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찬송가학 기말 레포트>
1. 중세시대의 찬송가
2. 종교개혁 시대의 찬송가
3. 영국의 찬송가
4. 미국의 찬송가
5. 한국의 찬송가
1. 중세시대의 찬송가
2. 종교개혁 시대의 찬송가
3. 영국의 찬송가
4. 미국의 찬송가
5. 한국의 찬송가
본문내용
카톨릭에서는 1564년에서 1565년에 북이탈리아의 트렌트에서 회의를 열어 예배 의식 악용을 모의하였다. 그 회의에서는 하나님의 집이 기도의 집이 되기 위해서는 유혹적인 멜로디, 세상적인 가사 혹은 울부짖음을 금지키로 결의하였으며, 결정적인 공로자는 팔레스트리나 (Palestrina)였다. 그 뒤 팔레스트리나 양식은 의식적으로 보존되고 구분되는 새 모델로서 모방하게 하는 서양 음악사의 첫 경위가 되었다. 그래서 종교 개혁기의 카톨릭 음악은 팔레스트리나에 의해서 다시금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종교 개혁시대의 산물은 무엇보다도 코랄로, 이 코랄은 신자들에게도 생동감을 주어 찬송에 등장하는 일을 하게 한 것이다. 그러면서 음악이 유혹적인 멜로디로 변한 것은 유감이나 팔레스트리나의 음악같은 것이 그것을 막는데 큰 공헌을 한 것이다.
3. 영국의 찬송가
오랫동안 시의 시편가에 독점되어온 영국의 찬송가에도 18세기 초에 창작의 기운이 움트기 시작했다. 영국찬송가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왓츠는 영국 교회음악이 시편가에서 찬송가로 전환하는데 중대한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는 시편을 문자 그대로 부르는 것은 그 당시의 환경이나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현시대의 상황에서 표현된 노래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모든 기독교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경험과 감정에 기초한 찬송으로 전환함을 말한다.
영국의 찬송가에 나타난 신학은 국교회(Anglican Church)보다 구 교회에 반항한 청교도 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종교개혁시 국교회에서는 송영과 성가가 있었으나 좁은 의미의 시편가나 찬송가는 그때까지 없었고 찬송가를 최초로 사용한 것은 청교도였기 때문이다. 이 운동의 창시자인 존 웨슬레가 선교사의 감화로 결정적인 회심을 경험하고, 마침내 독일 경건파의 한 본부인 헤른후트까지 방문하였다. 18세기 영어 찬송가의 주도권은 비 국교도에 의해 장학되어 있었으나 19세기에는 국교도의 손에 넘겨지게 되었다. 1830년대에는 옥스퍼드 운동이 일어나서 국교회의 각성을 촉진시켰기 때문이다. 앞 세기의 감리파 운동이 대중적이었음에 비해 이 운동은 지식층이었으나 그 영향은 감리파 등 보다 한층 심각하였다.
감리교 창설자 존 웨슬레(John Wesley.1703-1791)의 동생인 찰스 웨슬레는 유럽 경건파의 하나인 모리비아파의 영향을 받아서 체험적이고 열렬한 신앙 부흥운동을 전개하고, 찬송가를 작사 작곡하여 형의 전도를 도왔다.
18세기 후반은 교회음악이 쇠퇴기에 접어드는 느낌을 주었는데 그것은 예술, 철학, 문학에 있어서 활기가 넘치는 시기에 비해 유럽은 하나님을 경배하는 일로부터 지적, 정서적, 육체적인 존재로써 인간의 내면을 철저히 연구하는 방향으로 기울어 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다시 말하면 교회음악은 교회의 일반적인 쇠퇴와 그 운명을 같이 했다는 것이다. 아플레비(David D.Appleby)는 말하기를 \"예배의식의 결핍, 신학적, 철학적 신념의 확증이 있는 전통의 고수등은 개신교 음악으로 부터 완전한 분리를 가져왔다. 나는 음악이 교회에서 없어
3. 영국의 찬송가
오랫동안 시의 시편가에 독점되어온 영국의 찬송가에도 18세기 초에 창작의 기운이 움트기 시작했다. 영국찬송가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왓츠는 영국 교회음악이 시편가에서 찬송가로 전환하는데 중대한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는 시편을 문자 그대로 부르는 것은 그 당시의 환경이나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현시대의 상황에서 표현된 노래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모든 기독교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경험과 감정에 기초한 찬송으로 전환함을 말한다.
영국의 찬송가에 나타난 신학은 국교회(Anglican Church)보다 구 교회에 반항한 청교도 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종교개혁시 국교회에서는 송영과 성가가 있었으나 좁은 의미의 시편가나 찬송가는 그때까지 없었고 찬송가를 최초로 사용한 것은 청교도였기 때문이다. 이 운동의 창시자인 존 웨슬레가 선교사의 감화로 결정적인 회심을 경험하고, 마침내 독일 경건파의 한 본부인 헤른후트까지 방문하였다. 18세기 영어 찬송가의 주도권은 비 국교도에 의해 장학되어 있었으나 19세기에는 국교도의 손에 넘겨지게 되었다. 1830년대에는 옥스퍼드 운동이 일어나서 국교회의 각성을 촉진시켰기 때문이다. 앞 세기의 감리파 운동이 대중적이었음에 비해 이 운동은 지식층이었으나 그 영향은 감리파 등 보다 한층 심각하였다.
감리교 창설자 존 웨슬레(John Wesley.1703-1791)의 동생인 찰스 웨슬레는 유럽 경건파의 하나인 모리비아파의 영향을 받아서 체험적이고 열렬한 신앙 부흥운동을 전개하고, 찬송가를 작사 작곡하여 형의 전도를 도왔다.
18세기 후반은 교회음악이 쇠퇴기에 접어드는 느낌을 주었는데 그것은 예술, 철학, 문학에 있어서 활기가 넘치는 시기에 비해 유럽은 하나님을 경배하는 일로부터 지적, 정서적, 육체적인 존재로써 인간의 내면을 철저히 연구하는 방향으로 기울어 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다시 말하면 교회음악은 교회의 일반적인 쇠퇴와 그 운명을 같이 했다는 것이다. 아플레비(David D.Appleby)는 말하기를 \"예배의식의 결핍, 신학적, 철학적 신념의 확증이 있는 전통의 고수등은 개신교 음악으로 부터 완전한 분리를 가져왔다. 나는 음악이 교회에서 없어
추천자료
[한국 영유아보육서비스][미국 영유아보육서비스][영유아보육정책]한국의 영유아보육서비스와...
[노인자원봉사활동][미국 노인자원봉사활동 사례][한국 노인자원봉사활동]노인자원봉사활동의...
[한중외교][한국과 중국 외교관계][북중외교][북한과 중국 외교관계][미중외교][미국과 중국 ...
[미국][국제정세][동북아정책][북미관계][남북관계]미국 중심의 국제정세, 미국의 동북아정책...
[소방행정][미국 소방행정][네덜란드 소방행정][스웨덴 소방행정][일본 소방행정][한국 소방...
[명절][북한의 명절][남한의 명절][한국의 명절][중국의 명절][일본의 명절][미국의 명절]북...
[미국 교육개혁][영국 교육개혁][뉴질랜드 교육개혁][일본 교육개혁][한국 교육개혁]미국의 ...
[리모델링][리모델링시장][한국 리모델링시장][미국 리모델링시장][유럽 리모델링시장][일본 ...
[미국의 영향력] 한국과 미국의 관계 분석 및 한미 교류현황과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에서 살...
미국드라마와 한국드라마의 분석을 통한 연구 - 미국드라마 설명, 소개, 조사, 고찰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
[프리미엄자료A++++++][사회복지학개론]- 미국과 한국의 윤리강령, 미국의 윤리강령, 한국의 ...
한국사회복지정책과 미국사회복지정책을 비교해보고 다른 국가의 복지정책사례를 예로 들어 ...
복지제 (福祉制度) [한국 복지제도, 선진국 복지제도 전망] 한국 복지제도의 특성, 한국 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