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 연쇄살인의 이해
PART 2 : 국내외의 연쇄살인
PART 3 : 연쇄살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ART 2 : 국내외의 연쇄살인
PART 3 : 연쇄살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문내용
여성을 만나게 되면 소름이 돋는 느낌을 받으며 \'죽어 마땅한 년\'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미처 날뛰는 연쇄살인범과 뒤를 쫓는 형사]
▼
대부분의 살인사건 전문 형사들의 보고에 의하면, 일단 한 지역에서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했을 때 가장 경찰을 당혹스럽게 하는 것이 이 낚시질 단계 혹은 스토킹 단계이다. 연쇄살인범이 피해자들을 하나씩 골라가며 뒤쫓으며 범행을 계획하고 있을 때 경찰은 그저 의자에 앉아서 실낱같은 단서만을 부여잡고 끙끙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연쇄살인사건이 가지는 엽기성과 흥미진진함 때문에 언론은 관심과 초점이 모아진다는 점이다. 매일 저녁 텔레비전 뉴스에 관련기사가 보도되면 연쇄살인범들이 경찰의 수사진행상황을 연구하든지, 언론의 보도 방향을 추적해서 경찰과 언론의 촉수를 피하기 위해 자신의 범행 수법을 변경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과정에서 살인사건을 계속 일어나고 시체들은 줄지어 발견되는데 경찰의 수사는 제 자리를 맴돌고 있어 경찰이 완전히 무능하고 무기력한 존재로 비추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아틀란타 어린이 살인사건의 경우 경찰에 대한 비난의 강도가 높아지자 결국 미국 전역의 대도시에서 최고의 형사들만을 모아 슈퍼 형사대라는 태스크 포스를 구성할 지경에 이르렀다. 그렇게 되자 태스크포스에 참가한 각 지역 또는 기관 출신 형사들 간 갈등과 마찰이 끊이지 않았고 결국 죠이아 수사국에서 온한 형사가 잠복근무 중에 웨인 윌리엄스라는 범인을 발견할 때 까지 수개월 동안 성과 없는 수색작업만 계속되었다.
[연쇄살인 사건 수사에는 선제공격이 최선의 방법]
▼
테드 번디 사건을 수사했던 시애틀 경찰의 봅 케펠 형사는 연쇄살인 사건 수사에 있어 자신을 가장 괴롭혔던 것은 살인자가 버젓이 돌아다니며 다음 희생자를 물색하고 다니는데 경찰에서는 속수무책이라는 사실 그 자체였다고 토로했다. 경찰은 항상 이미 차갑게 식어있는 흔적을 쫓으며 살인자에 비해 아주 큰 걸음으로 두 걸음 뒤쳐져 있게 되는데, 첫째는 실종된 사람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것과 둘째는 훼손되거나 부패한 시신의 신원을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케펠 형사는 테드 번디 사건을 수사하면서 중요한 교훈을 얻었는데, 경찰은 연쇄살인사건 수사를 함에 있어 결코 일상적인 살인사건처럼 사건이 발생한 뒤 범인을 추적하는 사후대응적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반드시 선제공격을 해야 만이 승산이 있는데, 경찰은 살인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해서 다음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어야만 한다.
살인범이 선호하는 피해자의 특성과 살해 후의 시체 상태가 경찰이 평가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이다. 일단 어떤 종류의 피해자가 선호대상인지가 파악되면 경찰력을 특정지역 또는 계층에 집중 배치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케펠 형사의 견해가 FBI 행동과학부의 결정 및 범죄자특성파악기법 개발의 효시가 되었다. 이후 FBI 행동과학부에서는 관련정보를 모아 연쇄살인사건 용의자의 성격적 특성을 조합해서 지역경찰이 연쇄살인사건 용의자를 찾아내고 취조하는 데 결정적인 지원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③ 연쇄살인의 심리 제3단계
-구애단계(The Wooing Phase)
▼
연쇄살인범들은 피해자들을 유혹하여 덫으로 끌어들인다. 대부분의 연쇄살인범들은 피해자의 신임을 얻어 경계심을 허문 다음에 덫으로 유인한다. 예를 들어 콜럼버스 스토킹 연쇄살인사건 피해자들 중 유일한 생존자인 루스 쉬밥에 따르면, 살인마 게리가 그녀의 목을 조르며 강간을 하여 삶과 죽음 사이를 오가기 직전까지도 야릇하고 에로틱한 쾌감을 느꼈다고 한다.
여러 명의 소년들을 죽여 자신의 집 자하에 파묻은 시카고의 건축업자 죤 게이시는 피해 소년들에게 같이 있어주는 대가로 취직시켜주고 성적인 봉사를 하는 대가로 돈을주겠다고 유혹하였으며 때로는 아버지 같은 따스함과 이해심을 보이며 소년들을 유인했다. 그리고 일단 소년들이 그를 따라 그의 집이나 사무실 또는 공사현장까지 오면 완전히 상황을 장악하였다. 따라온 소년이 그저 시키는 대로하고 돈만 바라면 그는 소년을 농락하며 성적 즐거움을 맛보고 돈을 주어 돌려보냈다. 하지만 소년이 저항하거나 자신을 속이려하면 게이시는 바로 소년의 머리를 주먹으로 내리쳐 제압하고 꽁꽁 묶고 나서는 강간하고 잔인하게 고문하고는 죽였다.
어린이들을 연쇄 살인한 오티스 툴 같은 경우는 쇼핑물이나 어린이들의 집 뒷마당 또는 학교 운동장 같은 데서 어린이들을 유혹애서 먼 곳으로 데려갔다.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사탕을 주거나 부모님께 데려다 주겠다고 약속하는 낯선 사람들을 두려워하지 않고 잘 따라간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연쇄살인범의 평상시 모습은 대개 순하고 부드럽다. 연쇄살인범들에게서 발견되는 아주 놀라운 모습들 중의 하나는 그들이 결코 혐오스럽게 생겼다거나 불안감을 조성하는 타입이 아니라는 점이다. 연쇄살인범들은 결코 피해자들을 폭력으로 위협하며 끌고 가지 않고 오히려 마각을 드러내기 전까지는 순진한 모습으로 유혹을 한다.
예를 들어 시애틀 법대의 야간부 학생이었던 테드 번디는 아주 귀엽고 소년 같은 외모와 분위기로 여자 희생자들의 동정심과 모성본능을 자극해서 팔을 다친 가여운 초년생을 도와준다고 느끼도록 만들었다. 그는 통상적인 남녀관계의 틀을 뒤집어서 여인들의 환심을 사는 데 전문가였다. 오히려 피해자들이 강하고 건강한 사람이었으며 주차장이나 해변가에서 다치고 약해 보이는 미남청년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가갔고 살인자는 부상당하고 겸손한 태도로 아주 부끄러워하며 도움을 청했다. 피해자들이 저항하는 예는 극히 드물다.
-사냥을 할 줄 아는 매는 발톱을 감춘다고 했나?-
연쇄살인사건을 수사하는 형사들이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 시작할 무렵 발견하게 되는 가장 첫 번째 사실은 피해자들이 살인범을 상대로 거의 저항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테드 번디 사건을 수사했던 시애틀 경찰국의 밥 케펠 형사가 미미한 단서들과 살인자로부터 가까스로 도망친 피해자들의 진술을 종합해서 어렵게 재구성해 낸 상황 역시 피해자들이 전혀 위험을 예감하지 못하고 자진해서 살인마의 품안으로 들어갔다는 것이다.
연쇄살인범은 대게 피해자를 고를
[미처 날뛰는 연쇄살인범과 뒤를 쫓는 형사]
▼
대부분의 살인사건 전문 형사들의 보고에 의하면, 일단 한 지역에서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했을 때 가장 경찰을 당혹스럽게 하는 것이 이 낚시질 단계 혹은 스토킹 단계이다. 연쇄살인범이 피해자들을 하나씩 골라가며 뒤쫓으며 범행을 계획하고 있을 때 경찰은 그저 의자에 앉아서 실낱같은 단서만을 부여잡고 끙끙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연쇄살인사건이 가지는 엽기성과 흥미진진함 때문에 언론은 관심과 초점이 모아진다는 점이다. 매일 저녁 텔레비전 뉴스에 관련기사가 보도되면 연쇄살인범들이 경찰의 수사진행상황을 연구하든지, 언론의 보도 방향을 추적해서 경찰과 언론의 촉수를 피하기 위해 자신의 범행 수법을 변경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과정에서 살인사건을 계속 일어나고 시체들은 줄지어 발견되는데 경찰의 수사는 제 자리를 맴돌고 있어 경찰이 완전히 무능하고 무기력한 존재로 비추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아틀란타 어린이 살인사건의 경우 경찰에 대한 비난의 강도가 높아지자 결국 미국 전역의 대도시에서 최고의 형사들만을 모아 슈퍼 형사대라는 태스크 포스를 구성할 지경에 이르렀다. 그렇게 되자 태스크포스에 참가한 각 지역 또는 기관 출신 형사들 간 갈등과 마찰이 끊이지 않았고 결국 죠이아 수사국에서 온한 형사가 잠복근무 중에 웨인 윌리엄스라는 범인을 발견할 때 까지 수개월 동안 성과 없는 수색작업만 계속되었다.
[연쇄살인 사건 수사에는 선제공격이 최선의 방법]
▼
테드 번디 사건을 수사했던 시애틀 경찰의 봅 케펠 형사는 연쇄살인 사건 수사에 있어 자신을 가장 괴롭혔던 것은 살인자가 버젓이 돌아다니며 다음 희생자를 물색하고 다니는데 경찰에서는 속수무책이라는 사실 그 자체였다고 토로했다. 경찰은 항상 이미 차갑게 식어있는 흔적을 쫓으며 살인자에 비해 아주 큰 걸음으로 두 걸음 뒤쳐져 있게 되는데, 첫째는 실종된 사람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것과 둘째는 훼손되거나 부패한 시신의 신원을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케펠 형사는 테드 번디 사건을 수사하면서 중요한 교훈을 얻었는데, 경찰은 연쇄살인사건 수사를 함에 있어 결코 일상적인 살인사건처럼 사건이 발생한 뒤 범인을 추적하는 사후대응적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반드시 선제공격을 해야 만이 승산이 있는데, 경찰은 살인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해서 다음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어야만 한다.
살인범이 선호하는 피해자의 특성과 살해 후의 시체 상태가 경찰이 평가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이다. 일단 어떤 종류의 피해자가 선호대상인지가 파악되면 경찰력을 특정지역 또는 계층에 집중 배치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케펠 형사의 견해가 FBI 행동과학부의 결정 및 범죄자특성파악기법 개발의 효시가 되었다. 이후 FBI 행동과학부에서는 관련정보를 모아 연쇄살인사건 용의자의 성격적 특성을 조합해서 지역경찰이 연쇄살인사건 용의자를 찾아내고 취조하는 데 결정적인 지원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③ 연쇄살인의 심리 제3단계
-구애단계(The Wooing Phase)
▼
연쇄살인범들은 피해자들을 유혹하여 덫으로 끌어들인다. 대부분의 연쇄살인범들은 피해자의 신임을 얻어 경계심을 허문 다음에 덫으로 유인한다. 예를 들어 콜럼버스 스토킹 연쇄살인사건 피해자들 중 유일한 생존자인 루스 쉬밥에 따르면, 살인마 게리가 그녀의 목을 조르며 강간을 하여 삶과 죽음 사이를 오가기 직전까지도 야릇하고 에로틱한 쾌감을 느꼈다고 한다.
여러 명의 소년들을 죽여 자신의 집 자하에 파묻은 시카고의 건축업자 죤 게이시는 피해 소년들에게 같이 있어주는 대가로 취직시켜주고 성적인 봉사를 하는 대가로 돈을주겠다고 유혹하였으며 때로는 아버지 같은 따스함과 이해심을 보이며 소년들을 유인했다. 그리고 일단 소년들이 그를 따라 그의 집이나 사무실 또는 공사현장까지 오면 완전히 상황을 장악하였다. 따라온 소년이 그저 시키는 대로하고 돈만 바라면 그는 소년을 농락하며 성적 즐거움을 맛보고 돈을 주어 돌려보냈다. 하지만 소년이 저항하거나 자신을 속이려하면 게이시는 바로 소년의 머리를 주먹으로 내리쳐 제압하고 꽁꽁 묶고 나서는 강간하고 잔인하게 고문하고는 죽였다.
어린이들을 연쇄 살인한 오티스 툴 같은 경우는 쇼핑물이나 어린이들의 집 뒷마당 또는 학교 운동장 같은 데서 어린이들을 유혹애서 먼 곳으로 데려갔다.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사탕을 주거나 부모님께 데려다 주겠다고 약속하는 낯선 사람들을 두려워하지 않고 잘 따라간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연쇄살인범의 평상시 모습은 대개 순하고 부드럽다. 연쇄살인범들에게서 발견되는 아주 놀라운 모습들 중의 하나는 그들이 결코 혐오스럽게 생겼다거나 불안감을 조성하는 타입이 아니라는 점이다. 연쇄살인범들은 결코 피해자들을 폭력으로 위협하며 끌고 가지 않고 오히려 마각을 드러내기 전까지는 순진한 모습으로 유혹을 한다.
예를 들어 시애틀 법대의 야간부 학생이었던 테드 번디는 아주 귀엽고 소년 같은 외모와 분위기로 여자 희생자들의 동정심과 모성본능을 자극해서 팔을 다친 가여운 초년생을 도와준다고 느끼도록 만들었다. 그는 통상적인 남녀관계의 틀을 뒤집어서 여인들의 환심을 사는 데 전문가였다. 오히려 피해자들이 강하고 건강한 사람이었으며 주차장이나 해변가에서 다치고 약해 보이는 미남청년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가갔고 살인자는 부상당하고 겸손한 태도로 아주 부끄러워하며 도움을 청했다. 피해자들이 저항하는 예는 극히 드물다.
-사냥을 할 줄 아는 매는 발톱을 감춘다고 했나?-
연쇄살인사건을 수사하는 형사들이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 시작할 무렵 발견하게 되는 가장 첫 번째 사실은 피해자들이 살인범을 상대로 거의 저항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테드 번디 사건을 수사했던 시애틀 경찰국의 밥 케펠 형사가 미미한 단서들과 살인자로부터 가까스로 도망친 피해자들의 진술을 종합해서 어렵게 재구성해 낸 상황 역시 피해자들이 전혀 위험을 예감하지 못하고 자진해서 살인마의 품안으로 들어갔다는 것이다.
연쇄살인범은 대게 피해자를 고를
추천자료
신용카드 사용의 장단점과 정부규제의 필요성
사회적고립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
사회문제로서의 성폭력
사형제도 논란
양들의침묵 간호진단 줄거리 (양들의 침묵을 보고)
[사이코패스] 사이코패스의 정의, 원인, 특징, 사이코패스의 사례, 진단 및 사이코패스 해결방안
MMPI를 활용한 범죄자 성격프로파일링 및 재범예측 해석및 요약
사이코패스 범죄의 의의, 실태분석 및 문제점과 대응방안, 예방법.
성범죄, 싸이코패스, 사이코패스,집단성폭력,집단강간,강간,성폭력,성희롱,성범죄,아동성폭력...
범죄 심리학 -사이코패스의 범죄심리학적 분석
프로파일링(Profiling) (프로파일러, 프로파일링의 목적과 과정 및 발전(역사), 전제 조건, ...
성범죄 문제와 사회복지적 대책(성범죄자, 성범죄자치료프로그램, 교정시설내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