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철학]중국의 도교 (道敎)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철학]중국의 도교 (道敎)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중국에 있어서 도교의 의미

Ⅱ. 본론
1. 도교란 무엇인가? - 도교와 도가 비교

2. 도교의 사상적 연원
① 중국 고대의 민간신앙
② 신화와 전설
③ 무술(巫術)

3. 도교의 전사(前史)
① 원시도교 교단 -太平道와 五斗米道
② 도교 교단의 성립 - 천사도
③ 수․ 당대의 도교
④ 송대의 도교
⑤ 도교의 쇠퇴

4. 도교의 신과 경전

5. 도교의 영향
① 도교와 중국의 문학예술
② 도교와 중국 고대의 과학기술

Ⅲ. 결론
- 동아시아 기층문화로서의 도교

본문내용

졌다는 사실 역시 도교와 중국소설의 관계를 잘 설명해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원대 잡극도 이러한 도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그 사상을 선전하고 도사의 생활을 묘사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신선도화(神仙道化)극이나황량몽(黃梁夢)에서도 이는 잘 드러난다. 또한 명청 소설 중 봉신연의와 같은 신마소설은 도교선전용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신선과 마귀를 주로 언급하고 있다. 도교의 영향은 시를 통해서도 나타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유선시(遊仙詩)이다. 이 속에는 천부적인 상상력에 의한 다채롭고 미묘한 신선세계가 무수히 창조되었고, 환상적인 모습을 보인다. 동진의 곽박이나 당대의 이백과 두보가 이러한 유선시로 유명한 시인들이다. 이뿐만 아니라 도교는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도교음악은 도사들이 재초와 같은 종교행사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독특한 형식과 내용을 지닌다. 특히 고대 무술에 있어서 음악과 무용이 결합되어 신을 맞이하고, 청하였던 것을 계승하여 발전한 것이 바로 도교의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② 도교와 중국 고대의 과학기술
사람의 장생불사를 추구하는 도교는 그 방편으로 수련과 함께 단약의 복용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정, 기, 신의 수양을 강조하는 내단과 복식(服食)을 강조한는 외단으로 나눠지며, 이를 통해 중국 양생학과 기공, 그리고 중국 고대의 화학과 의약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또한 중국 전통의학은 병의 치료에 관한 이야기가 특정 신화인물에게서 나옴으로써, 원시사회 사람들의 약에 대한 지식과 장기간의 실천, 경험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신선과 장수가 도사들의 기본적인 바람이 되면서, 여러 약물을 조제하고, 구하는 행위들은 직접적으로 중국 고대 의학의 발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 기층문화로서의 도교
앞서 정의내린 것과 같이 도교는 종교적인 의미만을 나타내지 않는다. 물론 종교적인 의미로서의 도교(Religious Daoism)도 있지만, 그 속에는 흔히 도가(道家)라 칭하는 철학적 의미의 도교(Philosophical Daoism) 역시 포함된다. 즉 하나의 문화가 아닌 다양화되어 여러 문화 근저에 함의된 도교가 바로 기층문화로서의 도교인 것이다. 이것은 잠재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현상으로도 나타나곤 하는데, 고대 후한 때의 농민봉기였던 태평도에서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러서는 법륜공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최근 대륙에서 이홍지(李洪志)가 이끄는 도교 수련단체인 법륜공(法輪功)이 그 정치성 여부를 놓고 논란의 와중에 있는 상황을 그 예로 들 수 있겠다. 중국 개방화 이후 사회주의 이념의 쇠퇴, 물질 만능주의로 인한 정신의 황폐 등 이념적 공백 상황 속에서 급속히 성장한 법륜공과 국가권력의 주체인 공산당과의 충돌은 바로 하나의 강력한 힘을 가진 문화적인 존재로서의 도교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교의 이러한 성향은 역사적으로도 증명되어 왔는데, 물론 왕권과 결탁하여 지배 계층의 비호를 받고, 정치적으로 퇴폐적인 성향을 띠었던 적도 있지만, 대체로 비주류의 편에서, 체제상에서 매여 있는 주류의 논리에 보다 큰 상상력과 활력을 불어 넣는 역할을 해왔다. 즉 위가 아닌 아래에서 그 생각의 근저를 이루며, 사회의 밑바탕에 있는 이들의 생각과 함께 한 기층문화로서의 도교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교 문화는 사회 전반에 스며들어서 앞에서 언급한 것과도 같은, 예술과 과학 방면에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 그 영향력이 전해지고 있다. 비록 뚜렷하게 드러나 보이는 것은 몇 되지 않지만, 중국 공산당이 기치로 내건 대종교정책을 전환시킬 만큼 도교는 종교의 모습에서 여전히 자리하고 있으며, 대만을 이어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도 그 성세는 이어져 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학술로서의 도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그 관심은 점점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그 한계점을 지정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방면에서의 발전가능을 예측할 수 있고, 종교로, 예술로, 학술로, 끊임없이 그 모습을 보이는 현재의 도교는 하나의 문화코드로서의 역할 가능성도 기대해볼 만한 일인 것이다.
참 고 문 헌
酒井忠夫 (1990).『도교란 무엇인가』, (서울; 민족사)
도광순 (1996).『도가사상과 도교』, (서울; 범우사)
정재서 (2000).『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서울; 푸른숲)
우민웅 (2003).『도교문화개설』, (서울; 불이문화)
구보 노리타다 (2004).『도교의 신과 신선이야기』, (서울; 뿌리와 이파리)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2.27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