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춘추전국시대란 무엇인가
2.춘추전국시대의 경제발전
- 농업
-상업
-수공업
3.전제군주의 형성과 제민지배-관료제
-군현제
4.변법
5.춘추전국시대의 사상
[3]결론
[2]본론
1.춘추전국시대란 무엇인가
2.춘추전국시대의 경제발전
- 농업
-상업
-수공업
3.전제군주의 형성과 제민지배-관료제
-군현제
4.변법
5.춘추전국시대의 사상
[3]결론
본문내용
무아(無我)의 경지를 자기 자신에게 실현시켜 천지와 일체가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장자는 노자의 도(道)를 보다 구체적이고 서술적으로 드러내었으며, 제도나 가치의 인위·한계성을 통찰하여 만물의 상대성·보편성·평등성을 파악하고, 그리하여 자연귀일(自然歸一), 즉 만물제일(萬物齊一)의 제물론(齊物論)을 주장한 사상가로 정리될 수 있겠다. 그리고 그의 안심입명(安心立命) 논리는 후대의 청담사상·은둔사상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5)법가(法家)
1. 한비자(韓非子) 이전의 법가(法家)사상
중국 역사상 \'법(法)\'은 춘추시대까지만 해도 예(禮)를 보완하는 것으로서 기능하여, 양자 사이에 커다란 대립은 없었다. 그러나 전국시대의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면서 법은 예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다. 법가들은 대체로 실제적인 정치가로서 내외 정세를 법에 의한 정치로 대처하고자 하는 시도를 했던 인물들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기본토대는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이었다. 제(齊) 환공(桓公)을 도와 패업을 이룬 관중(管仲)이나, \'형서(刑書)\'를 만듦으로써 실정법을 공포한 정(鄭)의 자산(子産) 등에서부터, \'법치(法治)\'를 내세워 위(魏)에서 변법을 시행한 것으로 유명한 이회(李 ), 신료들을 통제·제어하는 \'술(術)\'을 강조한 한(韓)의 신불해(申不害), 그리고 신하가 군주에 복종하는 것은 군주의 세력이지 결코 그의 덕행이나 재능때문이 아니라고 하여 \'세(勢)\'를 강조한 신도(愼到), 그리고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2차 걸친 강력한 개혁을 단행하여 이후 진(秦)의 통일기반을 제공한 상앙(商 ) 역시 법가(法家)로 유명한 인물들이었다.
2.한비자(韓非子)의 사상
위의 여러 법가사상을 총망라하고 집대성한 이로서, 우리는 한비자(韓非子)를 들 수 있다. 전국시대 말기는 한창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한 시기였고, 그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부국강병, 그리고 전쟁에 의한 합병이 중시되던 시기였다. 이런 때, 한비자는 기존의 여러 법가사상들, 즉 술(術)·세(勢)와 법(法)을 통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배를 추구하였다. 법(法)과 술(術)·세(勢)를 통합했다는 것은 법치(法治)의 운영방법으로서 술치(術治)와 세치(勢治)를 병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민(民)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법(法)이 필요하고, 관리를 부리기 위해서는 술(術)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법(法)과 술(術), 그리고 세(勢)는 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이라는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법치(法治)의 기본은 철저하고 엄격한 상벌(賞罰)을 통해 \'사적인 것을 배척하고 공적인 것을 이롭게[排私利公]\'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한비자가 집대성한 법가사상은 이후 진시황(秦始皇)과 이사(李斯)에 의해 실현되어, 진(秦)이 춘추전국시대의 분열상황을 극복하고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는 기틀이 되었다.
6)묵가(墨家)
묵자(墨子)의 사상
묵가(墨家)를 제창한 묵자(墨子)는 일찍이 유가의 학설을 배웠으나, 유가의 형식주의와 불평등성에 반대하여 묵가를 세웠다. 예컨대 공자는 어리석은 군주라도 신하가 잘 보필하면 정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반면, 묵자는 왕위세습을 반대하고 훌륭한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묵가에서는 또한 유가에서 중시하는 예의와 음악을 허례허식의 낭비로 배척하고, 부모의 삼년상 역시 같은 이유로 비난하였다. 그리고 유가의 가족제도 및 인간상호간의 특수한 관계를 중시한 차등적인 사랑[仁]에 반대하여, 인간이 자신을 사랑하듯 다른 사람을 평등애[兼愛]로 사랑할 때 사회의 평화가 온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유가가내세관을 부정한 데 반해, 묵자는 귀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귀신을 모시는 제사가 현세에 축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었다.묵자는 또한 생산활동과 함께 절약[節用]을 강조하면서 정치의 임무를 역설하였는데, 국가부강·인구증가·정치의 공정함을 강조하고, \'백성의 굶주림, 추위에 입을 것이 없는 것, 일하는 자가 쉴 곳이 없는 것\'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묵가의 사상에는 권위주의적 경향이 강하여, 추종자에게 절대 복종을 요구하고 엄격한
훈련을 통해 교단을 강화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절대적인 겸애설과 공리주의, 지나친 금욕주의 등으로 점차 신망을 잃게 되어 차츰 그 힘을 잃어갔다. 결국 현실주의적이며 중용주의적인 중국인들의 성격이 비현실적인 묵가의 사상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유가의 차등애(差等愛)쪽을 선택한 것이다.
.
3. 결론
정치적으로는 군현제를 통한 영역의 직접 지배로 변화해 읍제국가의 붕괴와 영토국가가 출현했다 전국시대 때 7개의 나라로 정리되었고 전국칠웅 이라불렸다 정치적로는 끝없는 상쟁과 하극상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변화는 사람들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에도 많은 영향을주었다
사회적으로는 춘추 중구를 전후해 강대국은 소국을 멸망시킨 후 현을 설치해 직접지배하는 새로운방식전환을 시도함에따라 조상신과 혈연을 매개로한 씨족적질서는 철저히 파괴됨 전국시대가 됨에 따라 종실을 중심으로 분권적 봉건질서가 해체되었다
사회변화를 기초로 등장한 문화 창조의 주역인 사인층이 본격적으로 대두되어 사상적 신경향인 제자백가 사상을 꽃피워, 간부(官府)나 귀족이 독점하고 있던 학문과 지식이 일반 서민들에게까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사상의 자유와 지식의 확대로 인해, 자신의 능력에 따라 습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신분상승을 실현코자 하는 강력한 사회적 욕구가 분출될 수 있었다. 개별국가들이 생존하기위한 일환으로 등장한 사상적신경향인 제자백가가 등으로 문화적인 면에서 가장큰창조력이 발휘되었다
다양한 사상의 출현은 과학기술에도 영향을 미쳐 천문 물리 의학등 많은 분야에서 진보를 이루는 토대가 되었다.
<참고 자료>
1.「신역 제자백가」, 김영주·안길환, 명문당, 1999. pp 9~23.
2.「중국사 통론」, Jacpues Gernet 저·이동윤 역, 법문사.
3. 「신 이야기 중국사1」, 강영수 , 좋은글 2001.
4. 「중국 사상사」, 동경재중국철학연구실, 동녘 1992.
5.「재미있는 제자백가 이야기」, 서현봉 , 박우사, 1994.
6.「중국 철학이야기」, 이영재 , 박우사.
5)법가(法家)
1. 한비자(韓非子) 이전의 법가(法家)사상
중국 역사상 \'법(法)\'은 춘추시대까지만 해도 예(禮)를 보완하는 것으로서 기능하여, 양자 사이에 커다란 대립은 없었다. 그러나 전국시대의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면서 법은 예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다. 법가들은 대체로 실제적인 정치가로서 내외 정세를 법에 의한 정치로 대처하고자 하는 시도를 했던 인물들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기본토대는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이었다. 제(齊) 환공(桓公)을 도와 패업을 이룬 관중(管仲)이나, \'형서(刑書)\'를 만듦으로써 실정법을 공포한 정(鄭)의 자산(子産) 등에서부터, \'법치(法治)\'를 내세워 위(魏)에서 변법을 시행한 것으로 유명한 이회(李 ), 신료들을 통제·제어하는 \'술(術)\'을 강조한 한(韓)의 신불해(申不害), 그리고 신하가 군주에 복종하는 것은 군주의 세력이지 결코 그의 덕행이나 재능때문이 아니라고 하여 \'세(勢)\'를 강조한 신도(愼到), 그리고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2차 걸친 강력한 개혁을 단행하여 이후 진(秦)의 통일기반을 제공한 상앙(商 ) 역시 법가(法家)로 유명한 인물들이었다.
2.한비자(韓非子)의 사상
위의 여러 법가사상을 총망라하고 집대성한 이로서, 우리는 한비자(韓非子)를 들 수 있다. 전국시대 말기는 한창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한 시기였고, 그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부국강병, 그리고 전쟁에 의한 합병이 중시되던 시기였다. 이런 때, 한비자는 기존의 여러 법가사상들, 즉 술(術)·세(勢)와 법(法)을 통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배를 추구하였다. 법(法)과 술(術)·세(勢)를 통합했다는 것은 법치(法治)의 운영방법으로서 술치(術治)와 세치(勢治)를 병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민(民)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법(法)이 필요하고, 관리를 부리기 위해서는 술(術)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법(法)과 술(術), 그리고 세(勢)는 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이라는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법치(法治)의 기본은 철저하고 엄격한 상벌(賞罰)을 통해 \'사적인 것을 배척하고 공적인 것을 이롭게[排私利公]\'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한비자가 집대성한 법가사상은 이후 진시황(秦始皇)과 이사(李斯)에 의해 실현되어, 진(秦)이 춘추전국시대의 분열상황을 극복하고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는 기틀이 되었다.
6)묵가(墨家)
묵자(墨子)의 사상
묵가(墨家)를 제창한 묵자(墨子)는 일찍이 유가의 학설을 배웠으나, 유가의 형식주의와 불평등성에 반대하여 묵가를 세웠다. 예컨대 공자는 어리석은 군주라도 신하가 잘 보필하면 정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반면, 묵자는 왕위세습을 반대하고 훌륭한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묵가에서는 또한 유가에서 중시하는 예의와 음악을 허례허식의 낭비로 배척하고, 부모의 삼년상 역시 같은 이유로 비난하였다. 그리고 유가의 가족제도 및 인간상호간의 특수한 관계를 중시한 차등적인 사랑[仁]에 반대하여, 인간이 자신을 사랑하듯 다른 사람을 평등애[兼愛]로 사랑할 때 사회의 평화가 온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유가가내세관을 부정한 데 반해, 묵자는 귀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귀신을 모시는 제사가 현세에 축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었다.묵자는 또한 생산활동과 함께 절약[節用]을 강조하면서 정치의 임무를 역설하였는데, 국가부강·인구증가·정치의 공정함을 강조하고, \'백성의 굶주림, 추위에 입을 것이 없는 것, 일하는 자가 쉴 곳이 없는 것\'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묵가의 사상에는 권위주의적 경향이 강하여, 추종자에게 절대 복종을 요구하고 엄격한
훈련을 통해 교단을 강화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절대적인 겸애설과 공리주의, 지나친 금욕주의 등으로 점차 신망을 잃게 되어 차츰 그 힘을 잃어갔다. 결국 현실주의적이며 중용주의적인 중국인들의 성격이 비현실적인 묵가의 사상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유가의 차등애(差等愛)쪽을 선택한 것이다.
.
3. 결론
정치적으로는 군현제를 통한 영역의 직접 지배로 변화해 읍제국가의 붕괴와 영토국가가 출현했다 전국시대 때 7개의 나라로 정리되었고 전국칠웅 이라불렸다 정치적로는 끝없는 상쟁과 하극상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변화는 사람들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에도 많은 영향을주었다
사회적으로는 춘추 중구를 전후해 강대국은 소국을 멸망시킨 후 현을 설치해 직접지배하는 새로운방식전환을 시도함에따라 조상신과 혈연을 매개로한 씨족적질서는 철저히 파괴됨 전국시대가 됨에 따라 종실을 중심으로 분권적 봉건질서가 해체되었다
사회변화를 기초로 등장한 문화 창조의 주역인 사인층이 본격적으로 대두되어 사상적 신경향인 제자백가 사상을 꽃피워, 간부(官府)나 귀족이 독점하고 있던 학문과 지식이 일반 서민들에게까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사상의 자유와 지식의 확대로 인해, 자신의 능력에 따라 습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신분상승을 실현코자 하는 강력한 사회적 욕구가 분출될 수 있었다. 개별국가들이 생존하기위한 일환으로 등장한 사상적신경향인 제자백가가 등으로 문화적인 면에서 가장큰창조력이 발휘되었다
다양한 사상의 출현은 과학기술에도 영향을 미쳐 천문 물리 의학등 많은 분야에서 진보를 이루는 토대가 되었다.
<참고 자료>
1.「신역 제자백가」, 김영주·안길환, 명문당, 1999. pp 9~23.
2.「중국사 통론」, Jacpues Gernet 저·이동윤 역, 법문사.
3. 「신 이야기 중국사1」, 강영수 , 좋은글 2001.
4. 「중국 사상사」, 동경재중국철학연구실, 동녘 1992.
5.「재미있는 제자백가 이야기」, 서현봉 , 박우사, 1994.
6.「중국 철학이야기」, 이영재 , 박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