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4시간 홀터 모니터링
혈압 측정시 오 류 결 과
gtt 계산
시간수
약용량 계산법
IV 잘 놓는 방법
Ventilator Setting
Ventilator 적용 기준
Ventilator weaning 조건
ABGA 실행목적
ABGA 검사방법
ABGA 결과분석
혈압 측정시 오 류 결 과
gtt 계산
시간수
약용량 계산법
IV 잘 놓는 방법
Ventilator Setting
Ventilator 적용 기준
Ventilator weaning 조건
ABGA 실행목적
ABGA 검사방법
ABGA 결과분석
본문내용
횟수
setting은 성인 15~20, 소아 30회, ABGA상 PCO2 38~42 유지를 목표로 호흡
수 조정
③ FiO2 (Fraction of inspired Oxygen 산소농도)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때 산소 농도 조절
21~100%까지 조절할 수 있음
④ Peak inspiratory flow (흡기시 최고유량 조정기)
가스의 최고 흐름속도를 나타내며 보통 45~50
많이 주면 줄수록 흡기시간이 빨라져 볼륨이 빠른 속도로 전달됨
⑤ Sensitivity (민감성)
환자의 호흡을 감지하여 호흡능력을 증감시켜줄 수 있는 기능
수치가 작을수록 예민
⑥ PEEP (호기말 양압)
환자가 숨을 모두 내 쉬었을 때 폐에 양압을 유지시키므로 환자의 폐표면을 확
장시킨 상태에서 Ventilator가 환자의 호흡을 도움
⑦ Alarm
- High pressure limit ; 기도내 압력상한선을 정해줌
기침이나 기도가 막힐 때 fighting 일으킬 때의 안전장치
- Low inspirator prssure ; 기도내 압력의 하안선을 정해주는 안전 장치 폐에
구멍이 나거나 튜브가 새거나 연결이 안되었을 경우 발룬이 샐 때의 안전장치
- High respiration rate ; fight 하거나 헐떡거리거나 객담이 차 있을 경우
호흡 횟수를 감시하는 안전장치 35회/min
Ventilator 적용 기준
Measurement / Indication / Normal Range
호 흡 기 전
Tidal Volume (일회 호흡량) < 5ml/kg 10~15ml/kg
Vital Capacity (폐용량) < 10ml/kg 65~75ml/kg
Respiratory Rate (호흡수) > 35회/min 12~20회/min
Inspiratory Force (흡입력) < -30mmHg -75~-100mmHg
가 스 교 환
PaO2 < 55mmHg 60~100mmHg
PaCO2 > 50mmHg 35~45mmHg
P(A-a)DO2 (폐포/동맥 산소압력의 차이) with 100% O2> 450mmHg 25~65mmHg
Vd/Vt (사강율) > 0.6 0.25~0.40
①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CMV)
호흡운동이 전혀 없거나 미약한 환자에게 일회환기량 및 호흡수 등을 기계적으로 통제하는 방식
호흡시작능력이 있는 환자는 fighting 하게 되어 손상을 입게 되므로 환자를
sedation 시켜 자발호흡을 억제함
② Assist- Controlled Ventilation(ACV)
환자가 흡기를 시도하지만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 환자가 흡기하는 힘을 호흡기계가 감지하여 환자의 흡기를 보조해 주는 방식
③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IMV)
기계적 환기보조를 받으면서 자연호흡을 하고 있는 환자에게 조정해 놓은
호흡수만큼 호흡기계가 강제적으로 환기를 시키는 방식
④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SIMV)
자연호흡을 하는 중간 중간에 호흡기에 미리 정해 놓은 횟수만큼을 환자의
자영호흡에 맞추어 호흡기계가 강제적으로 환기를 시키는 방식
⑤ Pressure Supported Ventilation(PSV)
호흡운동을 감소시키거나 기관내 튜브에 의한 흡기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며, 자연호흡 초기에 환자의 흡기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면 호흡기의 value가 열려 원하는 압력으로 가스가 환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
Ventilator weaning 조건
● 1단계 - 환자상태 안정
① 심리상태 안정적일
setting은 성인 15~20, 소아 30회, ABGA상 PCO2 38~42 유지를 목표로 호흡
수 조정
③ FiO2 (Fraction of inspired Oxygen 산소농도)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때 산소 농도 조절
21~100%까지 조절할 수 있음
④ Peak inspiratory flow (흡기시 최고유량 조정기)
가스의 최고 흐름속도를 나타내며 보통 45~50
많이 주면 줄수록 흡기시간이 빨라져 볼륨이 빠른 속도로 전달됨
⑤ Sensitivity (민감성)
환자의 호흡을 감지하여 호흡능력을 증감시켜줄 수 있는 기능
수치가 작을수록 예민
⑥ PEEP (호기말 양압)
환자가 숨을 모두 내 쉬었을 때 폐에 양압을 유지시키므로 환자의 폐표면을 확
장시킨 상태에서 Ventilator가 환자의 호흡을 도움
⑦ Alarm
- High pressure limit ; 기도내 압력상한선을 정해줌
기침이나 기도가 막힐 때 fighting 일으킬 때의 안전장치
- Low inspirator prssure ; 기도내 압력의 하안선을 정해주는 안전 장치 폐에
구멍이 나거나 튜브가 새거나 연결이 안되었을 경우 발룬이 샐 때의 안전장치
- High respiration rate ; fight 하거나 헐떡거리거나 객담이 차 있을 경우
호흡 횟수를 감시하는 안전장치 35회/min
Ventilator 적용 기준
Measurement / Indication / Normal Range
호 흡 기 전
Tidal Volume (일회 호흡량) < 5ml/kg 10~15ml/kg
Vital Capacity (폐용량) < 10ml/kg 65~75ml/kg
Respiratory Rate (호흡수) > 35회/min 12~20회/min
Inspiratory Force (흡입력) < -30mmHg -75~-100mmHg
가 스 교 환
PaO2 < 55mmHg 60~100mmHg
PaCO2 > 50mmHg 35~45mmHg
P(A-a)DO2 (폐포/동맥 산소압력의 차이) with 100% O2> 450mmHg 25~65mmHg
Vd/Vt (사강율) > 0.6 0.25~0.40
①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CMV)
호흡운동이 전혀 없거나 미약한 환자에게 일회환기량 및 호흡수 등을 기계적으로 통제하는 방식
호흡시작능력이 있는 환자는 fighting 하게 되어 손상을 입게 되므로 환자를
sedation 시켜 자발호흡을 억제함
② Assist- Controlled Ventilation(ACV)
환자가 흡기를 시도하지만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 환자가 흡기하는 힘을 호흡기계가 감지하여 환자의 흡기를 보조해 주는 방식
③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IMV)
기계적 환기보조를 받으면서 자연호흡을 하고 있는 환자에게 조정해 놓은
호흡수만큼 호흡기계가 강제적으로 환기를 시키는 방식
④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SIMV)
자연호흡을 하는 중간 중간에 호흡기에 미리 정해 놓은 횟수만큼을 환자의
자영호흡에 맞추어 호흡기계가 강제적으로 환기를 시키는 방식
⑤ Pressure Supported Ventilation(PSV)
호흡운동을 감소시키거나 기관내 튜브에 의한 흡기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며, 자연호흡 초기에 환자의 흡기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면 호흡기의 value가 열려 원하는 압력으로 가스가 환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
Ventilator weaning 조건
● 1단계 - 환자상태 안정
① 심리상태 안정적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