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사 요약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 한국 개신교 교회 설립과 성장, 한국교회의 시련, 현실과 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교회사 요약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 한국 개신교 교회 설립과 성장, 한국교회의 시련, 현실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 교회사 요약


서론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

1. 한국 교회사 연구 방법론
2. 한국 교회사의 복음주의적 해석
3. 한국 기독교사와 경교
3. 로마 가톨릭교의 선교와 한국 천주교
4. 개신교의 한반도 선교 시작
5. 한국에서의 기독교 선교와 수용
6.선교사들의 문화 사업
7.초대 선교사들의 전도활동과 교회설립
8.선교정책


한국 개신교 교회 설립

1.정치적 환경과 개신교
2.초기 한국 교회의 부흥
3. 초기 한국 개신교의 성장
4.자립하는 한국교회
5.초기 한국 교회 선교
6.초기 한국 교회 신학


한국개신교의 성장

1.일제 강점기의 한국 교회
2. ‘ 3 . 1 ’독립운동과 한국교회
3.한국교회의 성장(1910~1930)


1930년대 한국교회의 시련

1.새 신학의 유입


45년 광복을 맞이한 한국교회

1.해방후 정치에 대한 교회의 대응과 교회재건
2.한국 교회 분열
3. 6.25전쟁과 한국 교회


1960년대 이후의 한국 교회

1.정치 및 사회 상황과 한국 교회
2.한국 장로교의 분파와 신학적 입장
3.토착화 신학과 한국 기독교의 토착화
4.세속화 신학
5.복음주의 운동과 복음주의 신앙
6.분열된 한국교회의 연합운동
7.이단들의 운동
8.한국교회의 세계선교


한국교회의 현실과 전망

1.한국교회의 현실과 전망


김영재 교수의 한국교회사를 읽고

본문내용

하게 규명하는 작업에서 출발해야 한다.
2. 한국 교회사의 복음주의적 해석
김영재 교수의 한국 교회사는 지금까지 문화, 민족 민중적으로 교회사를 이해하려는 한국 교회사 연구 동향을 신학적이고 성경적인 방향으로 정립하는 하나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한국 교회사룰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되, 한국 개신교 전체를 총체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는 복음을 근간으로 한 “복음주의적 해석”이 필요하다.
복음주의자들은 무엇보다도 성경이 말하는 복음을 있는 그대로 믿는다. 성경과 기독교 역사를 돌이켜볼 때 건강한 교회가 외친 복음에는 언제나 복음 전파, 복음의 대 사회적- 문화적-민족적 책임, 그리고 복음의 순수성이라는 세 가지는 늘 상호 깊은 연계성을 지니고 있었고 상호 보완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3. 한국 기독교사와 경교
1) 동서의 교류와 기독교의 전래
주전 200년경에 중국은 로마에까지 알려진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동서 간에 교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경교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당조 시대인 635년으로 되어 있다. 알로벤을 단장으로 하는 페르시아의 사절단이 전했다고 한다. 안디옥 교회가 서방교회의 근거지였다면 동방교회의 근거지는 에다사 교회가 동방 선교의 근거지였다. 그들은 오늘날의 이라크, 이란, 터키 동 남부 등 동방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그리스도가 인성만을 가졌다고 주장하는 감독 네스토리우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시리아와 페르시아로 건너가서 과거 원시 기독교와 합류하여 동방선교에 힘썼다. 그들의 교는 중국에 경교를 전하게 되었다.
2) 경교의 중국전래
역사적 문헌에 의하면 중국이 서방 기독교와 최초로 접촉한 교파는 경교였다. 431년 에베소 회의에서 정죄 되었던 네스토리우스 일파는 선교의 방향을 동방으로 돌렸다. 635년 알로벤이 이끄는 페르시아의 사절단이 장안에 도착했을 때 당의 황제는 재상 방언치금을 파견하여 환영하였다. 638년 7월 경교는 태종의 칙령에 따라 당의 조정이 공인하는 종교가 되었다. 알로벤은 635년부터 641년까지 포교하는 한편 (예수 메시아경)을 번역하였다. 650년 즉위한 고종 때에는 경교를 진종이라며 전국 각지에 사원을 건설 이때부터 경교는 국교로 인정을 받고 845년 종교 대박해 사건이 있기 전까지 200년 동안 융성하였다.
3) 한반도에 경교가 전래 되었는가?
한국의 기독교사가인 김광수는「동방 기독교사」에서 경교의 모조비에 관하여 언급하며, 이조의 헌종 때의 이규경이 쓴「오주연문」의 한 구절에 경교를 알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오윤태는 경교의 한국 전래를 소승불교와 대승불교로 나눈 것을 특징지어 말했다. 도마의 인도 전도 이후 불교는 약하되었고 그 순간 기독교의 활발한 활동이 불교의 구원이라는 말이 만들어졌다는 증거이다. 또한 우리나라에 들어온 불교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경교라는 뜻이다. 법룡사의 벽화에서 경교의 영향을 받은 흔적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4) 경교의 신앙개조
1625년 장안에서 발굴된 “태진경교유행중국비”의 비문을 통하여 경교가 중국에서 성행한 역사와 교의 윤곽을 알 수 있다.
5) 신앙 개조의 특색
마리아 신모 숭배 반대, 십자가 형상 이외 것 사용금지, 성찬식에 사용되는 떡과 포도주에 그리스도의 영이 임재 한다고 주장, 승위 8계급 확정,승려의 대처를 금하지 않음, 경교의 법주는 원칙적으로 채식 고승, 대덕, 승려의 육식은 금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6) 정토교는 경교의 영향을 받은 것인가?
정토교는 불교의 민중화에 힘쓴 종파이다. 개조 된 승려는 중국의 도안이었고, 그의 제자인 동진의 혜원이 이를 발전시켰다. 오윤태는 우리나라에 전수된 불교는 정토교이며, 이 정토교는 경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3. 로마 가톨릭교의 선교와 한국 천주교
로마 가톨릭교의 전래
한반도에 로마 가톨릭교가 전래된 것은 선교사를 통해서가 아니라 선조이후 북경을 드나든 사절이 서양의 문물과 함께 들여온 천주교의 서적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로마 가톨릭은 임진왜란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끈 가톨릭 군대와 종군목사(세프페데스)로 참여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전쟁으로 일본에 끌려가 로마가톨릭교를 신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도구가와 시대 때 로마 가톨릭 신자 중 한인계 신자들도 많은 순교를 당했다고 한다. 일본에는 일찍이 사비에르를 위시한 예수회 교단의 선교사들이 찾아와서 로마 가톨릭의 선교가 시작되었다. 1644년 세자는 예수회 교단 신부 아담 샬과 만나 천주교 교리를 접하게 되었다. 세자는 귀국하면서 천구의와 천문서 서양 문물을 소개하는 책자를 받아가지고 왔으나 천주교상과 성교정도, 천주교 서책과 물건은 사양하고 선교사를 보내주도록 부탁했다.
1) 한국 천주교회의 설립
1777년 정조 원년에 남인의 시파 유학자들 중 한명인 이벽은 서학에서 신앙을 얻고 묵상과 기도하는 일에 힘썼으며, 다른 이들에게 천주교 신앙을 가르쳤다. 1783년 정약전의 매부인 이승훈이 아버지를 따라 북경으로 가게 되었고, 가는 북경에서 남당을 방문하고 신부에게 필담으로 교리를 배웠다. 이승훈은 1784년 귀국하기 직전에 예수회 신부 그라몽에게 세례명 “베드로”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그 해 3월에 수십종의 교리 서적과 십자가상과 성화, 묵주 등을 가지고 돌아와 이벽에게 교리 서적들을 전해 주었다. 이벽은 7개 성사에 관한 설명, 공교요리, 복음해설, 매일의 성인전, 기도서 등을 통하여 신앙에 더욱 확신을 하고 전도하였다. 1785년 봄부터 서울 명례동에 있는 김범우의 집에 모여 예배를 드렸다. 이벽은 상좌에서 설법을 하고 선생의 예우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은 새로운 조정의 박해로 인하여 김범우는 매를 맞고 순교하였으며, 이벽과 이승훈은 배교를 하였다. 핍박이 가라앉자 신자들은 교회를 이끌어갈 신부의 필요성을 느껴서 이승훈을 비롯해 이단원, 유항검, 최창현 등을 신부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북경에 있는 주교 구베아는 평신도가 행할 수 있는 세례성사만 인정할 뿐 성직 제도는 인정하지 않았다. 1793년 구베아 주교는 북경 천주교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중국인 주문모 신부를 선정하여 보내기로 하였다. 하지만 그는 밀고로 인해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3.12.1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