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제방의 축조, 그리고 흙 댐의 축조 등, 토질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흙에 인위적인 압력을 가해서 흙의 단위중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다짐시험은 일정한 용기 속에 일정한 방법으로 흙을 다져 넣어 이 용기의 체적으로부터 흙의 단위중량을 산출하고,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하여 건조단위중량과 함수비의 관계로부터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를 구한다. 시험결과는 주로 현장의 다짐시공의 관리, 사질토의 상대밀도를 구하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2. 장비
기타 : 곧은 날, 주걱, 분무기, 함수량 측정용 기구,
NO.4 번체 통과한 시료
3. 방법
① No.4체 (4.76㎜)로 체가름하여 3㎏ 정도를 준비한다.
② 분무기로 물을 가하여 작은 삽으로 잘 혼합한다. (일반적으로 색깔이 동일하도록 하고 처음 혼합에서는 완전 포화상태를 검정색이라 한다면 1/4 검정색 정도로 물을 가해서 혼합한다.)
③ 몰드(mold)무게를 단다. (깨끗하게 털어낸 후 무게를 측정해야 한다.)
털어내는 기구 : 브러시, 또는 큰 솥
mold의 부피 : 1000㎤ (KS 규정)
④ 몰드(mold)와 칼라 및 밑판을 브러시로 털고 조립한다.
⑤ 잘 혼합한 시료를 몰드(mold)에 1/3 정도 넣고 2.5㎏의 래머(rammer)로 25회 자유낙하로 다진다.
⑥ 3/2만큼 채우고 래머로 25회 자유낙하로 다진다.
⑦ 칼라를 조립하고 칼라 위에 까지 흙이 올라오도록 채우고 래머로 25회 자유 낙하한다.
⑧ 칼라를 떼어낼 때 파괴없이 제거한다.
⑨ 곧은날로 올라온 시료를 수평으로 깎아 여분의 흙이 없도록 한다. 몰드 고정 나사를 풀어 밑판과 불리하고 주위를 잘 털고 무께 (습윤토 + 몰드)를 측정한다.
⑩ 다짐한 시료를 추출기로 빼낸다.
⑪ 시료의 상부와 하부에서 일부 채취한 시료로 함수비를 구한다.
<실험결과>
※ (몰드의 직경 : 10cm , 몰드의 깊이 12.73cm)
시험번호
1
2
3
4
5
6
몰드부피 (cm3)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몰드무게 (g)
3586g
3586g
3586g
3586g
3586g
3586g
몰드+습윤시료무게 (g)
5360g
5452g
5540g
5723g
5614g
5564g
습윤시료의 무게 (g)
1774g
1866g
1954g
2137g
2028g
1978g
습윤단위중량 (g/cm3)
1.774
1.866
1.954
2.137
2.028
1.978
캔용기의 무게 (g)
20.9g
27.1g
22.1g
28.1g
27.2g
20.1g
캔+습윤시료무게 (g)
94.9g
102.5g
97.1g
149.5g
155.4g
134.3g
캔+건조시료무게 (g)
91g
96.4g
89.1g
132.6g
133.9g
112.2g
물의 무게 (g)
3.9g
6.1g
8g
16.8g
21.5g
22.1g
건조시료무게 (g)
70.1g
69.3g
67g
104.5g
106.7g
92.1g
함수비 (%)
5.56%
8.80%
11.94%
16.07%
20.15%
24.00%
건조단위중량 (g/cm3)
1.68
1.715
1.746
1.84
1.688
1.595
습윤단위중량 :
함수비 :
건조단위중량 :
영공기간극단위중량 :
※ 구한 데이터로 다짐곡선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 다짐곡선으로부터 구해낸 다짐정수는 다음과 같다.
= 1.847 , 최적 함수비 OMC = 17.5%
정수위 투수시험 KS F 2322
1. 개요
흙 속에 물이 흐르는 성질을 투수성이라 한다. 정수위 투수시험은 사질토와 같이 투수성이 큰 흙에 사용하는 시험으로 미리 물로 포화시킨 시료를 t (sec) 사이의 투수량 Q (m3/sec)를 일정한 수두차를 유지하면서 투수계수를 구하여 Darcy법칙에 의해 earth dam, 제방, 도로, 매립지 등에 투수성을 예측한다.
2. 장비
기타 : 금속제 원통, 황동제원통망
[재료]
① 현장 대표 시료
흐트러진 시료 : 1 회시험용 2kg 정도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 : Sampler에 의해 대표 시료 채취 성형
② 모래 : 여과사로 사용하며 2mm 내외의 균등한 모래나 잔자갈
3. 방법
① 2kg 정도의 시료를 준비한다.
② 내경 및 높이를 캘리퍼스로 정확하게 측정하여 안지름 10cm, 높이 15cm에 일치하는가를 확인하고 변경이 있을 때는 정확한 값을 사용 한다 . 또, 몰드(mold)무게를 측정한다.
③ 단면적을 계산한다.
단, D 는 내경
④ 금속제 원통(mold)의 0.42mm 정도의 눈금 크기의 황동제원통망을 유공밑판 위에 깔고 시료를 채운 후 (다짐 또는 성형) 시료 위에 황동제원통망을 깐다.
⑤ 유공밑판 -> 황동제원통망 -> mold -> 너트 조임 순서로 조립한다.
⑥ 흐트러진 시료를 다짐한다. (공시체의 높이 L을 구하여 공시체의 부피(V=AL)를 구하고 시료의 무게를 측정한다.)
⑦ 다짐 후 황동제원통망을 깐 다음 여과용 모래를 약 1cm 정도 깐다. (여과사 : 2mm 내외 균등한 모래나 잔자갈)
(주의 : 모래필터는 투수성인 흙 시료에 비하여 충분히 큰 것이어야 한다.)
⑧ 준비된 공시체 mold를 수조에 넣고 서서히 물을 넣어 침투시켜 충분히 포화 상태로 만 든다.
⑨ mold를 시험수조에 조용히 설치하고 mold속에 조심성 있게 서서히 수위를 측정시의 동수구배가 0.3을 넘지 않도록 수위조정을 한다.
⑩ 메스실런더의 초기시간(t1)에서 종료시간(t2)사이의 넘쳐흐른 유량 Q를 측정한다.
⑪ 이상 측정방법으로 2회 실시하고 수온 (T℃)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실험결과>
k : 투수계수
t : 측정시간 (sec)
L : 물이 시료를 통과한 거리 (cm)
Q : t시간 동안 침투한 유량 (cm3)
A : 시료의 단면적 (cm2)
h : 수두 (cm)
■ 실험 1
D(원통의 직경) : 10cm
L : 7cm
h : 12.2cm
t : 15분
Q : 142ml = 142cm3
= 1.153×10-3 cm/sec
■ 실험 2
D(원통의 직경) : 10cm
L : 8cm
h : 12.2cm
t : 15분
Q : 178ml = 178cm3
= 1.65×10-3 cm/sec
※ 평균 투수계수 = = 1.4×10-3 cm/sec
다짐시험은 일정한 용기 속에 일정한 방법으로 흙을 다져 넣어 이 용기의 체적으로부터 흙의 단위중량을 산출하고,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하여 건조단위중량과 함수비의 관계로부터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를 구한다. 시험결과는 주로 현장의 다짐시공의 관리, 사질토의 상대밀도를 구하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2. 장비
기타 : 곧은 날, 주걱, 분무기, 함수량 측정용 기구,
NO.4 번체 통과한 시료
3. 방법
① No.4체 (4.76㎜)로 체가름하여 3㎏ 정도를 준비한다.
② 분무기로 물을 가하여 작은 삽으로 잘 혼합한다. (일반적으로 색깔이 동일하도록 하고 처음 혼합에서는 완전 포화상태를 검정색이라 한다면 1/4 검정색 정도로 물을 가해서 혼합한다.)
③ 몰드(mold)무게를 단다. (깨끗하게 털어낸 후 무게를 측정해야 한다.)
털어내는 기구 : 브러시, 또는 큰 솥
mold의 부피 : 1000㎤ (KS 규정)
④ 몰드(mold)와 칼라 및 밑판을 브러시로 털고 조립한다.
⑤ 잘 혼합한 시료를 몰드(mold)에 1/3 정도 넣고 2.5㎏의 래머(rammer)로 25회 자유낙하로 다진다.
⑥ 3/2만큼 채우고 래머로 25회 자유낙하로 다진다.
⑦ 칼라를 조립하고 칼라 위에 까지 흙이 올라오도록 채우고 래머로 25회 자유 낙하한다.
⑧ 칼라를 떼어낼 때 파괴없이 제거한다.
⑨ 곧은날로 올라온 시료를 수평으로 깎아 여분의 흙이 없도록 한다. 몰드 고정 나사를 풀어 밑판과 불리하고 주위를 잘 털고 무께 (습윤토 + 몰드)를 측정한다.
⑩ 다짐한 시료를 추출기로 빼낸다.
⑪ 시료의 상부와 하부에서 일부 채취한 시료로 함수비를 구한다.
<실험결과>
※ (몰드의 직경 : 10cm , 몰드의 깊이 12.73cm)
시험번호
1
2
3
4
5
6
몰드부피 (cm3)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몰드무게 (g)
3586g
3586g
3586g
3586g
3586g
3586g
몰드+습윤시료무게 (g)
5360g
5452g
5540g
5723g
5614g
5564g
습윤시료의 무게 (g)
1774g
1866g
1954g
2137g
2028g
1978g
습윤단위중량 (g/cm3)
1.774
1.866
1.954
2.137
2.028
1.978
캔용기의 무게 (g)
20.9g
27.1g
22.1g
28.1g
27.2g
20.1g
캔+습윤시료무게 (g)
94.9g
102.5g
97.1g
149.5g
155.4g
134.3g
캔+건조시료무게 (g)
91g
96.4g
89.1g
132.6g
133.9g
112.2g
물의 무게 (g)
3.9g
6.1g
8g
16.8g
21.5g
22.1g
건조시료무게 (g)
70.1g
69.3g
67g
104.5g
106.7g
92.1g
함수비 (%)
5.56%
8.80%
11.94%
16.07%
20.15%
24.00%
건조단위중량 (g/cm3)
1.68
1.715
1.746
1.84
1.688
1.595
습윤단위중량 :
함수비 :
건조단위중량 :
영공기간극단위중량 :
※ 구한 데이터로 다짐곡선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 다짐곡선으로부터 구해낸 다짐정수는 다음과 같다.
= 1.847 , 최적 함수비 OMC = 17.5%
정수위 투수시험 KS F 2322
1. 개요
흙 속에 물이 흐르는 성질을 투수성이라 한다. 정수위 투수시험은 사질토와 같이 투수성이 큰 흙에 사용하는 시험으로 미리 물로 포화시킨 시료를 t (sec) 사이의 투수량 Q (m3/sec)를 일정한 수두차를 유지하면서 투수계수를 구하여 Darcy법칙에 의해 earth dam, 제방, 도로, 매립지 등에 투수성을 예측한다.
2. 장비
기타 : 금속제 원통, 황동제원통망
[재료]
① 현장 대표 시료
흐트러진 시료 : 1 회시험용 2kg 정도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 : Sampler에 의해 대표 시료 채취 성형
② 모래 : 여과사로 사용하며 2mm 내외의 균등한 모래나 잔자갈
3. 방법
① 2kg 정도의 시료를 준비한다.
② 내경 및 높이를 캘리퍼스로 정확하게 측정하여 안지름 10cm, 높이 15cm에 일치하는가를 확인하고 변경이 있을 때는 정확한 값을 사용 한다 . 또, 몰드(mold)무게를 측정한다.
③ 단면적을 계산한다.
단, D 는 내경
④ 금속제 원통(mold)의 0.42mm 정도의 눈금 크기의 황동제원통망을 유공밑판 위에 깔고 시료를 채운 후 (다짐 또는 성형) 시료 위에 황동제원통망을 깐다.
⑤ 유공밑판 -> 황동제원통망 -> mold -> 너트 조임 순서로 조립한다.
⑥ 흐트러진 시료를 다짐한다. (공시체의 높이 L을 구하여 공시체의 부피(V=AL)를 구하고 시료의 무게를 측정한다.)
⑦ 다짐 후 황동제원통망을 깐 다음 여과용 모래를 약 1cm 정도 깐다. (여과사 : 2mm 내외 균등한 모래나 잔자갈)
(주의 : 모래필터는 투수성인 흙 시료에 비하여 충분히 큰 것이어야 한다.)
⑧ 준비된 공시체 mold를 수조에 넣고 서서히 물을 넣어 침투시켜 충분히 포화 상태로 만 든다.
⑨ mold를 시험수조에 조용히 설치하고 mold속에 조심성 있게 서서히 수위를 측정시의 동수구배가 0.3을 넘지 않도록 수위조정을 한다.
⑩ 메스실런더의 초기시간(t1)에서 종료시간(t2)사이의 넘쳐흐른 유량 Q를 측정한다.
⑪ 이상 측정방법으로 2회 실시하고 수온 (T℃)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실험결과>
k : 투수계수
t : 측정시간 (sec)
L : 물이 시료를 통과한 거리 (cm)
Q : t시간 동안 침투한 유량 (cm3)
A : 시료의 단면적 (cm2)
h : 수두 (cm)
■ 실험 1
D(원통의 직경) : 10cm
L : 7cm
h : 12.2cm
t : 15분
Q : 142ml = 142cm3
= 1.153×10-3 cm/sec
■ 실험 2
D(원통의 직경) : 10cm
L : 8cm
h : 12.2cm
t : 15분
Q : 178ml = 178cm3
= 1.65×10-3 cm/sec
※ 평균 투수계수 = = 1.4×10-3 cm/sec
추천자료
토질역학실험 삼축압축 보고서입니다.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4.비중계(Hydrometer) 실험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6.다짐 완성(Compaction)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8.일축압축(Uniaxial Compression)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9.직접전단 시험(Direct-Shear)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3.체 가름(Sieve Analysis) 완성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1.함수비(Water Content)
토질보고서1
[토질실험] 압밀실험(Consolidation Test)보고서 -한국산업규격(KS F 2306) 규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