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간공학 실험 - Noise level 측정
1.실험 목적
2.이론적 배경
3.실험 설계
4.실험 설계
.
5.실험결과 및 분석
1.실험 목적
2.이론적 배경
3.실험 설계
4.실험 설계
.
5.실험결과 및 분석
본문내용
3.1
39.6
62.1
72.5
53.6
71.7
75.4
72
2회
48.3
38.2
55.8
74.6
52.7
71.3
76.1
73.5
3회
46.5
44.3
74.8
77.2
63.7
70.5
77.1
72.8
4회
42.3
54.1
51.7
79.1
53
80.4
74.1
72.7
5회
53.2
52
54.4
73.7
55.1
70.8
74.4
76.7
6회
44.9
50.3
60.1
71.5
56.8
67.8
74.7
74.5
7회
58.7
46.7
63.2
73.5
55.1
65.8
75
73.4
8회
58.2
56.4
55.4
76.1
53.7
67.4
75.9
74.6
9회
43.8
41.7
50.4
82
55.2
69
76.6
75.8
10회
39.1
42.8
51
74.4
53.7
71.3
73.4
73.8
평균
47.81
46.61
57.89
75.46
55.26
70.6
75.27
73.98
편차
6.753673897
6.310916
7.463906
3.209431
3.048671842
3.767758
1.106390528
1.3753545
학사지역11-12(PM)
장소
우체국3층
2층
1층
매점
학식 옆
학식 앞
카페베네
학식우측
1회
38.2
39.3
43.5
83
45.2
44.3
39.2
38.2
2회
39.3
38.7
50.2
73.5
46.3
46.8
40.2
39.8
3회
42.1
39.3
44.3
76.6
45.8
86.3
38.7
40.5
4회
38.2
40.2
45.2
73.3
46.3
42.3
36.5
41.3
5회
39.3
41.1
55.7
75.4
55.7
45.5
36.8
39.8
6회
52.3
40.7
50.1
75.2
44.7
45.8
37.6
39.1
7회
40.1
37.3
43.5
72.3
45.8
46.9
35.6
40.8
8회
41.1
38.1
46.3
73.5
56.2
73.1
36.8
36.8
9회
39.8
38.3
63.8
78.8
62.3
47.2
62.2
37.9
10회
39.1
40.2
47
72.3
45.8
45.2
36.3
39.2
평균
40.95
39.32
48.96
75.39
49.41
52.34
39.99
39.34
편차
4.166066623
1.229995
6.453974
3.360704
5.917507921
14.06038
7.528273374
1.328307193
학사지역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지나다니면서 소음을 발생시켜 시간, 장소에 따른 소음의 정도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우선 학생들이 별로 다니지 않는 밤이 저녁보다 소음이 적게 측정되었고 특히 학생 식당에서 저녁을 먹거나 카페를 이용하는 학생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경동 주변에서의 소음 측정 결과와 학사 지역에서의 소음 측정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산경동 주변에서는 비교적 데이터간의 분산이 낮으나, 학사지역에서 측정한 데이터들은 그에 비해 현저히 큰 분산을 가졌다. 이는 학사지역에서의 소음원이 일정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39.6
62.1
72.5
53.6
71.7
75.4
72
2회
48.3
38.2
55.8
74.6
52.7
71.3
76.1
73.5
3회
46.5
44.3
74.8
77.2
63.7
70.5
77.1
72.8
4회
42.3
54.1
51.7
79.1
53
80.4
74.1
72.7
5회
53.2
52
54.4
73.7
55.1
70.8
74.4
76.7
6회
44.9
50.3
60.1
71.5
56.8
67.8
74.7
74.5
7회
58.7
46.7
63.2
73.5
55.1
65.8
75
73.4
8회
58.2
56.4
55.4
76.1
53.7
67.4
75.9
74.6
9회
43.8
41.7
50.4
82
55.2
69
76.6
75.8
10회
39.1
42.8
51
74.4
53.7
71.3
73.4
73.8
평균
47.81
46.61
57.89
75.46
55.26
70.6
75.27
73.98
편차
6.753673897
6.310916
7.463906
3.209431
3.048671842
3.767758
1.106390528
1.3753545
학사지역11-12(PM)
장소
우체국3층
2층
1층
매점
학식 옆
학식 앞
카페베네
학식우측
1회
38.2
39.3
43.5
83
45.2
44.3
39.2
38.2
2회
39.3
38.7
50.2
73.5
46.3
46.8
40.2
39.8
3회
42.1
39.3
44.3
76.6
45.8
86.3
38.7
40.5
4회
38.2
40.2
45.2
73.3
46.3
42.3
36.5
41.3
5회
39.3
41.1
55.7
75.4
55.7
45.5
36.8
39.8
6회
52.3
40.7
50.1
75.2
44.7
45.8
37.6
39.1
7회
40.1
37.3
43.5
72.3
45.8
46.9
35.6
40.8
8회
41.1
38.1
46.3
73.5
56.2
73.1
36.8
36.8
9회
39.8
38.3
63.8
78.8
62.3
47.2
62.2
37.9
10회
39.1
40.2
47
72.3
45.8
45.2
36.3
39.2
평균
40.95
39.32
48.96
75.39
49.41
52.34
39.99
39.34
편차
4.166066623
1.229995
6.453974
3.360704
5.917507921
14.06038
7.528273374
1.328307193
학사지역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지나다니면서 소음을 발생시켜 시간, 장소에 따른 소음의 정도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우선 학생들이 별로 다니지 않는 밤이 저녁보다 소음이 적게 측정되었고 특히 학생 식당에서 저녁을 먹거나 카페를 이용하는 학생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경동 주변에서의 소음 측정 결과와 학사 지역에서의 소음 측정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산경동 주변에서는 비교적 데이터간의 분산이 낮으나, 학사지역에서 측정한 데이터들은 그에 비해 현저히 큰 분산을 가졌다. 이는 학사지역에서의 소음원이 일정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산업공학실험 선택반응시간실험
[ 화공 실험 ] Vacuum deposition의 이해와 증착속도에 따른 압력 변화 측정/진공 증착/결과 ...
[기계공학] 관마찰저항 측정실험
< Display 공학> TFT-LCD 실험, Color Filter의 제조 및 투과도 측정의 심층적분석
[OLED Display 공학] AMOLED실험, 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하여 OLED재료의 HOMO와 LUMO 측정
재료공학 기초실험 - 면저항 측정 실험
기계공학 - 온도측정 실험
기계공학 실험 - 외팔보의 고유진동수 측정
화학공학실험 - 탱크의 액위 실험
인간의 행동과 의식 레포트 1차 자율신경계통의 흥분정도 측정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스트레인 게이지 응용 실험
[인간공학human engineering] 감성공학 자동차 보고서 - 감성공학의 개념 및 기술계통도, 자...
인간 행동과 의식 - 자율신경계통의 흥분 정도 측정 실험
기계공학응용실험 - 스트레인 게이지 실험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