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당오대사연의 41회 42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잔당오대사연의 41회 42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41회

42회

본문내용

왕언장은 둘레를 빙 돌아 한번 보니 5방의 진기세가 보이며 서로 근처로 추격하여 오니 단지 다음과 같이 보였다.
明分八卦, 暗合九宮, 占天地之機關, 奪風雲之氣象。
명분팔괘 암합구궁 점천지지기관 탈풍운지기상
분명히 8괘가 구분되며 몰래 9궁과 합치하니 하늘과 땅의 기관을 점유하며 바람과 구름을 빼앗는 기상이 있었다.
前後列龜蛇之狀, 左右分龍虎之形。
전후열구사지상 좌우분용호지형
앞뒤로 거북과 뱀의 모습이 나열되며 좌우로 용과 호랑이 형태가 구분된다.
丙丁前進, 如萬條烈火燒山;壬癸後隨, 似一片烏雲覆地。
병정전진 여만조열화소산 임계수후 사일편오운복지
병정인 불이 전진하니 마치 만가지 맹렬한 불이 산을 태우듯한다. 임계 수가 뒤를 따르니 한 조각 검은 구름이 땅을 덮듯이 한다.
左勢下, 盤旋氣;右手下, 貫串白光。
좌세하 반선청기 우수하 관천백광
旋 [panxuan]:1) 선회하다 2) 빙빙 돌다 3) 배회하다
串 [guanchuan]:1) 일관되다 2) 일관하다 3) 연결되다
좌측 기세 아래에 청색 기운이 돌아있다. 우측 손 아래 백색 광채가 연결되어 있다.
金霞遍滿中央, 黃道全依戍戊己。
금하편만중앙 황도전의술무기
금색 노을이 중앙에 가득차며 황색 길이 온전히 무기에 의지해 지킨다.
四維有二十八宿之分, 周回有六十四卦之變。
사유유이십팔수지분 주회유육십사괘지변
4유에 28수의 구분이 있고 64괘의 변화를 두루 돈다.
盤盤曲曲, 亂中隊伍變長蛇;整整齊齊, 靜裏威儀如伏虎。
반반곡곡 난중대오변장사 정정제제 정리위의여복호
盤曲 :얽히어 꼬불꼬불함
꼬불꼬불해 어지러운 중에 대오가 장사진으로 변한다. 가지런하여 고요한 속에서 위엄이 엎드린 호랑이 같다.
馬軍則一沖一突, 步卒是或後或前。
마군즉일충일돌 보졸시혹후호전
기마군은 한번씩 충돌하며 보졸은 혹은 뒤에 혹은 앞에 있다.  
休誇八陣成功, 說六韜取勝。
휴과팔진성공 만설육도취승
:말하지 않다, 休
六韜:주(周)나라의 태공망(太公望)이 지은 병법서. 문도(文韜)ㆍ무(武)도ㆍ용(龍)도ㆍ호(虎)도ㆍ표(豹)도ㆍ견(犬)도의 6권 60편
8진도가 성공했다고 자랑 말라. 6도로 승리를 취한다고 말하지 말라.
孔明施妙計, 李靖播神機。
공명시묘계 이정파신기
제갈공명이 오묘한 계책을 펼치며 이정은 신적인 기묘함을 전파한다.  
章見了五方五帝陣勢, 仰天歎曰:“天我也!今日中計。”
언장견료오방오제진세 앙천탄왈 천절아야 금일중계
왕언장은 5방5제 진의 기세를 보고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여 말했다. “하늘이 나를 끊어놓는구나! 오늘 계책에 맞았다.”
正欲前走, 忽聽得唐中軍催戰的響, 東南上郭威殺來, 正南上劉知遠殺來, 正西上石敬殺來, 正北上李嗣源殺來, 中央李存勖殺來。
정욕전주 홀청득당중군최전적포향 동남상곽언위쇄래 정남상유지원쇄래 정서상석경당쇄래 정북상이사원쇄래 중앙이존욱쇄래
바로 앞으로 달아나려는데 갑자기 당나라 중군의 전투를 재촉하는 포 소리가 나니 동남이는 곽언가 쇄도해 오고, 정남방은 유지원이 쇄도해 오고, 정서쪽은 석경당이 쇄도해 오고, 정북쪽은 이사원이 쇄도해 오고, 중앙은 이존욱이 쇄도해 왔다.
這五位皇帝, 俱各騎着五匹馬。
저오위황제 구각기착오필마
이 5명 황제는 모두 각자 5필의 말을 탄다.
一個是烏豕, 一個是赤猊, 一個是黃驃馬, 一個是棗駒, 一個是分驥。
일개시오해시 일개시적준예 일개시황표마 일개시조류구 일개시분종기
豕(돼지 시; -총7획; sh)
黃驃(표절따 표; -총21획; biao,piao)馬:夾有白色斑點的黃色馬
*棗馬是史詩《格薩爾》主人公的坐騎有譯“赤馬”或“千里駒”者統稱“天馬”或“神駒”。名副其實。
한 마리는 검은 돼지와 같고, 한 마리는 적색 사자와 같고, 한 마리는 황표마이며, 한 마리는 대추빛 적토마 조류구이며 한 마리는 갈기가 나뉜 천리마인 분종기이다.
各使着五般兵器。
각사착오반병기
使着 [sh//zhor]:수단을 부리다
각자 5종류 병기를 사용해 가지고 있었다.
一個是托天叉, 一個是倒馬, 一個是安漢刀, 一個是杆戟, 一個是金斧。
일개시탁천차 일개시도마삭 일개시안한도 일개시화간극 일개시금잠부
(바를 삭; -총13획; shuo)
金(담글 잠; -총23획; zhan)斧:兵器名,《水》中索超所使用的兵器
한 개는 하늘을 의탁하는 갈고리이며, 한 개는 말을 넘어뜨리는 도구이며 한 개는 안한도이며, 한 개는 막대에 그림그려진 극이며, 한 개는 금을 담근 도끼이다.
五位皇帝, 一齊來攻章, 章困在垓心, 自知獨力難戰, 當這五王的福分。
오위황제 일제래공언장 언장곤재해심 자지독력난전 즘당저오왕적복분
福分:복을 누리는 분수(分數)
5명황제는 일제히 왕언장을 공격하러 오니 왕언장은 포위된 중심에 있어서 스스로 혼자 힘으로 전투하기 어려움을 알고 어찌 이 5명의 복분을 감당하겠는가?
正是五條赤鬚龍, 群戰一個白額虎。
정시오조적수룡 군전일개백액호
바로 5마리 붉은 수염의 용이 떼로 한 백색 이마 호랑이와 싸움이다.
章力盡神疲, 仰天大叫一聲, 拔劍自刎。
언장력진신피 앙천대규일성 발검자문
神疲:정신(精神)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피로(疲勞)한 병증
왕언장은 힘이 다하고 피로하여 하늘을 우러러 크게 한 소리를 지르며 검을 뽑아 스스로 베었다.
欲知後事如何, 且看下回分解。
욕지후사여하 차간하회분해
훗날 일이 어떠할지 아래 43회 부분의 해설을 들어보자.
麗泉詩云:寶山前戰二秋, 章自刎大梁愁, 建唐妙算人難及, 先勝梁兵第一籌。
여천시운 계보산전전이추 언장자문대량수 건당묘산인난급 선승양병제일주
여천이 시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계보산에서 2년을 싸우니  왕언장이 스스로 목을 베어 대량이 근심이 있으니 사건당의 오묘한 계산은 타인이 이르기 어려우니 먼저 양나라 병사를 이키는 제일의 꾀가 있었다.
卓吾子評:王章屯兵寶山二年, 百戰百勝, 勇冠三軍, 爲强梁弼輔。
탁오자평 왕언장둔병계보산이년 백전백승 용관삼군 위강량보필
勇冠三 [yng guan sn jn]:1) 용맹함이 삼군의 으뜸이다 2) 대단히 용감하다
이탁오가 평가한다. 왕언장은 계보산에 2년간 주둔하여 100번 싸워 100번 이기니 용기가 3군에서 으뜸으로 강한 양나라를 위해 보필했다.
被史建唐以五皇兵將, 按據五方, 逼章, 自刎於狗家而死。
피사건당이오황병장 안거오방 간핍언장 자문어구가탄이사
사건당의 5명 황제가 된 장수에게 5방진을 근거하여 왕언장을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1.0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1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