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SK 변∙복조기
3. 실험목적
4. 실험관련이론
(1) FSK(Frequency Shift Keying)
5. 실험기자재 및 부품
6. 실험과정 및 방법
(7) 결과 보고서
3. 실험목적
4. 실험관련이론
(1) FSK(Frequency Shift Keying)
5. 실험기자재 및 부품
6. 실험과정 및 방법
(7) 결과 보고서
본문내용
(information signal)를 0과 1에 대응하여 각각 반송신호(carrier signal)의 진폭을 변화(shift)시키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서.. 정보신호가 0일 경우에 반송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고, 1은 진폭을 크게 하여 전송한다. 2개의 진폭을 사용하면 1비트를 전송할수 있으나, 4개의 다른 진폭을 사용하면 2비트를 동시에 전송할수 있다. 이 변조의 특징은 1200bps 이하의 저속(low speed), 비동기(asynchronous)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고, 전송로 상에서 잡음(noise)이나 레벨변동에 약하므로 변조기술에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복합 변조기술을 이용하는 진폭 위상 변조(QAM)에만 사용된다. 그리고 반송파의 on과 off로 디지털 신호를 쉽게 변조할 수 있어 저가로 회로구현이 가능하며, 전송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SK(Phase Shift Keying) : 위상 편이 변조
전송될 데이터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이 변한다. 위상의 변화량은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며 전송할 데이터가 0일경우에는 반송파의 위상을 180도 변화시키고, 1일경우 90도변화시켜 정보를 비트 단위로 하나씩 전송한다. 위상 변이 변조는 절대 위상편이 변조 APSK(Absolute PSK)와 상대 위상편이 변조 DPSK(Differential PSK)두가지 기술이 있다. 절대 위상편이 변조는 기술적으로 실현 타당성이 없기 때문에 오늘날 모뎀에 적용되는 위상 편이 변조 기술은 보통 DPSK이다. 이 변조 기술은 1200, 2400 및 4800bps의 동기모뎀에 주로 사용된다.
PSK(Phase Shift Keying) : 위상 편이 변조
전송될 데이터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이 변한다. 위상의 변화량은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며 전송할 데이터가 0일경우에는 반송파의 위상을 180도 변화시키고, 1일경우 90도변화시켜 정보를 비트 단위로 하나씩 전송한다. 위상 변이 변조는 절대 위상편이 변조 APSK(Absolute PSK)와 상대 위상편이 변조 DPSK(Differential PSK)두가지 기술이 있다. 절대 위상편이 변조는 기술적으로 실현 타당성이 없기 때문에 오늘날 모뎀에 적용되는 위상 편이 변조 기술은 보통 DPSK이다. 이 변조 기술은 1200, 2400 및 4800bps의 동기모뎀에 주로 사용된다.
추천자료
산업공학실험 선택반응시간실험
FSK 실험보고서 (통신실험)
[직업][직업분석][직종][유망직업]직업 분석(전기공학기술자, 전자 및 통신공학기술자, 프로...
정보통신전자공학부 2학년 논리회로실험
[전자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NEXT 통신시스템 프로그램] 디지털회로 실험 <교안>
통신공학 실험 - 주파수 혼합기
[통신공학 실험] FM 변조(Frequency Modulation) 및 복조(Frequency Demodulation)
[통신공학 실험]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LM 565/ LM 565C
[통신공학 실험] 시분할 다중화방식(TDM) : 시간분할 다중화와 DEMUX의 동작을 이해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