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션제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션제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겉표지> 화공 기초/응용 및 실험
실험 결과 보고서
실험 제목: 아스피린의 합성
실험 일자:
보고서 제출일:
작성자:
공동실험자:
1. 실험 목적
기초 화장품의 기본 제형인 스킨, 로션을 직접 제조해봄으로써 계면활성제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인 가용화(solubilization) 및 유화(emulsification)에 관해 이해하며 제조된 제형의 기본적인 물성을 체크하여 기초 화장품의 품질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2. 기본 이 론
화장품은 크게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기초화장품은 주로 피부보호와 건강을 위해 주로 이용하며 색조화장품은 주로 피부색 보정 등을 통한 피부미화를 위해 많이 이용된다. 여기서는 계면활성제를 주로 이용하여 제형화하는 기초화장품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기로 하자.
<스킨 및 로션 화장품의 주요 구성 요소>
스킨 및 로션 화장품은 유성원료, 계면활성제, 보습제, 방부제, 용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유성 원료
화장품의 유성 원료는 화장품의 유상층을 담당하는 원료로서 피부에 유분막을 형성시켜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보습을 유지시켜주며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유연제(에몰리엔트제, emollient)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성 원료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 할 수 있다.
구분
특징

식물성 유지
식물의 잎이나 열매에서 추출하며 피부흡수가 낮다.
해바라기 오일, 포도씨오일, 동백유, 피마자 오일
동물성 유지
동물에서 추출하며 피부친화성이 좋고 흡수가 빠르다.
밍크오일, 에뮤 오일, 난황유
광물성 유지
석유나 광물에서 추출하고 무색투명무취 이며 피부 흡수가 비교적 좋다.
파라핀, 바셀린, 실리콘계오일
<출처 하병조 외 4명, 화장품화학, 수문사>
즉, 유성 원료는 지용성이고 피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며 사용 감축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2) 계면활성제(surfactant)
계면활성제는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종류도 많고 사용 범위도 대단히 넓은 화학물질이다. 식품, 화장품, 약, 세제, 샴푸, 치약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마주치는 수 많은 생활용품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다.
화장품에도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다. 안전한 에멀션 상태를 유지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만약에 피부에 바르려고 화장품을 열었을 때 기름과 물이 분리된 상태로 있다면 화장품을 사용하고 싶은 마음은 싹 사라질 것이다. 연구를 통하여 피부에 안전한 계면활성제와 그 양을 잘 조절하여 안정한 상태로 에멀션을 유지하도록 만든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용액중에서 계면(기-액, 액-액, 액-고) 등의 계면의 성질을 현저하게 변화시키는 계면활성력이 있어 유화, 가용화, 침투, 습윤, 분산, 세정,, 보습, 살

추천자료

  • 가격8,4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10.28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