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해킹이란
3
스캐닝
6
레이스 컨디션
11
버퍼 오버플로우
14
트로이 목마/백도어
18
DOS/DDOS
22
스푸핑끝
30
끝
41
3
스캐닝
6
레이스 컨디션
11
버퍼 오버플로우
14
트로이 목마/백도어
18
DOS/DDOS
22
스푸핑끝
30
끝
41
본문내용
30
끝
41
Ⅰ. 해킹이란?
1. 해킹의 정의
컴퓨터 시스템에 불법적으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빼내거나 파괴하는 행위를 뜻한다. 즉, 해커들이 뛰어난 컴퓨터 실력을 이용해 타인이 컴퓨터에 침입하고 그 속에 축적되어 있는 각종 귀중한 정보를 빼내거나 파괴하는 행위를 해킹이라고 한다. 해커는 해킹(컴퓨터를 다르며 즐기기; 무슨 일이나 생각하는 일없이 실행하기) 과 사람을 이루는 해커(hacker)가 조합되어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해커의 정의: Guy L.Stells의 ‘해커사전’ 에는 해커에 대한 정의가 내려져 있는데 해커란 “주어진 환경만을 사용하는 일반 컴퓨터의 사용자와는 구분되어 자신의 지적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보고 만들어 가는 사람들, 이와 함께 프로그래밍에 대한 광적인 집착력을 가진 사람으로 거듭되는 시행착오 속에서 정보 공간에 잠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 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원래 컴퓨터와 네트워크 분야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 이란 의미대신 자신의 실력과시나 개인의 이익을 위해 불법으로 프로그램에 악영향을 주는 사람을 지칭하는 의미로 변화하고 있다.
2. 해킹의 역사
해커라는 단어는 60년대 미국 M.I.T 대학생들을 시작으로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컴퓨터를 광적으로 좋아하고 그들의 이상을 컴퓨터에 걸었다. 밤낮으로 컴퓨터에 매달려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고 토론하며 창조와 정의를 부르짖었고 그러한 결과 스티브 워즈니악, 리차드 스톨만, 스티브 잡스와 같은 위대한 해커라 일컬어지는 인물이 탄생했으며 그들의 영향을 받아 현재와 같은 컴퓨터 환경을 구축하게 된 것이다. 초기에 그들은 구식 대형 컴퓨터를 이용하고 전화를 공짜로 사용하는 방법을 전파시켰으며 스스로 그러한 장비를 만들어 팔기까지 했다.
과거의 순수한 열정을 지닌 해커들은 거의 \'히피\'족이나 다름없는 이상을 이야기했다. 시간이 지나고 세상이 변하면서 초기 해커들의 숫자는 점차 줄어들었고 대다수 변질되어 본래 해커의 의미인 \'정보의 공유화\'가 아닌\'정보 엿보기\'가 되어갔고 그 결과 \'캐빈 미트닉\'과 같은 악명높은 해커도 등장하게 되었다. 해커들의 업적은 다양하다. 그들은 아무나 널리 복사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Copyright\"에 반대되는 개념인 \"Copyleft\" 를 사용했으며 그 누구라도 출처만 밝히고 공익적인 것에 이용된다면 자신의 자료를 사용해도 된다고 적어놓았다.
그 결과 대표적으로 \"linux\"같은 공개 유닉스 운영체제가 탄생하여 오늘날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덕에 비싼 유닉스 운영체제를 공짜로 아무나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좋은 각종 공개 프로그램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3. 유명한 해커들
① 케빈 미트닉(Kevin D.Mitnick)
해킹에 관한 한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최고의 해커중 한사람이다. 그는 FBI 연구 리스트에 오른 최초의 해커로서 해킹이 삶의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으로 항상 복역의 이유가 해킹이었고 출옥하면 제일먼저 하는 일이 해킹이었다.
케빈 미트닉은 17세인 지난 81년부터 단순한 장난 수준을 넘어선 사이버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했다. 고교시절 내내 그는 교내 시스템에 침투해서 성적표 변조를 했다. 이후 미국 공군의 주요 정보 시스템 침투에 성공하면서부터 코스모스 시스템, 퍼시픽 벨, 마이크로프트 시스템과 디지털장비 회사인 DEC의 각종 소프트웨어를 해킹하기에 이른다.
특히 지난 1989년에는 DEC의 일급 기밀 정보 해킹을 시도하다가 적발되면서 1년간 감옥 생활을 한다. 그리고 그는 지난 92년 모토로라, 썬마이크로시스템즈, 노벨, NEC 등의 컴퓨터 전산망에 침투, 네트워크를 교한하고 이들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훔친 혐의로 FBI의 3년에 걸친 추적 끝에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1995년에 체포된다. 그는 보호감찰관의 전회회선이 갑자기 불통된다거나 전화국의 데이터가 사라진다거나 그의 범죄기록이 법정 전산시스템에서 사라져 버리는 등 신출귀몰 수법을 선보였다. 특히 그는 실리콘밸리의 백만장자들의 신용카드 번호를 해킹하고 이를 NetCom 에서 \'The Well\' 이란 ISP로 감쪽같이 옮긴 사건은 해킹 역사의 한 획을 긋기에 충분하다.
FBI는 일련의 사건을 조합한 결과 빼돌린 정보를 자신과 무관한 곳에 숨겨두는 독특한 수법과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 해킹을 자행한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휴대전화용 제어 프로그램들이 적발된 점 등이 실마리로 제공되면서 그는 범인으로 지목되고 결국에는 체포된다.
이로 인해 그는 유선통신과 컴퓨터를 이용한 사기와 유선통신 불법감청 등의 범죄가 인정되면서 5년형을 선고받고 지난 2000년 1월에 석방되었다. 석방된 이후 그는 보호 감찰기간 동안에는 휴대전화와 문서작성을 위한 컴퓨터 사용을 제외하고는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모뎀 등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모든 장치에 접근할 수 없는 제재조치를 받았다. 그러나 지난 2003년 1월말부터 보호감찰이 해제되어 인터넷 서핑 등 오라인 접속이 가능해졌다.
최근 들어 케빈 미트닉은 작가인 윌리엄 사이먼과 해킹의 세계를 자세히 설명한 ‘속임수의 기술’ 이라는 책을 공동저술 했으며 Free Kevin Mitnick (www.kevinmitnick) 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인터넷의 자유 정보 공유를 한껏 주장 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재개해 나가고 있다.
② 리처드 스톨만(Richard Stolman)
\'자유 소프트웨이 재단(FSF) 의 창립자이다. 그는 지난 1971년 MIT에 입학하고 ‘해킹을 위한 해킹’을 수행했던 해커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등학교 시절에 컴퓨터를 시작한 그는 상대적으로 권위주의적인 성격이 강했던 하버드대를 떠나 MIT로
끝
41
Ⅰ. 해킹이란?
1. 해킹의 정의
컴퓨터 시스템에 불법적으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빼내거나 파괴하는 행위를 뜻한다. 즉, 해커들이 뛰어난 컴퓨터 실력을 이용해 타인이 컴퓨터에 침입하고 그 속에 축적되어 있는 각종 귀중한 정보를 빼내거나 파괴하는 행위를 해킹이라고 한다. 해커는 해킹(컴퓨터를 다르며 즐기기; 무슨 일이나 생각하는 일없이 실행하기) 과 사람을 이루는 해커(hacker)가 조합되어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해커의 정의: Guy L.Stells의 ‘해커사전’ 에는 해커에 대한 정의가 내려져 있는데 해커란 “주어진 환경만을 사용하는 일반 컴퓨터의 사용자와는 구분되어 자신의 지적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보고 만들어 가는 사람들, 이와 함께 프로그래밍에 대한 광적인 집착력을 가진 사람으로 거듭되는 시행착오 속에서 정보 공간에 잠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 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원래 컴퓨터와 네트워크 분야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 이란 의미대신 자신의 실력과시나 개인의 이익을 위해 불법으로 프로그램에 악영향을 주는 사람을 지칭하는 의미로 변화하고 있다.
2. 해킹의 역사
해커라는 단어는 60년대 미국 M.I.T 대학생들을 시작으로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컴퓨터를 광적으로 좋아하고 그들의 이상을 컴퓨터에 걸었다. 밤낮으로 컴퓨터에 매달려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고 토론하며 창조와 정의를 부르짖었고 그러한 결과 스티브 워즈니악, 리차드 스톨만, 스티브 잡스와 같은 위대한 해커라 일컬어지는 인물이 탄생했으며 그들의 영향을 받아 현재와 같은 컴퓨터 환경을 구축하게 된 것이다. 초기에 그들은 구식 대형 컴퓨터를 이용하고 전화를 공짜로 사용하는 방법을 전파시켰으며 스스로 그러한 장비를 만들어 팔기까지 했다.
과거의 순수한 열정을 지닌 해커들은 거의 \'히피\'족이나 다름없는 이상을 이야기했다. 시간이 지나고 세상이 변하면서 초기 해커들의 숫자는 점차 줄어들었고 대다수 변질되어 본래 해커의 의미인 \'정보의 공유화\'가 아닌\'정보 엿보기\'가 되어갔고 그 결과 \'캐빈 미트닉\'과 같은 악명높은 해커도 등장하게 되었다. 해커들의 업적은 다양하다. 그들은 아무나 널리 복사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Copyright\"에 반대되는 개념인 \"Copyleft\" 를 사용했으며 그 누구라도 출처만 밝히고 공익적인 것에 이용된다면 자신의 자료를 사용해도 된다고 적어놓았다.
그 결과 대표적으로 \"linux\"같은 공개 유닉스 운영체제가 탄생하여 오늘날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덕에 비싼 유닉스 운영체제를 공짜로 아무나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좋은 각종 공개 프로그램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3. 유명한 해커들
① 케빈 미트닉(Kevin D.Mitnick)
해킹에 관한 한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최고의 해커중 한사람이다. 그는 FBI 연구 리스트에 오른 최초의 해커로서 해킹이 삶의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으로 항상 복역의 이유가 해킹이었고 출옥하면 제일먼저 하는 일이 해킹이었다.
케빈 미트닉은 17세인 지난 81년부터 단순한 장난 수준을 넘어선 사이버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했다. 고교시절 내내 그는 교내 시스템에 침투해서 성적표 변조를 했다. 이후 미국 공군의 주요 정보 시스템 침투에 성공하면서부터 코스모스 시스템, 퍼시픽 벨, 마이크로프트 시스템과 디지털장비 회사인 DEC의 각종 소프트웨어를 해킹하기에 이른다.
특히 지난 1989년에는 DEC의 일급 기밀 정보 해킹을 시도하다가 적발되면서 1년간 감옥 생활을 한다. 그리고 그는 지난 92년 모토로라, 썬마이크로시스템즈, 노벨, NEC 등의 컴퓨터 전산망에 침투, 네트워크를 교한하고 이들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훔친 혐의로 FBI의 3년에 걸친 추적 끝에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1995년에 체포된다. 그는 보호감찰관의 전회회선이 갑자기 불통된다거나 전화국의 데이터가 사라진다거나 그의 범죄기록이 법정 전산시스템에서 사라져 버리는 등 신출귀몰 수법을 선보였다. 특히 그는 실리콘밸리의 백만장자들의 신용카드 번호를 해킹하고 이를 NetCom 에서 \'The Well\' 이란 ISP로 감쪽같이 옮긴 사건은 해킹 역사의 한 획을 긋기에 충분하다.
FBI는 일련의 사건을 조합한 결과 빼돌린 정보를 자신과 무관한 곳에 숨겨두는 독특한 수법과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 해킹을 자행한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휴대전화용 제어 프로그램들이 적발된 점 등이 실마리로 제공되면서 그는 범인으로 지목되고 결국에는 체포된다.
이로 인해 그는 유선통신과 컴퓨터를 이용한 사기와 유선통신 불법감청 등의 범죄가 인정되면서 5년형을 선고받고 지난 2000년 1월에 석방되었다. 석방된 이후 그는 보호 감찰기간 동안에는 휴대전화와 문서작성을 위한 컴퓨터 사용을 제외하고는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모뎀 등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모든 장치에 접근할 수 없는 제재조치를 받았다. 그러나 지난 2003년 1월말부터 보호감찰이 해제되어 인터넷 서핑 등 오라인 접속이 가능해졌다.
최근 들어 케빈 미트닉은 작가인 윌리엄 사이먼과 해킹의 세계를 자세히 설명한 ‘속임수의 기술’ 이라는 책을 공동저술 했으며 Free Kevin Mitnick (www.kevinmitnick) 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인터넷의 자유 정보 공유를 한껏 주장 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재개해 나가고 있다.
② 리처드 스톨만(Richard Stolman)
\'자유 소프트웨이 재단(FSF) 의 창립자이다. 그는 지난 1971년 MIT에 입학하고 ‘해킹을 위한 해킹’을 수행했던 해커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등학교 시절에 컴퓨터를 시작한 그는 상대적으로 권위주의적인 성격이 강했던 하버드대를 떠나 MIT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