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방 레포트 - 역의학의 정의, 음양학설, 오행학설, 만리의학 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한방 레포트 - 역의학의 정의, 음양학설, 오행학설, 만리의학 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역의학의 정의, 음양오행설

2) 동양의학과 서양의학

3) 음양학설

4) 오행학설

5) 만리의학 책

5) 의역학의 응용

본문내용

다고 해도 같은 약을 주지 않으며, 음 양허실의 차이에 따라 처방이 달라진다.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약물에는 동물, 식물, 광물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잎, 뿌리, 나무 껍질, 나무 열매 등 식물이 많이 쓰여진다. 이 들은 원래의 재료 그대로 사용되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 약의 효능을 올리거나 독을 제거하기 위하여 술이나 소금물 등에 담그거나 볶기도 하고 일부 가공하는 법제(法製)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한다.
서양 의학에서 생각하는 유효 성분과 한의학에서 생각하는 유효 성분은 서로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한약은 자연 형태 그대로 쓴다는 것이 장점이며 특징이다. 독성이 있는 약물도 적절한 배합에 의해 독성이 없어지고, 유효 성분의 작용이 강화되는 등 여러 가지 흥미로운 현상이 나타난다. 양약의 안전성은 확실히 보장하기 어려운 경우 도 있다. 그렇지만, 한약의 안정성은 수천 수만의 환자에게 투여해 본 경험에 근거하여 얻어진 것이므로 부작용이 거의 없다.
- 음양학설 -
자연계의 모든 사물과 현상에는 서로 대립되는 두 가지 속성이 있다. 예를 들면 상하(上下)좌우(左右)천지(天地)동정(動靜)출입(出(入)승강(升降)주야(晝夜)명암(明暗)한열(寒熱)수화(水火) 등이 그러하다. 음양은 서로 대립되는 측면과 서로 배합되는 면도 가지고 있다. 음양의 상호대립은 주로 음양간의 상호제약상호소장에서 표현된다.
음양이 상호제약 하는 과정은 상호소장 하는 과정이기도 하며 소장이 없으면 제약도 없는 것이다. “동적인 것은 정적인 것을 눌러야 하고 음기가 성하면 양으로 이겨야 한다.《유경부익의역(類經附翼醫易)》라고 한 것은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 음과 양의 상호제약, 상호소장의 관계를 말해주는 것이다.
인체가 정상적인 생리상태에서 서로 대립되는 음양(陰陽)의 두 측면은 아무런 관련도 없이 평온하게 하나의 통일체에 공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제약상호소장하는 동적(動的)인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른바 “음평양비(陰平陽秘)”《소문생기통천론(素問生氣通天論)》이라는 것도 대립제약과 소장과정에 음양이 동적 균형 상태를 이룬다는 것이다. 만일 이런 동적 균형 상태가 파괴되면 병이 생기게 된다.
《소문음양응상대론(素問陰陽應象大論)》에 “음이 성하면 양이 병들고 양이 성하면 름이 병든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음양의 제약소장이 균형을 잃게 되면 질병이 생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한의학에서의 음양학설 응용
1. 인체의 구조를 설명한다.
음 : 인체의 내부. 복부. 오장(간.심.비.폐신) 상부. 사지내측.
양 : 인체의 외부. 등. 육부(담.소장.위.대장,방광)
2. 인체의 생리기능을 설명한다.
음 : 물질. 억제. 응결
양 : 기능. 흥분. 추동
3. 인체의 병리변화를 설명한다.
정기 (양) : 면역력. 저항력 음액, 양기
사기 (음) : 질병의 원인 정기, 사기
음양편쇠 : 한쪽이 정상수준보다 낮은 상태
양허즉열 : 양이 부족하여 음을 제약 하지 못함
음이 편승하여 한 상이 나타남
음허즉열 : 음이 부족하여 양을 제약 못함. 양이 편향하여 열상이 나타남
양승 : 양기가 절대적으로 많음을 뜻함.
양승즉열 : 양기가 성한 병은 열이 많은 증상 을 나타낸다.
(양기가 지속적으로 성하면 음이 부족한 병을 유발한다.)
4. 질병의 진단에 이용한다.
모든 질병의 원인은 음양실조에 의하여 발생한다.
음 : 어둠. 흐림. 소리가 낮고 약함. 호흡미약
양 : 색깔선명. 소리가 높고 강함. 호흡거침
5. 질병의 치료에 이용한다.
약물의 음양의 속성에 근거하여 제조한다.
4기(氣) : 한(寒). 양(凉). 온(溫). 열(熱)
5미(味) : 신맛. 단맛. 짠맛. 쓴맛. 매운맛
[출처] 한의학에서의 음양학설 응용
- 오행학설 -
오행은 목, 화, 토, 금, 수 5가지 물질의 운동이다. 오행은 세상의 없어서는 안될 기본물질이고 세상에 모든 사물은 모두 목, 화, 토, 금, 수의 5종 기본물질 사이의 운동변화과정에서 생성된다. 이 5종 물질 사이에는 상호 자생하는 동시에 상호 제약하는 관계를 갖고 있고 이러한 상생상극운동과정에서 동적인 평형을 유지한다. 이것이 오행학설의 기본내용이다.
오행학설에 의하면 목은 “목왈곡직(木曰曲直)”, 즉 성장, 상승발산, 조리정연하고 시원한 등 역할이나 성질을 갖고 있는 사물은 전부 목에 속한다. 화는 “화왈염상(火曰炎上)”, 즉 따뜻하거나 솟아오름 등 역할이나 성질을 갖고 있는 사물은 화에 속한다. “토원가색(土爰稼穡)”, 즉 생화, 승재, 수납 등 역할과 성질을 갖고 있는 사물은 모두 토에 속한다. 금은 “김왈종혁(金曰從革)”, 즉 청결, 숙청/하강(肅降), 수렴 등 역할과 성질을 갖고 있는 사물을 금에 속한다. 수는 “수왈윤하(水曰潤下)”, 즉 한량, 자윤, 하강운동 등 역할과 성질을 갖고 있는 사물은 모두 수에 속한다.
오행학설은 오행의 특성에 따라 사물을 분류하고 자연계의 각종 사물과 현상의 성질과 역할을 오행의 특성과 비교한 후 각각을 오행에 귀속시킨다.
오행학설에서 오행 사이에는 생(生), 극(克), 승(乘), 모(侮)의 관계가 있다. 오행의 상생상극관계는 사물의 상호 연관관계로 해석되고 상승상모는 사물 지간의 평형이 파괴된 후의 상호 영향관계로 해석한다.
동양의학에서는 오행학설로 인체의 생리기능과 병리변화를 해석하고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된다.
[출처] 오행학설 (동양의학연구센터)
- 만리의학 책 -
불세출의 천의(의명학자,체질 만성병대가)분이신, 고 변만리 선생님께서 80평생 40-50년이상 醫命學(명리학+동양의학,체질 만성병의학)을 연구임상실험하여 쓰신, 현존하는 최고의 동양의학+체질이론 책입니다.
이 책이 바로 100년 전의 부족한 이론인, 동무 이제마의 사상체질의 진단의 문제와 한계를 뛰어넘은 이론(생일(사주,천명)-사상체질 만성병의학) 입니다.
5천년역사상 최초로 감히 어느 누구도 완성하지못한, 동양의학의 (핵심,정석,최고봉)대로 醫易洞源(의역동원(명리학+동양의학)을 완성한 이론입니다.
이책을 보아야만, 타고난 생일(절기,운기,사주,인체설계도,천명)안의 음양오행 기운(오장육부왕쇠강약 虛實(기질,체질)만 보고,
  • 가격9,66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12.16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7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