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곱근으로 정의된다.
-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 = 평균 무게 ÷ 증류수의 밀도
-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의 불확실도 = 무게의 불확실도 ÷ 증류수의 밀도
(3) 눈금실린더를 이용한 액체의 이동
액체 부피(mL)
2.00mL
5.00mL
10.00mL
실험 회수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처음 무게 (g)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나중 무게 (g)
57.7225
57.7229
57.7211
60.4502
60.4498
60.4482
65.2265
65.2253
65.2240
액체 무게 (g)
1.8130
1.8134
1.8116
4.5407
4.5403
4.5387
9.3170
9.3158
9.3145
2.00mL
5.00mL
10.00mL
평균무게(g)
1.8128
4.5399
9.3158
무게의 불확실도(g)
0.1872
0.3601
0.6842
수온(°C)
18
증류수의 밀도(g/mL)
0.9986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
1.8153
4.5463
9.3289
부피의 불확실도(g mL)
0.1875
0.3606
0.6852
(4) 뷰렛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뷰렛을 이용하여 1회 취한 액체의 부피 : 50mL
액체 부피(mL)
2.00mL2
5.00mL
10.00mL
실험 회수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처음 눈금
(mL)
50
50
50
50
50
50
50
50
50
나중 눈금 (mL)
48
48
48
45
45
45
40
40
40
옮긴 부피 (mL)
2
2
2
5
5
5
10
10
10
액체 무게 (g)
2.11
2.1582
2.107
4.9967
4.9893
5.1131
10.0436
10.0908
9.9779
액체의 밀도 (g/mL)
1.055
1.0791
1.0535
0.9993
0.9979
1.0226
1.0043
1.0090
0.9978
2.00mL
5.00mL
10.00mL
평균밀도(g/mL)
1.0625
1.0066
1.0037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밀도(g/mL)
1.0640
1.0080
1.0051
밀도의 불확실도(g/mL)
0.0013
0.0014
0.0014
-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밀도 = 평균밀도 ÷ 증류수의 밀도
- 밀도 = 액체 무게 ÷ 옮긴 부피
7. 결론 및 고찰
(1) 결론
유리기구마다 불확실성이 다른데, 정밀한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뷰렛이나 피펫같은 유리기구가 눈금실린더같이 정밀한 양을 측정하기 어려운 유리기구보다 불확실도가 작다. 특히 뷰렛은 세 유리기구 중 불확실도가 가장 작은 기구임을 알 수 있다.
(2) 고찰
① 실험 시 비커를 제대로 닦지 않고 실험을 하여 오차가 커졌다.
② 실험 시 정확한 양의 증류수를 제대로 채우기 어려워 오차가 커졌다.
③ 온도가 18도가 정확하지 않아 증류수의 밀도값이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값의 오 차가 생길 수 있었다.
④ 저울에 무게를 잴 때 주변의 미세한 흔들림 때문에 오차가 커졌다.
-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 = 평균 무게 ÷ 증류수의 밀도
-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의 불확실도 = 무게의 불확실도 ÷ 증류수의 밀도
(3) 눈금실린더를 이용한 액체의 이동
액체 부피(mL)
2.00mL
5.00mL
10.00mL
실험 회수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처음 무게 (g)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55.9095
나중 무게 (g)
57.7225
57.7229
57.7211
60.4502
60.4498
60.4482
65.2265
65.2253
65.2240
액체 무게 (g)
1.8130
1.8134
1.8116
4.5407
4.5403
4.5387
9.3170
9.3158
9.3145
2.00mL
5.00mL
10.00mL
평균무게(g)
1.8128
4.5399
9.3158
무게의 불확실도(g)
0.1872
0.3601
0.6842
수온(°C)
18
증류수의 밀도(g/mL)
0.9986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
1.8153
4.5463
9.3289
부피의 불확실도(g mL)
0.1875
0.3606
0.6852
(4) 뷰렛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뷰렛을 이용하여 1회 취한 액체의 부피 : 50mL
액체 부피(mL)
2.00mL2
5.00mL
10.00mL
실험 회수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처음 눈금
(mL)
50
50
50
50
50
50
50
50
50
나중 눈금 (mL)
48
48
48
45
45
45
40
40
40
옮긴 부피 (mL)
2
2
2
5
5
5
10
10
10
액체 무게 (g)
2.11
2.1582
2.107
4.9967
4.9893
5.1131
10.0436
10.0908
9.9779
액체의 밀도 (g/mL)
1.055
1.0791
1.0535
0.9993
0.9979
1.0226
1.0043
1.0090
0.9978
2.00mL
5.00mL
10.00mL
평균밀도(g/mL)
1.0625
1.0066
1.0037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밀도(g/mL)
1.0640
1.0080
1.0051
밀도의 불확실도(g/mL)
0.0013
0.0014
0.0014
-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밀도 = 평균밀도 ÷ 증류수의 밀도
- 밀도 = 액체 무게 ÷ 옮긴 부피
7. 결론 및 고찰
(1) 결론
유리기구마다 불확실성이 다른데, 정밀한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뷰렛이나 피펫같은 유리기구가 눈금실린더같이 정밀한 양을 측정하기 어려운 유리기구보다 불확실도가 작다. 특히 뷰렛은 세 유리기구 중 불확실도가 가장 작은 기구임을 알 수 있다.
(2) 고찰
① 실험 시 비커를 제대로 닦지 않고 실험을 하여 오차가 커졌다.
② 실험 시 정확한 양의 증류수를 제대로 채우기 어려워 오차가 커졌다.
③ 온도가 18도가 정확하지 않아 증류수의 밀도값이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값의 오 차가 생길 수 있었다.
④ 저울에 무게를 잴 때 주변의 미세한 흔들림 때문에 오차가 커졌다.
키워드
추천자료
BOD 실험
빛의 회절과 편광실험
일반화학 실험 - 카페인의 추출
[물리화학실험]van`t hoff(반트호프)
(일반화학실험) 나일론이야기
[분석실험] 젖산 및 암모니아의 정량을 구하기 위한 역적정과 역적정의 용도 바로 알기
[분석실험] 식초아세트산 역사 - 식초 분석으로 아세트산 함량을 역가를 이용해 구하기.
산가 측정실험
(일반화학 실험 결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물질의 분리
음속측정-기주공명장치 (일반물리학실험 북스힐 2012년 최신개정판)
화학 실험보고서 - 기체 상수의 결정
전자 회절 실험결과re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결과re
박막크로마토그래피 실험 [결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