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업설계 및 학습과제 분석
1. 교재 및 단원명
2. 학습과제 분석
지구과학과 본시 학습 지도안
탐구 활동
1. 교재 및 단원명
2. 학습과제 분석
지구과학과 본시 학습 지도안
탐구 활동
본문내용
거리가 다르다.
2. 손전등의 밝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토의해보자.
손전등에서 나오는 고유의 불빛의 양과 거리이다
3. 밝기와 거리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토의해보자.
거리가 멀어질수록 밝기는 어두워진다
모둠별로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탐구를 수행하고 토의를 통해 결과를 종합한다.
모둠장이 종합한 결과를 발표한다.
탐구활동지 제시
실험 준비물-작은 손전등(2개), 큰 손전등(1개), 검은도화지
5분
3) 별의 밝기와 별까지의 거리의 관계
: 별까지의 거리가 2배, 3배로 멀어지면 별빛이 비치는 면적은 거리의 제곱인 4배, 9배로 넓어지므로 단위 면적에 비치는 별빛의 밝기는 각각 1/4, 1/9로 어두워짐
별의 밝기는 별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
별의 밝기 ∝ 1/거리2
4)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① 겉보기 등급(실시 등급)
: 별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맨눈으로 본 별의 밝기에 따른 등급
지구에 도달하는 별빛의 양을 비교.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할 때 이용되지 못함
② 절대 등급
: 별을 10pc의 거리에 두었을 때의 밝기에 따른 등급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할 때 이용되며 절대 등급이 작을수록 실제로 더 밝은 별
판서 내용 필기
탐구 활동 과정을 정리한다.
탐구
학습
연주시차
5분
칠판 가운데 서서 오른쪽에 A 왼쪽에 B 라고 쓴다. 그리고 양 끝 분단에 앉은 학생들에게 교사가 어느 알파벳에 더 가깝게 보이는지 이야기 해 보도록 한다.
질문: 왜 친구들의 이야기가 다를까?
답변: 학생의 위치에 따라 선생님의 위치가 달라 보이기 때문이다..
*http://gaia.busanedu.net/%7Egest2003/doc/motion/revolution-evidence.htm에서 플래쉬 자료를 보여주며 지구의 공전과 시차의 관계의 이해를 돕도록 한다..
두학생의 답 차이가 왜 일어나는지 생각해 본다.
별까지의 거리와 연연주 시차
3분
5) 별까지의 거리와 연주 시차
(1) 연주 시차
① 시차 : 관측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배경을 기준으로 물체의 위치가 바뀌어 보이는 각
먼 곳에 있는 물체일수록 작음 (단위 ″)
② 연주 시차
ⅰ) 지구 공전 궤도의 양끝에서 별까지 그은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1/2
ⅱ) 별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연주 시차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음
ⅲ) 너무 멀리 있는 별은 연주 시차가 너무 작게 나오 므로, 100pc이내의 별일 경우에 이용됨
r = (1/p″) pc
참고)
① 1AU(천문 단위) :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로, 1.5×108km
② 1LY(광년) : 빛이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9.46×1012km
③ 1pc(파섹) : 연주 시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
1pc = 206265AU = 3.26LY ≒3×1013km
전개
2.별은 어떤 색일까.
7분
2. 별은 어떤 색일까?
불에 달군 쇠의 색은 어떤가요? 식어가는 용암의 색은 어떤가요?
1) 별의 색깔
용광로의 쇳물과 같이 스스로 빛을 만들어 방출하는 물체는 그 물체에 따라 특정한 색깔의 빛을 더 많이 방출하여 특정한 색으로 보인다. 온도가 높은 물체일수록 파란색으로 보이고 온도가 낮은 물체일수록 붉은색 쪽으로 보인다.
별은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을 방출한다. 따라서 별의 색깔도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2) 베텔규스와 리겔의 색 비교
- 베텔규스와 리겔의 온도는? (표 참조)
붉은색의 베텔규스는 3500℃이고, 청백색의 리겔은 10000~30000℃이다.
별은 온도가 높을 수록 파란색을 띠고 온도가 낮을 수록 붉은색을 띤다.
판서 내용 필기
사진을 보고 스스로 생각하기
정리
학습내용 정리
4분
본시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1.
2. 손전등의 밝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토의해보자.
손전등에서 나오는 고유의 불빛의 양과 거리이다
3. 밝기와 거리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토의해보자.
거리가 멀어질수록 밝기는 어두워진다
모둠별로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탐구를 수행하고 토의를 통해 결과를 종합한다.
모둠장이 종합한 결과를 발표한다.
탐구활동지 제시
실험 준비물-작은 손전등(2개), 큰 손전등(1개), 검은도화지
5분
3) 별의 밝기와 별까지의 거리의 관계
: 별까지의 거리가 2배, 3배로 멀어지면 별빛이 비치는 면적은 거리의 제곱인 4배, 9배로 넓어지므로 단위 면적에 비치는 별빛의 밝기는 각각 1/4, 1/9로 어두워짐
별의 밝기는 별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
별의 밝기 ∝ 1/거리2
4)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① 겉보기 등급(실시 등급)
: 별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맨눈으로 본 별의 밝기에 따른 등급
지구에 도달하는 별빛의 양을 비교.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할 때 이용되지 못함
② 절대 등급
: 별을 10pc의 거리에 두었을 때의 밝기에 따른 등급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할 때 이용되며 절대 등급이 작을수록 실제로 더 밝은 별
판서 내용 필기
탐구 활동 과정을 정리한다.
탐구
학습
연주시차
5분
칠판 가운데 서서 오른쪽에 A 왼쪽에 B 라고 쓴다. 그리고 양 끝 분단에 앉은 학생들에게 교사가 어느 알파벳에 더 가깝게 보이는지 이야기 해 보도록 한다.
질문: 왜 친구들의 이야기가 다를까?
답변: 학생의 위치에 따라 선생님의 위치가 달라 보이기 때문이다..
*http://gaia.busanedu.net/%7Egest2003/doc/motion/revolution-evidence.htm에서 플래쉬 자료를 보여주며 지구의 공전과 시차의 관계의 이해를 돕도록 한다..
두학생의 답 차이가 왜 일어나는지 생각해 본다.
별까지의 거리와 연연주 시차
3분
5) 별까지의 거리와 연주 시차
(1) 연주 시차
① 시차 : 관측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배경을 기준으로 물체의 위치가 바뀌어 보이는 각
먼 곳에 있는 물체일수록 작음 (단위 ″)
② 연주 시차
ⅰ) 지구 공전 궤도의 양끝에서 별까지 그은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1/2
ⅱ) 별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연주 시차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음
ⅲ) 너무 멀리 있는 별은 연주 시차가 너무 작게 나오 므로, 100pc이내의 별일 경우에 이용됨
r = (1/p″) pc
참고)
① 1AU(천문 단위) :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로, 1.5×108km
② 1LY(광년) : 빛이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9.46×1012km
③ 1pc(파섹) : 연주 시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
1pc = 206265AU = 3.26LY ≒3×1013km
전개
2.별은 어떤 색일까.
7분
2. 별은 어떤 색일까?
불에 달군 쇠의 색은 어떤가요? 식어가는 용암의 색은 어떤가요?
1) 별의 색깔
용광로의 쇳물과 같이 스스로 빛을 만들어 방출하는 물체는 그 물체에 따라 특정한 색깔의 빛을 더 많이 방출하여 특정한 색으로 보인다. 온도가 높은 물체일수록 파란색으로 보이고 온도가 낮은 물체일수록 붉은색 쪽으로 보인다.
별은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을 방출한다. 따라서 별의 색깔도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2) 베텔규스와 리겔의 색 비교
- 베텔규스와 리겔의 온도는? (표 참조)
붉은색의 베텔규스는 3500℃이고, 청백색의 리겔은 10000~30000℃이다.
별은 온도가 높을 수록 파란색을 띠고 온도가 낮을 수록 붉은색을 띤다.
판서 내용 필기
사진을 보고 스스로 생각하기
정리
학습내용 정리
4분
본시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1.
추천자료
국어하.고등국어.학습지도안(7.전통과 창조)
학습지도안 작성
학습지도안(기후와 인간생활)
학습지도안(농구)
학습지도안 ( 생활국어 2-1 4단원 내용 구성하여 쓰기
학습지도안 중학교 국어의 수업지도안입니다.
교수-학습지도안 : 중1 기술․가정 - Ⅴ. 컴퓨터와 정보 처리
학습지도안 - 가공식품 선택을 위한 식품 표시 제도를 알자
학습지도안 - 영양표시를 읽자
학습지도안-한강수타령
학습지도안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
학습지도안 작성법 필요성 작성시 유의점
학습지도안 작성 - 방송 댄스를 통한 협동심과 경쟁심 제고와 다이어트
학습지도안 - 지구의 층상구조 [중학교1학년 지구과학, 지구 전체적인 구조는 어떠한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