠재적 인격체로서의 배아에 대한 논쟁

본문내용

인격주의
수정 순간부터 생물학적으로 인간 존재는 시작하며, 동시에 이 순간부터 철학적으로 인격의 실존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 따라서 인간은 수정란부터 도덕적으로 존중되어야 하고 법률적으로 권리를 갖는다고 주장.
주장 1. 수태되는 순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수태된 태아의 생명권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나아가 전체 도덕 질서가 위협받을 것이라 주장, 따라서 수태되는 순간부터 개별적 인간의 생명권을 인정하여야 한다.
주장
2. 쌍둥이가 될 가능성이 사라진 후
노만 포드
수정 후 바로 개별적인 인간이라 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그 배아를 A라고 하자. 그런데 그 배아가 분할되어 쌍둥이가 되었다. 그렇다면 A와 다른 쌍둥이 B인가? 그럼 누가 A이고 누가 B가 되는가? 그들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보다 원래의 A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아니면 A는 없어지고 새로운 B와 C가 생긴 것인가? 그렇다면 처음의 A는 사라져버린 것인가? 마치 자식 하나가 사라져버렸다면 다른 자식이 생긴다 해도 슬퍼하는 것처럼 우리는 사라져버린 개별적 인간 A에 대해 슬퍼해야 하는가?
이를 고민하던 호주의 멜버른 가톨릭 신학 대학 학장인 노만 포드 신부는 인간의 생명은 수태되는 순간에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수정 후 약 14일 뒤인 쌍둥이가 될 가능성이 사라진 시점 이후라고 주장
주장 3. 수정 후 42일 후
락우드(M. Lockwood)
42일 이전의 인간 배아는 단지 “살아 있는 인간 유기체”일 뿐 결코 인간 본질도 잠재적 인간 본질도 더욱이 잠재적 인격도 아니라고 주장, 뇌의 기본 구조가 형성되는 6주 경계지지
주장 4. 배아의 뇌 발달
자쓰(Hans-Martin Sass)
내측 뇌피질의 초기 형식이 발달하는 수정 후 57일부터 “생성 중인 인간 생명을” 완전히 법률적으로 보호하자고 주장
주장 5. 탯줄의 절단
비른바허(Dieter Birnbacher)
“탯줄의 절단과 함께 자립적 개인으로서 즉 주체로서의 인간의 실존이 시작된다.”
주장 6. 출생 후 일정 시간이 흐른 뒤
피터 싱어
“일주일 된 아기는 합리적이고 자기의식적인 존재가 아니다. …… 만약 태아가 생명권을 갖지 않는다면, 신생아도 그러한 권리를 갖지 못할 것이고, 신생아의 생명은 돼지, 개, 침팬지의 생명보다 덜 가치로울 것이다.”
3. 잠재적 인격체로서의 배아에 대한 논쟁
가톨릭 신학자 누넌(John T. Noonan)은 「역사에서 거의 절대적인 가치」에서 피임이나 자위행위 역시 잠재적 인격체를 해치는 행위가 아닌가에 대한 물음에 정자의 파괴와 배아의 파괴는 구분됨을 주장
→ 정자 하나가 이성과 감정을 지니게 될 확률은 2억 분의 1보다 적은 반면에, 배아는 아이가 될 확률이 80퍼센트나 된다
피터 싱어의 배아의 잠재성 논증 거부
“잠재적 X는 X가 가지는 모든 권리를 갖는다고 말하는 규칙은 없다. 찰스 황태자가 영국의 잠재적 왕이지만, 그가 왕의 권리를 현재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미래에는 인간이 된다 할지라도 현재의 태아는 미래의 인격으로서의 인간 존재가 가지는 권리를 동등하게 가질 수 없다고 주장
참고문헌
피터싱어(장동익 옮김), 『삶과 죽음(생명의료 윤리의 도전)』,철학과 현실사(2003)
Gregory E. Pence 지음 김장한ㆍ구영모, 『의료윤리Ⅰ(Classic Cases in Medical Ethics)』,광연제(2004)
구인회, 『생명윤리 무엇이 쟁점인가』, 아카넷(2005)
별제 : 발표간 파워포인트 내용은 발표시간상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피터싱어(김성한외3인 옮김),『응용윤리』,철학과 현실사(2005)”의 구성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본문의 내용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2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