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반
1. 선반의 목적
2. 선반의 구조
3. 가공방법이나 순서
4. 가공 종류
밀링
1. 밀링의 목적
2. 밀링의 구조
3. 밀링가공 방법이나 순서
4. 밀링가공 종류
드릴링
1. 드릴링의 목적
2. 드릴링의 구조
3. 드릴링의 가공종류
1. 선반의 목적
2. 선반의 구조
3. 가공방법이나 순서
4. 가공 종류
밀링
1. 밀링의 목적
2. 밀링의 구조
3. 밀링가공 방법이나 순서
4. 밀링가공 종류
드릴링
1. 드릴링의 목적
2. 드릴링의 구조
3. 드릴링의 가공종류
본문내용
선반
1. 선반의 목적
- 선반은 주축과 연결된 공작물이 회전운동을 주고 공구인 바이트에는 이송운동을 주어 절 삭가공(선삭)을 하는 공작기계로 주로 공작물의 외주를 원통형상으로 가공하는데 사용된 다. 선반은 주로 외경절삭, 정면절삭, 절단, 측면절삭, 보링, 리밍, 나사절삭 등의 기본가 공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밀링 절삭이나 연삭도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능성이 있는 기계이기 때문에 기계공업에 있어서는 다른 공작기계보다 광범위하 게 사용된다. CNC선반의 가격이 너무 비싸 아직까지 공장에서는 범용선반을 많이 이용하 고 있다
출처 : 21세기를 위한 공작기계 (문운당)
2. 선반의 구조
- 범용선반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선반인데 아래의 그림은 보통선반 의 구조와 주요 절삭운동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1. 보통선반의 구조와 절삭운동
(1) 주축대 : 선반의 핵심부로 내부에는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주축, 주축의 무게와 절삭 력을 지지하는 주축 베어링, 주축의 회전수 변환장치 및 왕복대의 이송변 환장치를 갖추고 있다.
(2) 왕복대 : 왕복대는 베드 윗면에서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를 미끄러지면서 운동하는 부분으로 공구대가 설치되는 새들과 자동이동장치 등의 조작장치를 가지 고 있는 에이프런으로 구성된다. 밑의 그림이 왕복대의 구조이다.
그림2. 왕복대의 구조
(3) 심압대 : 심압대는 베드 위에서 주축의 센터와 더불어 공작물의 오른쪽 끝을 센터 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긴 공작물일 경우에도 사용이 되지만, 드릴이 나 리머 등을 끼워 넣어 구멍 뚫기 작업도 할 수 있다.
(4) 베드 : 베드는 주축대, 심압대 및 왕복대 등의 선반 각부를 총체적으로 지지하는 역 할을 한다. 베드는 각 구조부들과 공작물의 무게 및 절삭시에 발생하는 절삭 력 등에 의해 힘을 받기 때문에 베드의 성능은 제품의 정밀도에 아주 큰 영 향을 미친다.
출처 : 21세기를 위한 공작기계 (문운당)
3. 가공방법이나 순서
- 평면 절삭
평면은 직선을 가로로 쭉 늘어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바이트를 직선으로 움직이면서 공작 물을 옆으로 이송하면 평면이 깎인다.
- 환봉 절삭
선반의 주축에 소재를 고정하여 회전시키고 이에 바이트를 지그시 갖다 대면 바이트에 접 촉된 부분은 절삭되어 원형으로 깎인다. 바이트를 회전축의 중심선에 평행으로 천천히 이 송하면 둥글게 깎인 부분이 계속적으로 확대되어 둥근 막대가 만들어진다.
- 둥근 구멍의 절삭
보통 소재에 구멍을 뚫는 데는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밀어 넣는다.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A%B3%B5%EC%9E%91%EA%B8%B0%EA%B3%84
4. 가공 종류
- 원통절삭
원통절삭에 바깥지름절삭과 안지름절삭이 있는데 바깥지름절삭은 공작물을 주축에 고정하 여 주축에 회전절삭운동을 주고 바이트에 공작물 길이 방향으로 이송을 주어 원주면을 절 삭하는 작업이다. 안지름절삭은 바깥지름절삭과 절삭기구는 동일하며 이미 존재하는 공작 물으 구멍을 원통형으로 확대 절삭하는 작업으로 보링이라고도 한다.
- 테이퍼 절삭
원추형의 테이퍼면을 절삭하는 작업으로 보통 3가지의 방법이 있다.
(1)테이퍼 절삭장치를 이용한 절삭
왕복대의 전후이송장치의 연결을 풀어 공구대가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 록 하고, 이것을 연결봉으로 테이퍼 각도의 반만큼 기울여 고정시킨 안내홈과 연결하 여 바이트를 축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공한다.
그림3. 테이퍼 절삭장치를 이용한 절삭
(2)공구대를 경사시키는 방법
공구대를 일정 각도만큼 경사시켜 고정하고 상부 이송대를 이송하여 가공한다.
(3)심압대의 센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방법
심압대를 앞으로 이동하면 심압대 쪽의 가공지름이 작아지고 뒤쪽으로 이동하면 주축 쪽의 가공지름이 작아지게 된다. 이 방법은 센터와 공작물의 센터구멍이 완전히 밀착 되지 않고 2점에서 접촉되므로 센터 구멍이 넓혀져 가공정밀도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긴 하나 조작이 간편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림4. 공구대 경사 시키는 방법
그림5. 심압대의 센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방법
- 모방절삭
공작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모형을 따라 바이트가 전후이송을 하여 모형과 동일한 제품을 절삭하는 것을 모방절삭이라 하는데, 공구대에 고정된 지지점을 가지는 촉침 등의 트레이서를 모형에 접촉시켜 그 트레이서의 공구대에 대한 운동을 유압제어를 통하여 공 구대에 전진 혹은 후퇴운동을 시키게 된다.
- 곡면절삭
공작물의 바깥지름이 곡선을 이루고 있는 회전체의 가공방법인데, 수작업으로 바이트에 전후와 좌우이송을 동시에 주면서 절삭하는 방법이 있으나, 작업자의 경험과 가공시간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공작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총형바이트를 이용하여 전후이송으로 절삭을 완성한다.
- 나사절삭
주축의 회전과 공구의 이송운동을 연결시켜 공작물이 1회전하는 동안의 공구이송거리가 나사의 리드가 되도록 나사를 절삭할 수 있다.
- 단면절삭
공작물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바이트에 전후이송을 주어 공작물의 단면을 절삭하는 것을 말하며 정면절삭이라고도 한다.
- 절단
폭이 좁은 절단용 바이트를 사용하여 전후이송을 하면서 공작물을 자르는 작업이다.
- 드릴링
심압대에 드릴을 설치하여 주축방향으로 이송운동을 주어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다.
출처 : 21세기를 위한 공작기계 (문운당)
밀링
1. 밀링의 목적
- 밀링머신은 원주 위에 절삭날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밀링커터를 회전시켜 테이 블에 설치한 가공물을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기계이다. 테이블의 이송방향은 길이방향, 전 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3방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테이
1. 선반의 목적
- 선반은 주축과 연결된 공작물이 회전운동을 주고 공구인 바이트에는 이송운동을 주어 절 삭가공(선삭)을 하는 공작기계로 주로 공작물의 외주를 원통형상으로 가공하는데 사용된 다. 선반은 주로 외경절삭, 정면절삭, 절단, 측면절삭, 보링, 리밍, 나사절삭 등의 기본가 공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밀링 절삭이나 연삭도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능성이 있는 기계이기 때문에 기계공업에 있어서는 다른 공작기계보다 광범위하 게 사용된다. CNC선반의 가격이 너무 비싸 아직까지 공장에서는 범용선반을 많이 이용하 고 있다
출처 : 21세기를 위한 공작기계 (문운당)
2. 선반의 구조
- 범용선반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선반인데 아래의 그림은 보통선반 의 구조와 주요 절삭운동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1. 보통선반의 구조와 절삭운동
(1) 주축대 : 선반의 핵심부로 내부에는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주축, 주축의 무게와 절삭 력을 지지하는 주축 베어링, 주축의 회전수 변환장치 및 왕복대의 이송변 환장치를 갖추고 있다.
(2) 왕복대 : 왕복대는 베드 윗면에서 주축대와 심압대 사이를 미끄러지면서 운동하는 부분으로 공구대가 설치되는 새들과 자동이동장치 등의 조작장치를 가지 고 있는 에이프런으로 구성된다. 밑의 그림이 왕복대의 구조이다.
그림2. 왕복대의 구조
(3) 심압대 : 심압대는 베드 위에서 주축의 센터와 더불어 공작물의 오른쪽 끝을 센터 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긴 공작물일 경우에도 사용이 되지만, 드릴이 나 리머 등을 끼워 넣어 구멍 뚫기 작업도 할 수 있다.
(4) 베드 : 베드는 주축대, 심압대 및 왕복대 등의 선반 각부를 총체적으로 지지하는 역 할을 한다. 베드는 각 구조부들과 공작물의 무게 및 절삭시에 발생하는 절삭 력 등에 의해 힘을 받기 때문에 베드의 성능은 제품의 정밀도에 아주 큰 영 향을 미친다.
출처 : 21세기를 위한 공작기계 (문운당)
3. 가공방법이나 순서
- 평면 절삭
평면은 직선을 가로로 쭉 늘어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바이트를 직선으로 움직이면서 공작 물을 옆으로 이송하면 평면이 깎인다.
- 환봉 절삭
선반의 주축에 소재를 고정하여 회전시키고 이에 바이트를 지그시 갖다 대면 바이트에 접 촉된 부분은 절삭되어 원형으로 깎인다. 바이트를 회전축의 중심선에 평행으로 천천히 이 송하면 둥글게 깎인 부분이 계속적으로 확대되어 둥근 막대가 만들어진다.
- 둥근 구멍의 절삭
보통 소재에 구멍을 뚫는 데는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밀어 넣는다.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A%B3%B5%EC%9E%91%EA%B8%B0%EA%B3%84
4. 가공 종류
- 원통절삭
원통절삭에 바깥지름절삭과 안지름절삭이 있는데 바깥지름절삭은 공작물을 주축에 고정하 여 주축에 회전절삭운동을 주고 바이트에 공작물 길이 방향으로 이송을 주어 원주면을 절 삭하는 작업이다. 안지름절삭은 바깥지름절삭과 절삭기구는 동일하며 이미 존재하는 공작 물으 구멍을 원통형으로 확대 절삭하는 작업으로 보링이라고도 한다.
- 테이퍼 절삭
원추형의 테이퍼면을 절삭하는 작업으로 보통 3가지의 방법이 있다.
(1)테이퍼 절삭장치를 이용한 절삭
왕복대의 전후이송장치의 연결을 풀어 공구대가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 록 하고, 이것을 연결봉으로 테이퍼 각도의 반만큼 기울여 고정시킨 안내홈과 연결하 여 바이트를 축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공한다.
그림3. 테이퍼 절삭장치를 이용한 절삭
(2)공구대를 경사시키는 방법
공구대를 일정 각도만큼 경사시켜 고정하고 상부 이송대를 이송하여 가공한다.
(3)심압대의 센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방법
심압대를 앞으로 이동하면 심압대 쪽의 가공지름이 작아지고 뒤쪽으로 이동하면 주축 쪽의 가공지름이 작아지게 된다. 이 방법은 센터와 공작물의 센터구멍이 완전히 밀착 되지 않고 2점에서 접촉되므로 센터 구멍이 넓혀져 가공정밀도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긴 하나 조작이 간편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림4. 공구대 경사 시키는 방법
그림5. 심압대의 센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방법
- 모방절삭
공작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모형을 따라 바이트가 전후이송을 하여 모형과 동일한 제품을 절삭하는 것을 모방절삭이라 하는데, 공구대에 고정된 지지점을 가지는 촉침 등의 트레이서를 모형에 접촉시켜 그 트레이서의 공구대에 대한 운동을 유압제어를 통하여 공 구대에 전진 혹은 후퇴운동을 시키게 된다.
- 곡면절삭
공작물의 바깥지름이 곡선을 이루고 있는 회전체의 가공방법인데, 수작업으로 바이트에 전후와 좌우이송을 동시에 주면서 절삭하는 방법이 있으나, 작업자의 경험과 가공시간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공작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총형바이트를 이용하여 전후이송으로 절삭을 완성한다.
- 나사절삭
주축의 회전과 공구의 이송운동을 연결시켜 공작물이 1회전하는 동안의 공구이송거리가 나사의 리드가 되도록 나사를 절삭할 수 있다.
- 단면절삭
공작물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바이트에 전후이송을 주어 공작물의 단면을 절삭하는 것을 말하며 정면절삭이라고도 한다.
- 절단
폭이 좁은 절단용 바이트를 사용하여 전후이송을 하면서 공작물을 자르는 작업이다.
- 드릴링
심압대에 드릴을 설치하여 주축방향으로 이송운동을 주어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다.
출처 : 21세기를 위한 공작기계 (문운당)
밀링
1. 밀링의 목적
- 밀링머신은 원주 위에 절삭날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밀링커터를 회전시켜 테이 블에 설치한 가공물을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기계이다. 테이블의 이송방향은 길이방향, 전 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3방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테이
추천자료
화학실험-아보가드로의 수의 결정 예비보고서+결과보고서 (아보가드로수, 팔미틴산(C15H31COO...
[화공기초실험] 산화 환원 적정(예비레포트)
[화공기초실험]용해도 및 분별결정 (예비레포트)
[화공기초실험] 재결정(예비레포트)
[기초전자실험] (예비) 기본소자 - 전자 회로의 기본소자는 R(저항), L(인덕터), C(캐패시터)...
부하 효과(예비+결과)(기초회로실험)
디지털 게이트의 전기적 특성(예비+결과)(기초회로실험)
공진 회로(예비+결과)(기초회로실험)
Encoder와 Decoder(예비+결과)(기초회로실험)
접지 개념(예비+결과)(기초회로실험)
시간 응답 특성과 주파수 응답 특성(예비+결과)(기초회로실험)
FLIP FLOP, COUNTER, SHIFT REGISTER(예비+결과)(기초회로실험)
실험2 제너다이오드의 로우딩 예비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