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결과
2. 문제풀이
3. 논의 및 고찰
2. 문제풀이
3. 논의 및 고찰
본문내용
l / H2O2소비량 이 된다
그런데 여기서 H2O2의 소비량은 먼제 15ml를 증류수에 넣어 500ml을 만든후 이 용액의 10ml 만 사용하였으므로
15 : 500 = X : 10 실제 사용한 값은 0.3ml 가 된다
이를 넣어 풀어 보면
0.0031 * 1000 / 0.3
따라서 H2O2의 농도는 10.34M이 된다.
3.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구하기 위해 과망간산칼륨을 과산화수소에 반응시켜 반응되는 양을 계산하여 구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먼저 이번 실험에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 오차를 줄일려고 했으나 실패 하였다.
표준 과망간산 용액의 농도를 구할 때 0.02 몰이라는 주어진 답이 있었으나 이번 실험결과로 0.0204 라는 값이 나오게 되었다. 물론 어떠한 실험을 할지라도 100%확실한 정답을 구할수 없듯이 우리 조의 실험도 약간의 오차는 나타나게 되었다
아주 미묘한 양이라도 실제 값인 0.02에서 벗어난 이유를 찾아 보기 위해 팀원과 논의를 해 보았다.
먼저 과망간산용액을 Na2C2O4에 떨어뜨릴때를 생각해 보았다.
실험할 때 색이 변하는 시점에서 사용한 용액의 부피를 계산하였고, 이는
과망간산용액이 Na2C2O4과 반응하여 더 이상 반응할수 없는 포화 상태가 되었을때의 시점을 보는 것이다. 더 이상 반응할수 없는 상태가 된 과망간산용액은 투명한 용매에 더 이상 섞이지 못하고 특유의 자줏빛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때까지 사용된 과망간산 용액을 계산하는 거였으나 실험에서와 같이 색이 변한 때는 이미 포화 상태가 넘어선 시점 이므로 반응하지 못하고 용매의 색을 변화 시킨 과망간산용액의 양을 실험한 부피값에서 빼야 했으나 아주 작은 양이며 구할 방법이 없어서 계산에 포함 시키지 못했다. 이점이 이번 실험오차의 한 요인이라 생각된다.
두 번째가 실험조건이다. 실험을 각각 2차례씩 해 보았으나 각각 실험 용매의 온도가 달랐다. 온도계를 꼽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려고 하였으나 그 점이 뜻대로 되지 않아 온도변화가 생겼다. 이렇게 온도변화가 생기게 되면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 운동은 활발하게 되고 그 만큼 반응양이나 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실험에서 약간의 오차를 발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시료의 양을 사용하지 못한점이다. 실험에 주어진 정확한 양의 물질을 사용하여 실험하려고 하였으나 그 양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확한 도두가 없고 메스실린더와 같은 도구로 시료의 양을 측정하여 실험하였다. 이에 실제 사용되어야 할 시료양과 실제 사용한 시료의 양이 조금씩 달랐다고 생각된다.
이 세가지 요인들이 이번 실험에서 오차를 만든 요인이라 생각되었다.
그리고 이번 실험을 통해 얻은 것은 평소 일반화학에서 이론으로만 배웠던 반응식 계산을 실제 실험에서 사용하여 계산해 보았고 이를 통해 반응식이 실제 실험에서 어떤식으로 쓰이는지를 정확히 알게 되었다.
또한 실험을 할때 오차가 발생할수 있으니 실험은 1번으로 그치지 않고 여러번 반복하여 그 값들의 평균값을 구해야 됨을 알수 있었다.
그런데 여기서 H2O2의 소비량은 먼제 15ml를 증류수에 넣어 500ml을 만든후 이 용액의 10ml 만 사용하였으므로
15 : 500 = X : 10 실제 사용한 값은 0.3ml 가 된다
이를 넣어 풀어 보면
0.0031 * 1000 / 0.3
따라서 H2O2의 농도는 10.34M이 된다.
3.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구하기 위해 과망간산칼륨을 과산화수소에 반응시켜 반응되는 양을 계산하여 구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먼저 이번 실험에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 오차를 줄일려고 했으나 실패 하였다.
표준 과망간산 용액의 농도를 구할 때 0.02 몰이라는 주어진 답이 있었으나 이번 실험결과로 0.0204 라는 값이 나오게 되었다. 물론 어떠한 실험을 할지라도 100%확실한 정답을 구할수 없듯이 우리 조의 실험도 약간의 오차는 나타나게 되었다
아주 미묘한 양이라도 실제 값인 0.02에서 벗어난 이유를 찾아 보기 위해 팀원과 논의를 해 보았다.
먼저 과망간산용액을 Na2C2O4에 떨어뜨릴때를 생각해 보았다.
실험할 때 색이 변하는 시점에서 사용한 용액의 부피를 계산하였고, 이는
과망간산용액이 Na2C2O4과 반응하여 더 이상 반응할수 없는 포화 상태가 되었을때의 시점을 보는 것이다. 더 이상 반응할수 없는 상태가 된 과망간산용액은 투명한 용매에 더 이상 섞이지 못하고 특유의 자줏빛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때까지 사용된 과망간산 용액을 계산하는 거였으나 실험에서와 같이 색이 변한 때는 이미 포화 상태가 넘어선 시점 이므로 반응하지 못하고 용매의 색을 변화 시킨 과망간산용액의 양을 실험한 부피값에서 빼야 했으나 아주 작은 양이며 구할 방법이 없어서 계산에 포함 시키지 못했다. 이점이 이번 실험오차의 한 요인이라 생각된다.
두 번째가 실험조건이다. 실험을 각각 2차례씩 해 보았으나 각각 실험 용매의 온도가 달랐다. 온도계를 꼽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려고 하였으나 그 점이 뜻대로 되지 않아 온도변화가 생겼다. 이렇게 온도변화가 생기게 되면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 운동은 활발하게 되고 그 만큼 반응양이나 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실험에서 약간의 오차를 발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시료의 양을 사용하지 못한점이다. 실험에 주어진 정확한 양의 물질을 사용하여 실험하려고 하였으나 그 양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확한 도두가 없고 메스실린더와 같은 도구로 시료의 양을 측정하여 실험하였다. 이에 실제 사용되어야 할 시료양과 실제 사용한 시료의 양이 조금씩 달랐다고 생각된다.
이 세가지 요인들이 이번 실험에서 오차를 만든 요인이라 생각되었다.
그리고 이번 실험을 통해 얻은 것은 평소 일반화학에서 이론으로만 배웠던 반응식 계산을 실제 실험에서 사용하여 계산해 보았고 이를 통해 반응식이 실제 실험에서 어떤식으로 쓰이는지를 정확히 알게 되었다.
또한 실험을 할때 오차가 발생할수 있으니 실험은 1번으로 그치지 않고 여러번 반복하여 그 값들의 평균값을 구해야 됨을 알수 있었다.
추천자료
실험2. pH측정
화학반응속도
화학전지 & 연료전지
[실험보고서] 공중합 & 점도측정 & UV측정
작업환경측정-유기용제의 전처리 및 직독식 기기의 사용
산화환원실험결과
[산화, 광화학산화제, 항산화]산화와 광화학산화제, 산화와 항산화, 산화와 황산화, 산화와 ...
[pH]pH(수소이온지수)의 정의, pH(수소이온지수)와 pH(수소이온지수)실험, pH(수소이온지수)...
산화-환원 적정(과망간산법)
[생물학 실험] 완충액의 제조와 산도 측정
[일반생물학 실험] PH와 완충액 측정 : PH와 완충용액의 정의를 알고, pH의 측정과 완충작용...
[일반화학실험] pH측정 : 산-염기 지시약을 통해 pH를 측정하고, 지시약의 개념과 pH의 원리...
[영양생화학 및 실험] pH미터를 사용한 측정값과 이론적인 pH 계산 값의 비교 : pH meter의 ...
산화-환원 반응: 과망간산법 실험(예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