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현대카드의 디자인 경영 시행 배경(SWOT) 및 계획수립(planning)
● 현대카드 SWOT분석
● 현대카드 마케팅 Plannig
(2) 현대카드 기업조직분석
(3) 현대카드 Leading 전략
ⅰ. 사내 직원 디자인 및 관리
ⅱ. CSR '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
ⅲ. 현대카드 사내 인테리어와 복지제도
(4) 현대카드 Controlling 전략
3. 결론 및 나의의견
참고문헌
2. 본론
(1) 현대카드의 디자인 경영 시행 배경(SWOT) 및 계획수립(planning)
● 현대카드 SWOT분석
● 현대카드 마케팅 Plannig
(2) 현대카드 기업조직분석
(3) 현대카드 Leading 전략
ⅰ. 사내 직원 디자인 및 관리
ⅱ. CSR '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
ⅲ. 현대카드 사내 인테리어와 복지제도
(4) 현대카드 Controlling 전략
3. 결론 및 나의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부터 벗어나 매번 획기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노리고 있다. 현대카드는 사회적인 기여활동까지 디자인 랩의 디자인 활동을 통해 현대카드만의 개성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다. 디자인 랩에서는 드림프로젝트라고 불리는 사회적 기여활동을 위한 디자인도 맡고 있다. 지원이 필요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장사가 잘 되는 가게 디자인을 선물하는 것이 그 활동이다. 이처럼 디자인 랩은 맡고 있는 디자인의 범위가 매우 넓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인 랩이 현대카드만의 디자인 경영이 가능하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은 분명한 사실이며, 조직도에 따로 명확하게 표기되지 않은 건 타 계열사의 디자인도 함께 도맡는 등 현대카드에만 국한되지 않은 디자인 활동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현대카드 사업부의 산하 조직으로만 볼 수 없기 때문이다.
(3) 현대카드 Leading 전략
지휘화는 종업원의 동기유발을 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현대카드 디자인 경영\'의 Leading에서는 회사 단위에서 종업원들로 하여금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좀 더 디자인과 가까워지도록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대개 사내 이벤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현대 경영의 이슈가 되고 있는 CSR부문에서도 \'디자인\'을 접목시켜 진행하여 종업원들로 하여금 회사 내의 \'디자인 경영\'이라는 모토를 몸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현대카드의 세련된 사내 인테리어와 복지제도는 종업원들의 복지를 책임짐으로써 종업원들의 업무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종업원들을 지휘하고 있다. 이 3가지의 Leading을 통해 종업원들 스스로가 자사의 \'디자인 경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게 하고, 직원들 개개인이 스스로 \'자기 관리\'를 하게 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을 하는 현대카드의 직원들 또한 세련된 디자인의 용모를 갖출 수 있게끔 하여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과 자연스럽게 직원들의 인식과 외양이 어우러지게끔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업원들로부터 자사의 \'디자인 경영\'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어내어 애사심을 높이고 있다.
ⅰ. 사내 직원 디자인 및 관리
\'현대 카드\'는 사내직원에게 패션, 디자인 등 자기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특강을 이벤트 형식으로 진행 하거나 신청한 몇몇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메이크업을 해주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디자인 경영\'을 \'직원\'에서 부터 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자기관리\'의 한 형태로 패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더 나아가 몸매 관리까지 직원들에게 장려하고 있으며, 직원들에게 의무가 아닌 \'재미\'를 더할 수 있도록 \'뱃살 요일법 운동법\', \'헤어 디자인 이벤트\' 등의 이벤트 형식으로 직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함께 뱃살 운동, 혹은 직접 헤어 디자이너가 당첨 사내직원의 헤어 디자인을 해주는 등의 방식으로 사내 직원들부터 \'디자인\'에 대한 감각을 익힐 수 있게끔 하고 있으며, 직원들 개개인이 \'디자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부여 시켜주고 있다.
ⅱ. CSR \'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
최근 기업 경영의 이슈가 된 CSR활동에서 또한 \'디자인\'과 관련된 활동을 직원들과 함께 진행함으로써 직원들로 하여금 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기업의 \'디자인 경영\'에 대해 자연스레 몸으로 익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현대카드의 CSR은 크게 4가지 테마를 가지고 이루어지는데 (1)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 (2)아동, 청소년에게 꿈과 희망을, (3)소상공인을 위한 고기 잡는 법 (4)남들과 다른 기부 및 헌혈. 이렇게 4가지로 이루어진다. 이 중 특히 (1)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은 \'현대카드의 디자인경영\'과 큰 관련이 있다. 이 CSR에서는 아동부터 노인까지 다양하게 진행하는데 연극이나 그림 그리기, 아트 등의 수단으로 봉사활동을 한다. 외부예술가들을 초청할 때도 있지만, 기업 내 직원들이 직접 활동하는 때도 많다. \'디자인 예술\'과 관련된 봉사활동을 하면서 \'디자인과 예술\'에 대한 직원들의 흥미도도 높아진다. 또한 \'디자인\'이라는 수단으로 사회공헌을 한다는 점에서 종업원들에게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만들고, 그로 인해 자사의 \'디자인 경영\'에 대한 자부심 또한 높아져 애사심과 현대카드종업원으로서의 긍지를 높일 수 있다. 또한 (3)소상공인을 위한 고기잡는 법 이라는 테마의 CSR 중에는 \'Dream Project\'라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는 소상공인들의 가게의 인테리어를 새 단장 해주는 프로젝트로, 실제로 전후 사진을 비교해봤을 때 감각적인 인테리어의 가게로 새탄생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디자인\'이라는 요소로 대기업에 치이는 소상공인들에게 사회공헌을 해주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현대카드 종업원\'으로서의 애사심과 자긍심을 높여준다.
ⅲ. 현대카드 사내 인테리어와 복지제도
\'현대카드 현대캐피탈\'의 사옥은 남다른 디자인과 종업원들의 복지를 위한 여러 서비스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사 사옥 한쪽에 위치한 사내 직원용 레스토랑 \'The Box\'는 밖으로 불쑥 튀어나와 유리벽으로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상자 같은 외관으로 상당히 감각적이며 신비로운 분위기 까지 느껴지게 하는데, 이 \'The Box\'공간은 현대카드의 브랜드 혹은 기업 디자인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종업원들의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 이 곳은 사내 직원들만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구내식당\'이지만, 외부 사람들의 눈길까지 사로잡는 사옥의 내외부 인테리어는 그 공간을 사용하는 종업원들로부터 자부심을 느끼게 해 주고 \'디자인 경영\'이라는 기업의 모토를 몸소 익히도록 만들며, 각인되도록 한다. 이곳은 마치 LEGO 처럼 공간 안에 사람도 디자인의 한 요소로 작용해 전체적으로 하나의 Tone & Manner가 완성되는 느낌이다. 무엇보다 하이라이트는 \'통곡의 벽\'이라고 불리는 벽면인데, 통곡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화면에는 매일매일 고객들이 상담센터를 통해 이야기하는 불만사항들이 고스란히 올라온다. 정제되지 않은 이야기들을 직원용 레스토랑에 끊임없이 노출하는 것은 고객의 존재를 잊기 쉬운 직원들에게 더욱 고객의 소리
(3) 현대카드 Leading 전략
지휘화는 종업원의 동기유발을 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현대카드 디자인 경영\'의 Leading에서는 회사 단위에서 종업원들로 하여금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좀 더 디자인과 가까워지도록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대개 사내 이벤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현대 경영의 이슈가 되고 있는 CSR부문에서도 \'디자인\'을 접목시켜 진행하여 종업원들로 하여금 회사 내의 \'디자인 경영\'이라는 모토를 몸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현대카드의 세련된 사내 인테리어와 복지제도는 종업원들의 복지를 책임짐으로써 종업원들의 업무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종업원들을 지휘하고 있다. 이 3가지의 Leading을 통해 종업원들 스스로가 자사의 \'디자인 경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게 하고, 직원들 개개인이 스스로 \'자기 관리\'를 하게 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을 하는 현대카드의 직원들 또한 세련된 디자인의 용모를 갖출 수 있게끔 하여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과 자연스럽게 직원들의 인식과 외양이 어우러지게끔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업원들로부터 자사의 \'디자인 경영\'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어내어 애사심을 높이고 있다.
ⅰ. 사내 직원 디자인 및 관리
\'현대 카드\'는 사내직원에게 패션, 디자인 등 자기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특강을 이벤트 형식으로 진행 하거나 신청한 몇몇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메이크업을 해주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디자인 경영\'을 \'직원\'에서 부터 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자기관리\'의 한 형태로 패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더 나아가 몸매 관리까지 직원들에게 장려하고 있으며, 직원들에게 의무가 아닌 \'재미\'를 더할 수 있도록 \'뱃살 요일법 운동법\', \'헤어 디자인 이벤트\' 등의 이벤트 형식으로 직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함께 뱃살 운동, 혹은 직접 헤어 디자이너가 당첨 사내직원의 헤어 디자인을 해주는 등의 방식으로 사내 직원들부터 \'디자인\'에 대한 감각을 익힐 수 있게끔 하고 있으며, 직원들 개개인이 \'디자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부여 시켜주고 있다.
ⅱ. CSR \'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
최근 기업 경영의 이슈가 된 CSR활동에서 또한 \'디자인\'과 관련된 활동을 직원들과 함께 진행함으로써 직원들로 하여금 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기업의 \'디자인 경영\'에 대해 자연스레 몸으로 익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현대카드의 CSR은 크게 4가지 테마를 가지고 이루어지는데 (1)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 (2)아동, 청소년에게 꿈과 희망을, (3)소상공인을 위한 고기 잡는 법 (4)남들과 다른 기부 및 헌혈. 이렇게 4가지로 이루어진다. 이 중 특히 (1)예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세상은 \'현대카드의 디자인경영\'과 큰 관련이 있다. 이 CSR에서는 아동부터 노인까지 다양하게 진행하는데 연극이나 그림 그리기, 아트 등의 수단으로 봉사활동을 한다. 외부예술가들을 초청할 때도 있지만, 기업 내 직원들이 직접 활동하는 때도 많다. \'디자인 예술\'과 관련된 봉사활동을 하면서 \'디자인과 예술\'에 대한 직원들의 흥미도도 높아진다. 또한 \'디자인\'이라는 수단으로 사회공헌을 한다는 점에서 종업원들에게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만들고, 그로 인해 자사의 \'디자인 경영\'에 대한 자부심 또한 높아져 애사심과 현대카드종업원으로서의 긍지를 높일 수 있다. 또한 (3)소상공인을 위한 고기잡는 법 이라는 테마의 CSR 중에는 \'Dream Project\'라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는 소상공인들의 가게의 인테리어를 새 단장 해주는 프로젝트로, 실제로 전후 사진을 비교해봤을 때 감각적인 인테리어의 가게로 새탄생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디자인\'이라는 요소로 대기업에 치이는 소상공인들에게 사회공헌을 해주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현대카드 종업원\'으로서의 애사심과 자긍심을 높여준다.
ⅲ. 현대카드 사내 인테리어와 복지제도
\'현대카드 현대캐피탈\'의 사옥은 남다른 디자인과 종업원들의 복지를 위한 여러 서비스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사 사옥 한쪽에 위치한 사내 직원용 레스토랑 \'The Box\'는 밖으로 불쑥 튀어나와 유리벽으로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상자 같은 외관으로 상당히 감각적이며 신비로운 분위기 까지 느껴지게 하는데, 이 \'The Box\'공간은 현대카드의 브랜드 혹은 기업 디자인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종업원들의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 이 곳은 사내 직원들만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구내식당\'이지만, 외부 사람들의 눈길까지 사로잡는 사옥의 내외부 인테리어는 그 공간을 사용하는 종업원들로부터 자부심을 느끼게 해 주고 \'디자인 경영\'이라는 기업의 모토를 몸소 익히도록 만들며, 각인되도록 한다. 이곳은 마치 LEGO 처럼 공간 안에 사람도 디자인의 한 요소로 작용해 전체적으로 하나의 Tone & Manner가 완성되는 느낌이다. 무엇보다 하이라이트는 \'통곡의 벽\'이라고 불리는 벽면인데, 통곡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화면에는 매일매일 고객들이 상담센터를 통해 이야기하는 불만사항들이 고스란히 올라온다. 정제되지 않은 이야기들을 직원용 레스토랑에 끊임없이 노출하는 것은 고객의 존재를 잊기 쉬운 직원들에게 더욱 고객의 소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