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 한국 맥주 시장 현황 및 분석
2. OB맥주 연혁 및 소개
3. 하이트맥주 vs OB맥주 비교
4. 국내 시장과 OB맥주의 한계
5. 연구 일정
2. OB맥주 연혁 및 소개
3. 하이트맥주 vs OB맥주 비교
4. 국내 시장과 OB맥주의 한계
5. 연구 일정
본문내용
『주간조선』, 2013. 3. 11 , (2013. 3. 23)
”
해외 맥주 시장
오비맥주는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프리미엄 맥주시장에도 발빠른 대처를 하고 있다. 버드와이저, 호가든 벡스,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등 유명 수입맥주를 판매하고 있다. 수입맥주 전문점에서 발표한 맥주 판매 순위에서 오비맥주가 판매하고 있는 맥주 중 상위 5위안에 드는 것은 4가지 상품. 국내에서 수입 맥주의 비중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오비맥주의 미래 또한 밝아 보인다. 그에 비해 하이트맥주는 기린맥주를 독점 수입 판매 계약을 맺어 대응하고 있으나 실효가 적은 편이다.
4) 마케팅 전략
오비맥주는 1999년 12월 진로의 카스맥주 부문을 인수하면서 기존의 주력 제품이던 ‘오비’ 대신 ‘카스’를 주력 브랜드로 키우기로 결정했다. 낡은 브랜드 대신 젊은 브랜드로 맥주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카스의 홍보 컨셉을 ‘젊음’으로 잡았다. 20대의 삶을 담아내는 광고 영상으로 고민, 꿈, 사랑 등에 대한 메시지를 담아내어 20대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 젊음을 대변하는 톱스타들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면서 많은 20대들에게 호응을 얻었다. 최근 파티 마케팅, 월드 스노보드 데이 공식 후원, 팬타포트 락 페스티벌, 서울패션위크 등을 후원하며 카스의 젊은 이미지를 정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비맥주/카스로 맥주시장 No.1 ‘노크’」, 『파이낸셜 뉴스』, 2011. 4. 28, (2013, 3, 23)
카스의 고객 브랜드 선호도는 2008년 36.9%로 경쟁 브랜드를 처음 앞선 뒤 선호도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려 2010년 12월에는 41.8%에 이르게 되었다.
하이트맥주는 꾸준하게 20대를 타켓팅한 카스와는 다르게 20, 30대를 대상으로 젊음 보다는 깨끗함, 솔직함 등의 이미지를 가져가려고 노력했다. 하이트 맥주를 떠올렸을 때 천연암반수라는 깨끗한 이미지가 떠오르는 이유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깨끗한 물로 만든 맥주 라는 이미지 고착되면서 '하이트' 브랜드의 적절한 재활성화가 이뤄지지 못하였다. 결국 브랜드 이미지가 노쇠화 되면서 하이트맥주 점유율의 하락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4. 국내 시장과 OB맥주의 한계
1) 맥주의 맛이 떨어진다는 지적
- 영국 잡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맥주 맛을 “북한의 대동강 맥주보다 맛없다.”고 평가
-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과 오비맥주 및 하이트 진로의 독과점 체제로 인해 맥주 맛의 발전이 없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 한국의 주세법에 있는 낮은 맥아 비율 제한과 베일에 가려져 있는 성분비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신이 크다.
2) OB에는 세계적인 맥주가 없다.
- 중국은 칭따오, 일본은 아사히, 삿포로 등 주변국만 둘러봐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맥주들이 존재하지만 우리나라는 유독 세계적으로 인지도 있는 맥주가 없다.
- 우리나라의 외국인 관광객 수가 천만 명 시대임을 감안할 때, 한국의 세계적인 맥주는 관광사업과 함께 윈-윈 효과를 거둘 것이다.
3) 국내맥주시장 1위인 OB를 위협하고 있는 수입맥주
- 소비자들이 세계 각국의 다양한 맥주 맛에 눈을 떴다.
- 대형마트들은 소비자들의 취향변화에 발맞춰 맥주 진열대 상당부분을 수입맥주에 할애하였다.
- 최근 수입맥주의 성적표 향상속도가 눈에 띄게 빠르다.
(지난해 11월 말 매출기준 수입맥주는 전년대비 45.7%의 놀라운 신장세를 보였다. 매장내 수입맥주 구성비 역시 25.1%로 전년대비 7.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5. 연구일정
날짜
활동
비고
3월 셋째 주
주제 선정 및 기획
OB맥주 선정
넷째 주
자료 조사 및 분석
국내 맥주 시장 조사
다섯째 주
중간 보고서 작성 및 발표
4월 첫째 주
인터뷰이 선정 및 컨택
하이트, OB 모두 접촉
둘째 주
중간고사기간
셋째 주
질문지 작성
넷째 주
질문지 검토 후 인터뷰 실시
5월 첫째 주
인터뷰 내용 정리
둘째 주
보고서 작성 및 1차 검토
셋째 주
대안 제시 및 결론 논의
넷째 주
2차 검토
다섯째 주
보고서 최종 검토
6월
최종 보고서 제출
”
해외 맥주 시장
오비맥주는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프리미엄 맥주시장에도 발빠른 대처를 하고 있다. 버드와이저, 호가든 벡스,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등 유명 수입맥주를 판매하고 있다. 수입맥주 전문점에서 발표한 맥주 판매 순위에서 오비맥주가 판매하고 있는 맥주 중 상위 5위안에 드는 것은 4가지 상품. 국내에서 수입 맥주의 비중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오비맥주의 미래 또한 밝아 보인다. 그에 비해 하이트맥주는 기린맥주를 독점 수입 판매 계약을 맺어 대응하고 있으나 실효가 적은 편이다.
4) 마케팅 전략
오비맥주는 1999년 12월 진로의 카스맥주 부문을 인수하면서 기존의 주력 제품이던 ‘오비’ 대신 ‘카스’를 주력 브랜드로 키우기로 결정했다. 낡은 브랜드 대신 젊은 브랜드로 맥주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카스의 홍보 컨셉을 ‘젊음’으로 잡았다. 20대의 삶을 담아내는 광고 영상으로 고민, 꿈, 사랑 등에 대한 메시지를 담아내어 20대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 젊음을 대변하는 톱스타들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면서 많은 20대들에게 호응을 얻었다. 최근 파티 마케팅, 월드 스노보드 데이 공식 후원, 팬타포트 락 페스티벌, 서울패션위크 등을 후원하며 카스의 젊은 이미지를 정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비맥주/카스로 맥주시장 No.1 ‘노크’」, 『파이낸셜 뉴스』, 2011. 4. 28
카스의 고객 브랜드 선호도는 2008년 36.9%로 경쟁 브랜드를 처음 앞선 뒤 선호도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려 2010년 12월에는 41.8%에 이르게 되었다.
하이트맥주는 꾸준하게 20대를 타켓팅한 카스와는 다르게 20, 30대를 대상으로 젊음 보다는 깨끗함, 솔직함 등의 이미지를 가져가려고 노력했다. 하이트 맥주를 떠올렸을 때 천연암반수라는 깨끗한 이미지가 떠오르는 이유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깨끗한 물로 만든 맥주 라는 이미지 고착되면서 '하이트' 브랜드의 적절한 재활성화가 이뤄지지 못하였다. 결국 브랜드 이미지가 노쇠화 되면서 하이트맥주 점유율의 하락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4. 국내 시장과 OB맥주의 한계
1) 맥주의 맛이 떨어진다는 지적
- 영국 잡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맥주 맛을 “북한의 대동강 맥주보다 맛없다.”고 평가
-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과 오비맥주 및 하이트 진로의 독과점 체제로 인해 맥주 맛의 발전이 없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 한국의 주세법에 있는 낮은 맥아 비율 제한과 베일에 가려져 있는 성분비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신이 크다.
2) OB에는 세계적인 맥주가 없다.
- 중국은 칭따오, 일본은 아사히, 삿포로 등 주변국만 둘러봐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맥주들이 존재하지만 우리나라는 유독 세계적으로 인지도 있는 맥주가 없다.
- 우리나라의 외국인 관광객 수가 천만 명 시대임을 감안할 때, 한국의 세계적인 맥주는 관광사업과 함께 윈-윈 효과를 거둘 것이다.
3) 국내맥주시장 1위인 OB를 위협하고 있는 수입맥주
- 소비자들이 세계 각국의 다양한 맥주 맛에 눈을 떴다.
- 대형마트들은 소비자들의 취향변화에 발맞춰 맥주 진열대 상당부분을 수입맥주에 할애하였다.
- 최근 수입맥주의 성적표 향상속도가 눈에 띄게 빠르다.
(지난해 11월 말 매출기준 수입맥주는 전년대비 45.7%의 놀라운 신장세를 보였다. 매장내 수입맥주 구성비 역시 25.1%로 전년대비 7.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5. 연구일정
날짜
활동
비고
3월 셋째 주
주제 선정 및 기획
OB맥주 선정
넷째 주
자료 조사 및 분석
국내 맥주 시장 조사
다섯째 주
중간 보고서 작성 및 발표
4월 첫째 주
인터뷰이 선정 및 컨택
하이트, OB 모두 접촉
둘째 주
중간고사기간
셋째 주
질문지 작성
넷째 주
질문지 검토 후 인터뷰 실시
5월 첫째 주
인터뷰 내용 정리
둘째 주
보고서 작성 및 1차 검토
셋째 주
대안 제시 및 결론 논의
넷째 주
2차 검토
다섯째 주
보고서 최종 검토
6월
최종 보고서 제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