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교, 신대원) [요약, 감상문] 최근 구약성서의 신앙 _ 차준희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학교, 신대원) [요약, 감상문] 최근 구약성서의 신앙 _ 차준희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부. 구약성서의 개관
제1장. 정경순서로 본 구약성서
제2장. 역사로 본 구약성서

제2부. 오경 : 하나님께 귀 기울인 사람들의 신앙
제1장. 토라의 신학적 이해
제2장. 환경보존과 기독교의 구원
제3장 : 가족과 재회하는 요셉(창42-45장)
제4장. 구약의 희년 : 그 의미와 현대적 적용(레25:8-12)
제5장. 앞서 행하시는 하나님을 따라서(신1장)
제6장.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신명기)

제3부. 역사서 : 하나님을 배반한 사람들의 신앙
제1장. 율법신앙(수1:1-9)
제2장. 다윗과 밧세바 사건의 신학적 읽기(삼하11장)

제4부. 예언서 : 하나님을 대변한 사람들의 신앙.
제1장. 포로기 이전 문서 예언자들의 미래선포 이해
제2장. 하나님의 사람과 인간의 사람(암7:10-17)
제3장. 호세아의 삶으로 구현된 메시지(호1-3장)
제4장. 성결인 이시야 예언자(사6장)
제5장. 임마누엘 예언(사7:10-16)
제6장. 예레미아의 소명(렘1:4-10)
제7장. 예레미아의 성전설교(렘7:1-15)
제8장. “선한 말을 성취할 날이 이르리라”(렘33:14-18)
제9장. 신천지 개벽이 발생해도(사51:4-6)
제10장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금식(사58:5-12)
제11장. “정의의 하나님이 어디 계시냐”(말2:17-3:5)

제5부. 시가서: 하나님께 응답한 사람들의 신앙.
제1장. 시편의 신학적 메시지
제2장. 탄식자의 감사(예레미야 애가)
제3장. 임은 나의 것, 나는 임의 것(아2:8-3:5)

제6부. 지혜서: 하나님과 논쟁한 사람들의 신앙
제1장. 욥기의 고난신학에 대한 이해
제2장. 무지한 인간(욥38:1-7)
제3장. 불평보다 변화(욥42:1-6)
제4장. 전도서 1장의 신학적 읽기
제5장. 전도서 5자의 신학적 읽기: 주석과 메시지

읽고 나서....

본문내용

전망에서 욥의 고난을 조망케 한다. 욥기는 결론적으로 고통의 의도나 원인, 필요성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아니고, 고통의 끝에 대해서 말할 뿐이다(욥42:7-17) “모든 고통에는 끝이 있다!”라는 것이다.
제2장. 무지한 인간(욥38:1-7)
하나님의 말씀은 한편으로는 욥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님의 온유하심과 의로우심을 드러내 보이며, 또한 하나님의 창조행위를 엿볼 수 있는 상상력을 불어넣는다. 동시에 하나님의 답변은 당신의 업적에 대해 인간중심적으로만 바라보는 인간의 일방적 관점에 문제를 제기한다.
제3장. 불평보다 변화(욥42:1-6)
욥기는 인간이 겪어야 하는 고통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거나 그 대처법을 제시하는 책이 아니다. 욥기는 고통을 온몸으로 받아들이되 그 고통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그렇다고 체념하지도 않는다. 다만 고통을 통해 하나님을 만나러 나아가는 길고 험한 여정을 제시할 뿐이다. 고통의 삶 속에서도 하나님은 여전히 그를 사랑하시고 함께 하심을 보여준다. 또한 하나님은 인간의 사고에 속박되지 않는 무한히 자유로운 분이시며, 여전히 사랑하시는 그분의 마음에는 변함이 없음을 깨우쳐 주신다.
제4장. 전도서 1장의 신학적 읽기
♣ 영원 앞에서 감히 유한한 인간이 (전1:3-11) - 하나님이 자녀들은 이제 과거의 홍해주변을 맴도는 자기중심 적 구원신앙에서 우주만물을 만드시고 인간에게는 감추어진 신비한 방식으로 여전히 이 우주를 관리 하고 이끄시는 하나님께 집중하여야 한다.
♣ 왕도 별 수 없구만! (전1:12-15) - 제아무리 무한한 능력을 가진 자라도 사람은 사람이다. 사람은 자존자도 아니고 단지 의존자일 뿐이다.
♣ 식자우환(識字憂患) (전1:16-18) - 전도자의 시각은 전통적인 입장이 놓치고 있는 현실의 사각지대를 향 하고 있다. 이는 전통에 대한 비판으로 보이지만, 또한 그에 대한 보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전도자의 통찰은 현실을 비추는 또 다른, 그러나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앵글을 제시하고 있다.
제5장. 전도서 5자의 신학적 읽기: 주석과 메시지
5:1-7절은 기존의 ‘종교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2절은 하나님의 무관심이 아니라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강조한 구절이며, 6절은 ‘실수 제사’의 남용을 금지하는 본문으로 해석된다. 7절의 ‘하나님 경외‘는 하나님은 인간에 의하여 조정될 수 없는 분임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5:8-9절은 이해되지 않는 본문으로서, 특히 지도층에서 나타나는 은폐의 메커니즘을 지적하는 구절로 ‘사회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분석된다. 5:10-12절은 ‘부의 양면성’ 내지는 ‘부의 위험성’을 다룬다.
5:13-17절은 갑작스러운 ‘부의 상실’에 대하여 다룬다. 5:18-20절은 ‘하나님의 선물과 응답으로서의 즐거움’에 대하여 다룬다.
읽고 나서....
이 책을 읽다 보면 뜻밖의 정보(?)로 인해 의아심이 느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23쪽에, 서신서8권은 저자미상이라 한 것서부터 4복음서와 사도행전, 히브리서도 저자미상이라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1.08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1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