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해졌다.
7. discussion & Feeling
양쪽성 금속 수산화물의 성질과 반응을 관찰하는 이 실험에서 간단한 실험 이 였지만 여러 가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먼저 염화아연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 시켰을 때 젤라틴 형태의 침전이 일어났다. 이 반응을 보고 우리는 염화아연은 염기와 반응할 때 염기성의 염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침전물에다가 염기성 용액인 수산화나트륨과 산성 용액인 염산을 넣었는데 각각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수산화나트륨을 넣었을 때는 이미 염기인 침전물에 또다시 염기가 가해지기 때문에 눈으로 봤을때는 뿌옇게 그대로인 상태로 변화가 없지만 용액 자체에서는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니 반응식
처럼 사수산화아연 이온으로 되어 녹기는 녹았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염산을 넣었을 때는 눈에 띄게 투명해지고 작은 알갱이 정도만 남았다. 그 이유는 침전물이 염기성을 띠고 있는데 그곳에다가 산성을 띠는 염산을 넣으니 중화반응이 일어나서 물과 염을 생성 하여서 맑아진 것이다. 즉, 침전물이 물과 아연 이온으로 분리되어 녹아서 투명해진 것이다. 따라서 투명해진 이유는 중화반응이 일어났고 물이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반응식으로는
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중화반응은 도중에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이 바로 중화열이다. 중화 반응은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반응이 진행될수록 온도가 올라간다고 한다. 그래서 직접 관찰해보니 연기가 나면서 열이 나고 있는 현상을 목격할 수 있었다. 만지면 뜨거울까봐 직접 만져보진 못하고 관찰만 했다. 그래서 이 정도 열기면 센 산과 센 염기랑
7. discussion & Feeling
양쪽성 금속 수산화물의 성질과 반응을 관찰하는 이 실험에서 간단한 실험 이 였지만 여러 가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먼저 염화아연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 시켰을 때 젤라틴 형태의 침전이 일어났다. 이 반응을 보고 우리는 염화아연은 염기와 반응할 때 염기성의 염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침전물에다가 염기성 용액인 수산화나트륨과 산성 용액인 염산을 넣었는데 각각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수산화나트륨을 넣었을 때는 이미 염기인 침전물에 또다시 염기가 가해지기 때문에 눈으로 봤을때는 뿌옇게 그대로인 상태로 변화가 없지만 용액 자체에서는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니 반응식
처럼 사수산화아연 이온으로 되어 녹기는 녹았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염산을 넣었을 때는 눈에 띄게 투명해지고 작은 알갱이 정도만 남았다. 그 이유는 침전물이 염기성을 띠고 있는데 그곳에다가 산성을 띠는 염산을 넣으니 중화반응이 일어나서 물과 염을 생성 하여서 맑아진 것이다. 즉, 침전물이 물과 아연 이온으로 분리되어 녹아서 투명해진 것이다. 따라서 투명해진 이유는 중화반응이 일어났고 물이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반응식으로는
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중화반응은 도중에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이 바로 중화열이다. 중화 반응은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반응이 진행될수록 온도가 올라간다고 한다. 그래서 직접 관찰해보니 연기가 나면서 열이 나고 있는 현상을 목격할 수 있었다. 만지면 뜨거울까봐 직접 만져보진 못하고 관찰만 했다. 그래서 이 정도 열기면 센 산과 센 염기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