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균형과 응용 - 시장의 균형, 비교정태 분석, 응용(암표가격 결정, 슈퍼스타 현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장 균형과 응용 - 시장의 균형, 비교정태 분석, 응용(암표가격 결정, 슈퍼스타 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장의 균형
2. 비교정태 분석(comparative statics)
3. 응용
 1) 암표가격 결정
  (1) 공급곡선의 모양
  (2) 관중의 기대와 암표장사의 판매 전략
 2) 슈퍼스타 현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균형과 새로운 균형을 비교함으로써 변화를 준 변수와 변화를 받은 변수와의 관계를 밝히는 분석 방법을 비교정태 분석이라고 부른다.
1999년 12월 중순부터 전자제품에 대한 특별소비세율이 낮아짐으로써 그 이후 가전회사의 수입이 증가하였다. 이 사실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특소세 하락전의 상태를 수급이 일치하는 균형상태라고 가정한다. 그 후 특소세하락이 공급곡선을 바깥쪽으로 이동시켰고 새로운 균형점이 나타났다. 특소세 인하 전의 가격거래량과 인하 후의 가격균형량을 비교하는 것이 비교정태 분석이다. 인하 전에 비해 가격은 하락하였고 거래량은 증가하였으며 수입이 증가한 것을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다.
<그림 2>에 농구공의 시장균형상태를 그려 놓았다. 농구공이 필수재가 아니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곡선이 가파른 기울기를 가지고 있지 않게 그렸다. 가격은 OP0에서 거래량은 OQ0에서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정부에서 농구공에 대한 세금을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낮춘다고 발표하였다. 기업의 입장에선 생산비용이 하락한 것이고 결국 농구공의 생산량은 증가하여 공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곡선이 바깥으로 이동하여( S\'S\') 균형가격은 OP1으로 하락하였고 거래량은 OQ1으로 증가하였다. 또 수입도 인하 전에 직사각형 OP0EQ0이였으나 인하 후에는 직사각형 OP1E\'Q1으로 증가하였다. 가격이 내렸음에도 수입이 증가한 것은 가격이 하락으로 인한 손해보다 판매량 증가에 따른 수입증가가 더 크기 때문이다. 즉 농구공에 대한 수요가 탄력적이기 때문이다.
그래프를 이용한 비교정태 분석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요공급곡선의 형태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두 곡선의 탄력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림 2> 비교정태 분석의 예
3. 응용
1) 암표가격 결정
운동장 주변에는 암표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와 천정부지로 암표 값이 오르는 이유 및 그것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원리를 찾아보기로 하자? 암표상을 처벌한다면 그 근거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
(1) 공급곡선의 모양
일반적으로 공급곡선은 우상향 하는 형태를 취한다. 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재고를 방출한다던가 가동률을 늘여 공급량을 늘이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포츠 경기의 공급곡선은 경기장규모라는 물리적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에 <그림 3>에서 보듯이 ‘┘’자 형 태를 취하고 있다. 운동장 만석까지는 아무리 수요가 증가하여도 관람료 5,000원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으나 그 이상은 더 이상 공급이 불가능하게 되어 가격만 수직으로 상승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림 3>에 ┘자모양의 경기장 공급곡선이 두 개 그려져 있다. 하나는 평소의 공급곡선(P0S)이고 다른 하나는 챔피언 결정전 때의 공급곡선(P1S)이다. 평상시 경기의 수요는 최대수용규모(만석)보다 적은 수준(이를 테면 D0)이여서 P0(예를 들어 5,000원)에 아무 문제 없이 거래되고 있다. 암표가 발붙일 곳이 없다. 그러나 챔피언 결정전이 되면 수요는 크게 증가한다. 주최 측에서는 처음부터 입장료를 P0보다 높은 P1으로 평소보다 높게 책정한다.
이렇게 수요가 피크를 이룰 때 높은 가격을 책정하는 가격 설정은 재화나 서비스가 가장 집약적으로 사용되는 기간에 가장 높은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인 최대부하가격(peak -load pricing)과 비슷하다. 그러나 스포츠 시장에서 볼 수 있는 고가격책정은 이윤극대화를 위한 전략으로 쓰이는 반면 최대부하가격은 수요를 분산시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챔피언 결정전의 경우 수요곡선은 D1에서 D2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이것은 수요곡선의 우측이동으로 나타난다. 수용인원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관객 수는 한정되어 있으나 균형 가격은 관람료 보다 훨씬 높은 가격인 P2에서 결정된다. 아침 일찍 경기장에 와 표를 구한 사람은 참피언전 관람료(P1)로 입장할 수 있지만 늦은 사람은 P2 값으로 암표를 구입하여야 한다. 챔피언 결정전이 치열하면 할수록 수요곡선은 더 바깥 쪽으로 이동할 것이고 암표상자들은 더 살 판 난 세상이 될 것이다.
<그림 3> 운동장의 공급곡선
(2) 관중의 기대와 암표장사의 판매 전략
스포츠 경기 암표가격이 비싼 것은 시간경과에 따른 희소성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는 입장권에 대한 수요는 생선이나 채소와 같은 생물(生物)에 대한 수요와 유사하다.
이 말을 역으로 하면 그 시간이 지나면 무용지물이 된다는 말과 일치한다. 이 사실을 알고 있는 관중은 암표장사를 계속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1.29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