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목차
없음
본문내용
듣기 대신 말하기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상대방을 도와주어야 할 때에 상대방의 말을 들어주는 대신 맞지도 않는 충고나 해결책을 제시하곤 합니다. 그러나 상대방을 진실로 도와주기 위해서는 그가 마음속으로 무슨 말을 하려는지 열심히 이해하고 파악하면서 들어야 합니다.
ex) 선배님, 이번에 동아리 행사 준비하는데 조언 좀 해주세요.
-내가 동아리 행사 준비할 것도 아닌데 왜 나한테 얘기하는거야?
-아~ 그래? 당연히 도와줘야지~ 어떻게 도와주면 될까?
2) 경청의 방법
훌륭한 청자가 되기 위해서는 경청 방법에 대해 잘 알아두어야겠죠?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잘 알고 있어도 대화 도중에 작은 실수 하나로 상대방의 대화 의지를 꺾을 수 있습니다.
ex)
-적절한 고개 끄덕임
-짐작하기 (아무리 생각해도 내가 옳은데..)
2. 질문 스킬
1)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
여러분은 상대방과 대화할 때 효과적인 질문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시지는 않나요?
우리의 왕소심 군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질문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괜히 질문했다가 분위기 망치면,, / 질문 많이하면 귀찮아하지 않을까?
① 폐쇄형 질문 (A방법이 좋은가요, B방법이 좋은가요?)
-대상, 시간, 장소 등 정보에 치중
-예, 아니오 또는 간단한 대답 필요->답문을 쉽고 간단하게 끝낼 수 있음
-상대방의 말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했을 때 도움이 된다.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된 심층적 토의를 철저하게 점검하고 불확실하고 모호한 부분을
제거하여 팀이 상황에 따라 재빠르게 대처할 수 있음
#폐쇄형 질문의 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영향을 받을까요?
-이 결정에 찬성하나요?
-A안이 좋은가요, B안이 좋은가요?
② 개방형 질문 (이런 방법으로 해 보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가능성, 감정, 원인을 따짐.
-무엇, 어떻게, 왜 에 대한 대답 필요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격려
#개방형 질문을 할 때
-상대방의 말에 집중할 자세를 갖춰야 함
-질문의 횟수와 이해의 깊이가 비례함
-~을 어떻게 생각하죠? 처럼 ‘왜’와 ‘어떻게’라는 말이 들어감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유도
#개방형 질문의 예
-새로운 관점과 통찰을 제시하는 탐구적 질문 : ‘~을 생각해 보았나요?’, ‘~이 도움이 되
지 않았을까요?’
-감정을 서로 나누기 하는 감성적 질문 : ‘이 일을 해보니 어때요?’
-더 깊이 탐구하고 생각을 가다듬게 하는 성찰적 질문 : ‘팀장을 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는
데 원인이 뭐라고 생각합니까?’
-고정관념을 흔드는 질문 : ‘왜 꼭 그런 식으로 하죠?’ ‘이런 식으로 한 번이라도 해 봤나
요?’
2) 질문의 5단계
문제점을 찾아내고 상대방을 일깨우는 훌륭한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생각나는 대로 질문을 던질 것이 아니라 몇 가지 단계를 거쳐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① 대화시작
-폐쇄형 질문 : 지금 회의를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개방형 질문 : 오늘 하루 어땠어요?
② 질문 준비 : 대화의 주요목적과 배경을 설명해야지.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기게 되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 싶네요.
③ 질문하기 : 본격적인 질문은 어떻게 하지? -> 호기심을 가지고 친절한 태도로, 개방형
질문으로 긍정적인 답변 유도
-당신이 진정으로 성취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죠?
-당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할까요?
④ 경청하며 듣기 : 질문을 하고나면 상대방이 대답할 시간을 충분하게 줄 것, 적극적 경청
은 필수
-질문을 마쳤으면 집중해서 들어라.
-상대방의 눈을 피하지 말고 고개를 끄덕이며 응원하라.
-태도, 표정, 제스처, 모호한 표현에 주목하라.
-상대방의 말을 중간에 끊지 말고 끝까지 들어라.
⑤ 피드백 제공 : 대답한 사람에게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도록! 피드백을 주지 않
으면 무시당했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음.
3. 피드백 스킬
1) 피드백의 10가지 요소
ex) 소심아 난 아까 네가 수업시간에 교수님께 했던 질문 내용 참 좋았던 것 같아.
어? 고마워.
① 칭찬 : 계획을 짠다. 누군가에게 피드백을 주기 전에 생각을 정리하고 확실한 예를 들어
서 전달해야 하며, 해답을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
② 경청 : 경청한다.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게 하고 그 사람의 의견을 잘
듣는 것.
③ 믿음 : 균형을 유지한다. 잘한 행동을 더 잘하도록 촉구하는 ‘지지적 피드백’과 잘못된
것을 개선하도록 하는 ‘교정적 피드백’사이의 균형을 말하는 것. ‘채찍과 당근’은
적절히 활용해야 함.
④ 격려 : 침착하게 한다. 피드백을 줄 때 감정적이 되거나 과잉 반응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 옛날 일까지 끄집어내지 말고 현재 이곳에서 생긴 일에 대해서만 피드백 할 것.
⑤ 사랑 : 명확하게 한다. 실제로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파악하고, 상대방이 당신의 의도를
추측할 필요가 없도록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예를 드는 것.
⑥ 배려 : 시간과 공간을 배려한다. 피드백이 얼마나 신속히, 그리고 어떤 장소에서 전달되
느냐에 관한 것. 다른 사람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잘못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하
는 것은 좋지 않음.
⑦ 도전 : 느낌을 표현한다. 자신의 느낌을 피드백 메시지와 같이 전달할 경우 피드백은 더
욱 강력해지고 영향력도 크게 전달됨.
⑧ 용기 : 효과적인 기술사용, 무엇을 제시하려고 하는지 분명히 이해시켜 줄 수 있는 요점
말하기. 진심을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눈 마주치기, 제시하고자 하는 부분만을 명
확하게 제시하여 중요한 한 가지 문제에만 집중하기 등.
⑨ 이해 : 효과적인 스타일 개발. 피드백을 전달 할 때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
⑩ 지지 : 행동에 집중한다. 눈에 보이거나 평가될 수 있는 특정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피
드백 하는 것.
2) 피드백의 4가지 유형
○○1 지지적 피드백 : 상대방의 장점을 칭찬하여, 반복되기를 원하는 행동을 독려하는 것.
\"이번에 제출한 레포트는 정말 훌륭하던데! 시험준비를 하면서 네 레포트를 참고했는데,
덕분에 어려웠던 내용을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었어. 네 레포트를 볼
ex) 선배님, 이번에 동아리 행사 준비하는데 조언 좀 해주세요.
-내가 동아리 행사 준비할 것도 아닌데 왜 나한테 얘기하는거야?
-아~ 그래? 당연히 도와줘야지~ 어떻게 도와주면 될까?
2) 경청의 방법
훌륭한 청자가 되기 위해서는 경청 방법에 대해 잘 알아두어야겠죠?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잘 알고 있어도 대화 도중에 작은 실수 하나로 상대방의 대화 의지를 꺾을 수 있습니다.
ex)
-적절한 고개 끄덕임
-짐작하기 (아무리 생각해도 내가 옳은데..)
2. 질문 스킬
1)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
여러분은 상대방과 대화할 때 효과적인 질문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시지는 않나요?
우리의 왕소심 군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질문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괜히 질문했다가 분위기 망치면,, / 질문 많이하면 귀찮아하지 않을까?
① 폐쇄형 질문 (A방법이 좋은가요, B방법이 좋은가요?)
-대상, 시간, 장소 등 정보에 치중
-예, 아니오 또는 간단한 대답 필요->답문을 쉽고 간단하게 끝낼 수 있음
-상대방의 말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했을 때 도움이 된다.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된 심층적 토의를 철저하게 점검하고 불확실하고 모호한 부분을
제거하여 팀이 상황에 따라 재빠르게 대처할 수 있음
#폐쇄형 질문의 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영향을 받을까요?
-이 결정에 찬성하나요?
-A안이 좋은가요, B안이 좋은가요?
② 개방형 질문 (이런 방법으로 해 보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가능성, 감정, 원인을 따짐.
-무엇, 어떻게, 왜 에 대한 대답 필요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격려
#개방형 질문을 할 때
-상대방의 말에 집중할 자세를 갖춰야 함
-질문의 횟수와 이해의 깊이가 비례함
-~을 어떻게 생각하죠? 처럼 ‘왜’와 ‘어떻게’라는 말이 들어감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유도
#개방형 질문의 예
-새로운 관점과 통찰을 제시하는 탐구적 질문 : ‘~을 생각해 보았나요?’, ‘~이 도움이 되
지 않았을까요?’
-감정을 서로 나누기 하는 감성적 질문 : ‘이 일을 해보니 어때요?’
-더 깊이 탐구하고 생각을 가다듬게 하는 성찰적 질문 : ‘팀장을 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는
데 원인이 뭐라고 생각합니까?’
-고정관념을 흔드는 질문 : ‘왜 꼭 그런 식으로 하죠?’ ‘이런 식으로 한 번이라도 해 봤나
요?’
2) 질문의 5단계
문제점을 찾아내고 상대방을 일깨우는 훌륭한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생각나는 대로 질문을 던질 것이 아니라 몇 가지 단계를 거쳐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① 대화시작
-폐쇄형 질문 : 지금 회의를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개방형 질문 : 오늘 하루 어땠어요?
② 질문 준비 : 대화의 주요목적과 배경을 설명해야지.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기게 되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 싶네요.
③ 질문하기 : 본격적인 질문은 어떻게 하지? -> 호기심을 가지고 친절한 태도로, 개방형
질문으로 긍정적인 답변 유도
-당신이 진정으로 성취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죠?
-당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할까요?
④ 경청하며 듣기 : 질문을 하고나면 상대방이 대답할 시간을 충분하게 줄 것, 적극적 경청
은 필수
-질문을 마쳤으면 집중해서 들어라.
-상대방의 눈을 피하지 말고 고개를 끄덕이며 응원하라.
-태도, 표정, 제스처, 모호한 표현에 주목하라.
-상대방의 말을 중간에 끊지 말고 끝까지 들어라.
⑤ 피드백 제공 : 대답한 사람에게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도록! 피드백을 주지 않
으면 무시당했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음.
3. 피드백 스킬
1) 피드백의 10가지 요소
ex) 소심아 난 아까 네가 수업시간에 교수님께 했던 질문 내용 참 좋았던 것 같아.
어? 고마워.
① 칭찬 : 계획을 짠다. 누군가에게 피드백을 주기 전에 생각을 정리하고 확실한 예를 들어
서 전달해야 하며, 해답을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
② 경청 : 경청한다.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게 하고 그 사람의 의견을 잘
듣는 것.
③ 믿음 : 균형을 유지한다. 잘한 행동을 더 잘하도록 촉구하는 ‘지지적 피드백’과 잘못된
것을 개선하도록 하는 ‘교정적 피드백’사이의 균형을 말하는 것. ‘채찍과 당근’은
적절히 활용해야 함.
④ 격려 : 침착하게 한다. 피드백을 줄 때 감정적이 되거나 과잉 반응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 옛날 일까지 끄집어내지 말고 현재 이곳에서 생긴 일에 대해서만 피드백 할 것.
⑤ 사랑 : 명확하게 한다. 실제로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파악하고, 상대방이 당신의 의도를
추측할 필요가 없도록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예를 드는 것.
⑥ 배려 : 시간과 공간을 배려한다. 피드백이 얼마나 신속히, 그리고 어떤 장소에서 전달되
느냐에 관한 것. 다른 사람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잘못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하
는 것은 좋지 않음.
⑦ 도전 : 느낌을 표현한다. 자신의 느낌을 피드백 메시지와 같이 전달할 경우 피드백은 더
욱 강력해지고 영향력도 크게 전달됨.
⑧ 용기 : 효과적인 기술사용, 무엇을 제시하려고 하는지 분명히 이해시켜 줄 수 있는 요점
말하기. 진심을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눈 마주치기, 제시하고자 하는 부분만을 명
확하게 제시하여 중요한 한 가지 문제에만 집중하기 등.
⑨ 이해 : 효과적인 스타일 개발. 피드백을 전달 할 때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
⑩ 지지 : 행동에 집중한다. 눈에 보이거나 평가될 수 있는 특정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피
드백 하는 것.
2) 피드백의 4가지 유형
○○1 지지적 피드백 : 상대방의 장점을 칭찬하여, 반복되기를 원하는 행동을 독려하는 것.
\"이번에 제출한 레포트는 정말 훌륭하던데! 시험준비를 하면서 네 레포트를 참고했는데,
덕분에 어려웠던 내용을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었어. 네 레포트를 볼
추천자료
기업의 지배구조(사외이사제의 도입)
정보화 사회에서의 교육과 수업의 특징과 방법론
중국에 분 한류 열풍에 관한 조사-SK텔레콤의 중국 진출을 중심으로
조직과 경영방식
새집증후군의 사건 사례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구현
[광고론]포스터모던한 티저광고와 N세대
인디밴드와 인디음악
부부강간죄는 성립되는가
정수계획법을 사용한 스타벅스 수유점의 월말 재고 소진을 위한 계획
서울도시계획 이야기 독후감
[태교][음식태교][미술태교][운동태교][음악태교][뇌호흡태교]태교의 과학성, 태교의 개념, ...
[초등학교 미디어교육]미디어교육의 정의, 미디어교육의 가치, 미디어교육의 현황, 미디어교...
학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