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심질환 -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심질환 -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약물치료 없이 자연 폐쇄 여부를 모니터한다. 증상이 있는 영아나 아동은 이뇨제와 digoxin으로 치료한다.
중재적 심도자술
: ASD의 카테터를 이용한 폐쇄 장치는 2차공 결손이 있는 심방중격 결손이 있는 아동에게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미국 FDA가 사용을 승인했다.
③ 외과적 관리
: 아동기 초기에는 봉합이나 심막 부착포 혹은 인공 부착포 등 외과적 폐쇄를 선택적으로 시행한다. 이 수술은 개심술이며 체외순환을 이용하는데 심실 기능장애나 폐고혈압이 있는 젊은 성인의 경우 위험은 심각하게 증가할 수 있다.
3. 심실 중격 결손 : VSD(Ventricular Septal Defect)
: 좌심실과 우심실사이의 심실중격에 결손이 있는 것을 말하며, 선천성 심장기형 중 25-30%차지해 가장 흔한 병이다
병태생리
- 폐순환을 거쳐 좌심방→좌심실로 돌아온 동맥혈의 일부가 결손 부위를 통해서 우심실로 유입된다.
(폐혈관 저항이 작고 좌심의 압력이 우심보다 높기 때문)
- 우심실에 유입된 동맥혈은 정맥혈과 섞여 우심방을 거쳐 폐순환으로 돌아가 좌심방-심실, 우심실, 폐동맥 의 부담이 증가하고 우심실과 폐동맥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 증가된 폐혈류 상태가 지속될 경우 VP의 작은 혈관들이 높은 압력으로 인해 손상을 받아 폐동맥의 압력 과 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증상
- 결손이 작은 경우 : 대개 증상이 없고 심잡음은 있다.
- 결손이 큰 경우 : 심부전증, 빈호흡, 빈맥, 수유곤란, 체중증가 지연, 잦은 호흡기 감염(폐렴), 땀을 많이 흘림.
치료 및 간호
: 수술을 위해 심부전증에 대한 약물치료를 시행하며 증상 호전이 목적이다.
도관을 이용한 비 수술적 치료
: 다리 정맥을 통해 도관을 삽입, 장치를 심장내부까지 운반하여 VSD를 막아주는 방법이다.
수술
: 심부전, 심한 발육부전, 페동맥 고혈압이 동반된 큰 VSD인 경우 적용되며 Eisenmenger\'s reaction 환자인 경우는 금기이다.
≫ 큰 VSD는 patch로 막아주며, 작은 결손은 구멍을 꾀매준다.
4. 폐동맥협착 : PS(Pulmonary stenosis)
: 비교적 흔한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전체 선천성 심장질환의 8∼12%를 차지한다.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있는 폐동맥관이 좁아져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는 증세로, 해부학적으로 판막형(valvar), 원추부형(Infundibula), 혼합형(combined)의 3가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판막형이 80%를 차지하며, 혼합형은 다른 심장질환에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병태생리
①단순 폐동맥 협착
: 다른 심기형을 동반하지 않는 폐동맥 협착증을 말하며 선천성 심장질환의 10%에서 발생하지만 다른 선천성 심장병변과 합병해서 오는 경우가 많다. 폐동맥 협착 유형은 판막형, 판막하형, 판막상부형으로 폐동맥입구가 좁아짐이 특징이다. 판막은 정상적 삼첨판이거나 이엽성 또는 형성부전일 수 있다.
②혈역학적 변화
: 우심실 유출로 혹은 판만에거 혈류에 대한 저항은 우심실 비대를 유발한다. 심한 폐동맥협착으로 우심실 압력이 상승되어 참첨판을 통해 우심방으로 혈액이 역류되어 우심방 압력을 높여 난원공을 열리게 해서 혈액이 우심방좌심방으로 흐르게 한다. 이에 체순환으로 산소화되지 않은 혈액이 가서 청색증이 올 수 있다.
증상
: 대다수는 임사적으로 무증상이다. 진전이 만져지고 구출성 수축기 잡음을 들을 수 있다. 흉부 x선 검사에서 심비대를 보인다. 중등도 이상의 심한 폐동맥 협착 아동은 운동 지구력 저하, 심한 폐동맥 협착은 우심실부전, 울혈성 심부전, 심한 청색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치료 및 간호
①내과적 관리
: 무증상인 아동은 심장 추후 관리와 적절한 항생제 예방법이 일반적인 치료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폐동맥 협착 아동에서 폐동맥 판막을 통과하는 혈액의 압력차가 증가한다. 이 때 무증상이라 하더라도 중재 시점은 폐동맥 판막을 통과하는 압력차에 기초한다. 폐동맥 협착이 심한 신생아는 동맥관을 개존해 산소화한 혈액이 폐로 충분히 들어갈 수 있도록 PGE1를 주입한다.
②중재적 심도자술
: 단순 판막형 폐동맥 협착에 대한 치료법으로 풍선 판막 성형술이 시행된다. 심도자술로 압력차를 확인하고 압력 저하를 위해 판막을 확장한다. 풍선 판막 성형술은 매우 송공률이 높고 위험도가 낮다. 심한 폐동맥 협착이 계속되거나 재발되는 폐동맥 협착 때문에 재중재가 필요할 수도 있다.
③외과적 관리
: 판막 하부형 폐동맥 폐쇄나 우심실이 작아 심각한 청색증이 계속되기
  • 가격9,66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2.1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7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