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지역공동체 기관방문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지역공동체 기관방문보고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관방문보고서


<장애인지역공동체>
1. 장애인 지역공동체란 어떤 곳 입니까?
2. 장애인 지역공동체를 찾아오는 길은?
3.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연역은 어떻게 됩니까?
4.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설립 취지는 무엇 입니까?
5.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사업내용은 무엇 입니까?
6.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예산 규모 및 그 내용은 어떻게 됩니까?
7.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조직은 어떻게 구성 됩니까?
8.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이용인원 및 구체적인 서비스는 어떻게 됩니까?
9. 질라라비 장애인 야간학교란?
9. 기관방문 후기
10. 조원들의 개인적인 소감

본문내용

기관방문보고서
<장애인지역공동체>
저희 조는 이번 기관방문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위치한 ‘장애인지역공동체’를 방문하였습니다. 방문일시는 2007년 4월 4일 이었으며 저희 조원 모두 방문하였고 ‘장애인지역공동체’를 먼저 방문하고 후에 부설 단체인 ‘질라라비 장애인야학’을 견학하였습니다.
‘장애인지역공동체’에서는 상근 간사로 계신 지체장애인 하태운 선생님께 질문을 통한 인터뷰 할 수 있었고 여러 가지 자료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질문내용과 기타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장애인 지역공동체란 어떤 곳 입니까?
장애인지역공동체는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 참여와 완전한 사회 평등을 위해 장애인차별에 맞서 열심히 투쟁하는 장애 인권단체입니다. 2000년 장애인 지역공동체 설립 이후 질라라비장애인야간학교와 다릿돌 장애인독립생활센터를 부설기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2006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사업 중개기관으로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 장애인 지역공동체를 찾아오는 길은?
3.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연역은 어떻게 됩니까?
2000. 3. 11 : 장애인지역공동체 설립
2000. 3. 11 : 부설 질라라비 장애인 야간학교
2002. 4. : ‘장애인의 날’ 거리 행진
2002. 4. : 대구 MBC 장애인의 날 특집 ‘울타리 없는 학교 질라라비 방영’
2003. 5. : 어린이날 큰잔치 주최
2003. 9. : 장애청소년 한마당 ‘2003 공감 그리고 난감’ 개최
2003. 11. : 장애인 수능시험 관련 국가인권위 제소(합의)
2004. 2. : 부설 다릿돌IL센터 설립
2004. 7. : 부설 다릿돌IL센터- 활동보조인 연합 Homestay
2004. 7. : 다릿돌IL센터 여름캠프
2005. 7. : 대구지하철 무인화 반대 집회
2005. 4. : 4.20 ‘장애인 차별 철페의 날’ 거리행진
2005. 8. : 성서 공동체 FM방송참여
2006. 5.~현재: 대구중증장애인생존권확보연대 공동대표단체
2006. 7.~현재: 대구장애인교육권연대 공동대표단체
2006. 9.~현재: 주거권대책위원회 활동
2006. 11~현재: 대구 중증장애활동보조사업 진행 중
4.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설립 취지는 무엇 입니까?
먼저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통합을 이루어 내기위해 장애인을 교육하고, 문화체험과, 사회참여를 통하여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평등을 이루는 것을 이념으로 합니다. 나아가 모든 장애인이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을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설립취지 및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5.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사업내용은 무엇 입니까?
-지역사회 장애인인권 운동 및 권익 옹호운동
-중증장애인들을 위한 야간학교 운영(질라라비야간학교)
-중증장애인 독립생활 센터 운영(다릿돌IL센터)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인 파견 사업(다릿돌IL센터)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장애인을 위한 권익 옹호운동입니다. 그 안에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과 사회의 정책변화를 위해 투쟁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현제 장애인의 활동보조인 서비스 개선을 위해 상근자가 공동투쟁단에 참여해 단식 농성 중입니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사회 투쟁을 하고 있습니다.
6.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예산 규모 및 그 내용은 어떻게 됩니까?
1) 예산총액=178,370천원
: 정부보조금 16.200천원(기획사업 승인 시 받을 수 있음)
자체수입 162, 170천원
2)재원구선(100%환산)
: 회비수입 53, 511천원(30%),
기부금 31,348천원(25%),
보조금 44,593천원(25%)
사업수익 45,000천원(15%)
기타 3,918천원(5%)
구체적으로 알려드릴 수 있는 부분은 이정도입니다. 정부 보조금은 정기적이지 않고 기획사업의 수와 정부의 승인 유무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7.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조직은 어떻게 구성 됩니까?
1)회원 수: 116명
2)사무국 직원 수: 5명(대표1명, 소장1명, 야학간사1명, IL센터간사1명, 컴퓨터강사1명)
8. 장애인 지역공동체의 이용인원 및 구체적인 서비스는 어떻게 됩니까?
기타 장애인 복지관과는 성격이 다르므로 특별히 이용인원이라 부를만한 사람은 없습니다. 또한 구체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단체가 아니라서 이 항목역시 장애인지역공동체와는 조금 거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조직에 대해 말씀드릴 때도 있었듯이 회원 수는 총 116명이며 사무국 직원이 5명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회원들이 이용인원이 될 수 있고 우리가 하는 투쟁사업 등을 타기관의 서비스와 같은 맥락에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인 파견사업 같은 경우 중증장애인의 독립생활을 기본 바탕으로 활동보조인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파견, 배치하는 사업으로 중증장애인의 권리인 활동보조인서비스를 보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중증장애인46명 모집하며 활동보조인 70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9. 질라라비 장애인 야간학교란?
장애인지역공동체의 부설 기관인 질라라라비 장애인 야간학교를 견학해서 조민제 선생님께
들은 간단핸 내용을 적어 보았습니다.
1)질라라비 장애인 야간하교란 어떤 곳입니까?
학령기를 놓친 장애성인에게 검정고시 교육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10.3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