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사당」시 연구 - 시적 화자의 인지구조를 중심으로 _ 노천명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사당」시 연구 - 시적 화자의 인지구조를 중심으로 _ 노천명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굴욕된 남성(男聲)의 슬픈 풍속도

Ⅲ. 결론

본문내용

자 자신의 삶과 정체성을 인지하게 한다. ‘남사당’의 삶이 지닌 이중성을 여러 인지 구조를 통해 깨닫고 있는 것이다.
이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인지대상
인지행위
자아심리
인지시간
1
道具
노새 등에 도구를 실음
담담함
현재-새벽
2
노새의 뒤
따라감
담담함
현재-새벽
3
산딸기의 이슬
털어냄
담담함
현재-새벽
4
새벽
놀이를 위한 길을 떠남
쓸쓸함
현재-새벽
5
날라리 소리
나의 심리를 이입함
슬픔
현재-새벽
6
새벽
슬픔과 기쁨이 공존하는 새벽과
자신의 처지를 동일시함
슬픔
비극적
현재-새벽
이상에서 화자를 중심으로 살펴본 인지 의미를 정리해 보자면, 화자의 삶은 남성과 여성, 정착과 유랑, 만남과 헤어짐, 기쁨과 슬픔이라는 이중성을 지닌다. 이들의 동일한 의미구조를 형성하면서 시의 전체적인 의미를 관통한다. ‘남성-정착-만남-기쁨’은 남성으로서의 화자가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여성-유랑-헤어짐-슬픔’은 현재 남사당의 삶을 선택한 화자를 지배하고 있는 것들이다. 그 중에서도 ‘남성성’(男性性)과 정착에 대한 소망을 가진 화자의 모순적인 태도는 그의 삶을 더욱 비극적이고 절망적이게 만든다. ‘집시의 피’가 흐르는 ‘남사당’으로서의 삶을 살아감으로서 감내해야 하는 인생의 비애와 그 슬픔이 시의 곳곳에서 느껴진다.
Ⅲ. 결론
서론에서 밝혔듯이 본고의 작업은 「남사당」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 및 시인의 상상력 구조양상을 파악하여 그 구조의 미학적인 가치를 세밀하게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즉 본고의 핵심은 시텍스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논의의 중점을 두는 그것이었다.
본론에서는 각 연별 행마다의 인지대상, 인지행위, 자아심리, 인지시간등을 분석하여 정리하였고 이를 통해 시인이 텍스트로 표현하고자 했던 근본적인 의미를 인지시학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게 하였다.
노천명은「남사당」에서 향토적인 정서와 고독이 바탕에 깔려있는 청순한 시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고독한 삶을 보냈던 그녀는 억압된 외부의 현실로 인해 더욱더 깊은 고독을 전제로 한 시들을 창작해 내곤 하였다. 그 결과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노천명 시속의 화자는 자전적인 요소가 투영되어 있다. 「남사당」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자신과 닮은 화자를 등장시킴으로써 독자는 결국 시인의 내면 정서에 동일시하고자 하는 감상 태도를 지니게 된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남사당」의 시 연구뿐 아니라 노천명 시인의 시적 삶을 고찰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그녀의 실제 삶에 관한 연구는 많은 논의가 되고 있고 날카로운 비판도 없지 않다. 하지만 문학적인 측면에서만 그녀의 시를 분석해 보았을 때 억눌러진 자아와 표출하지 못하는 감정들을 절제된 언어로 담담하게 써내려간 텍스트는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이 높은 가치를 지닐 것이라고 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는 그녀의 시 중 「남사당」에 관한 텍스트를 분석적으로 연구해내었다. 그러나 그 인지항목과 내용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고, 인지 분석면에서 전문적이지 못한 측면이 보인다. 이는 후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리라 본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1.0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1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