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물 리 치 료
1. 온열치료
1) 온열의 생리적 효과
2) 적응증 및 금기
3) 표재성 온열요법
4) 심재열 요법: 전열요법(Diathermy)
2. 한랭치료(cryotheraphy)
1) 한랭의 생리적 효과
2) 적용방법
3. 전기치료
1) 경피적 전기 신경자극치료(Transcutaneous electrical merve stimulation: TENS)
2) 전기자극치료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EST)
3)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 FES)
4. massage
1) massage의 요소
2) massage의 효과
3) Massage 종류
5. 운동치료
1) 운동치료의 목적
2) 운동치료 종류
3) 근수축의 종류
4) 운동의 효과
5) 운동처방
6) 근력증진운동
7) 지구력 운동
8) 관절운동 범위 운동
▶수동적 관절운동의 종류
1. 어깨운동
2. 팔꿈치 운동 - 어깨 안쪽으로 구부리기 운동
3. 손목 및 손가락 운동
4. 다리관절운동
5. 발목 및 발가락 운동
6. 몸통 운동방법
참고문헌
1. 온열치료
1) 온열의 생리적 효과
2) 적응증 및 금기
3) 표재성 온열요법
4) 심재열 요법: 전열요법(Diathermy)
2. 한랭치료(cryotheraphy)
1) 한랭의 생리적 효과
2) 적용방법
3. 전기치료
1) 경피적 전기 신경자극치료(Transcutaneous electrical merve stimulation: TENS)
2) 전기자극치료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EST)
3)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 FES)
4. massage
1) massage의 요소
2) massage의 효과
3) Massage 종류
5. 운동치료
1) 운동치료의 목적
2) 운동치료 종류
3) 근수축의 종류
4) 운동의 효과
5) 운동처방
6) 근력증진운동
7) 지구력 운동
8) 관절운동 범위 운동
▶수동적 관절운동의 종류
1. 어깨운동
2. 팔꿈치 운동 - 어깨 안쪽으로 구부리기 운동
3. 손목 및 손가락 운동
4. 다리관절운동
5. 발목 및 발가락 운동
6. 몸통 운동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3.팔을 머리 위로 올린 후 구부린다.
2. 팔꿈치 운동 - 어깨 안쪽으로 구부리기 운동
1.한쪽 손으로 팔꿈치 위를 잡고 다른 손은 손목을 잡는다.
2.팔꿈치를 편채 위로 올리고 조금씩 안쪽으로 구부린다.
3.가슴 위를 지나 더욱 구부린다.
4.서서히 원 위치로 되돌아 온다.
3. 손목 및 손가락 운동
1) 손목운동
1.한쪽 손으로 손목을 잡고 편다.
2.팔꿈치를 구부린다.
2) 손목 앞뒤로 움직이기
1.한쪽 손으로 환자의 손목을 잡고 다른 손으로 엄지손가락 이외의 네 손가락을 잡는다.
2.네 손가락을 펴면서 손목을 뒤쪽으로 구부린다.
3.원위치로 되돌아 온다.
4.손가락을 구부리면서 손목을 앞으로 구부린다.
3) 손목을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움직이기
1.한쪽 손으로 환자의 손목을 잡고, 다른 손은 그림과 같이 잡는다.
2.손목을 반 듯하게 한 다음 새끼손가락으로 구부린다
3.엄지손가락 쪽으로 구부린다.
4) 손가락 운동
1.한쪽 손은 엄지손가락 이외의 네 손가락을 펴서 잡고, 다른 손은 엄지손가락을 구부린다.
2.엄지손가락은 뒤쪽으로 편다.
3.원을 그리듯 엄지손가락을 돌려준다.
4. 다리관절운동
1) 엉덩이관절과 무릎관절운동
1.한쪽 손은 환자의 무름 밑에 넣고 다른 손은 발꿈치 잡는다.
2.다리를 들어 올리면서 무릎을 구부린다.
3.무릎을 가슴 가까이 가도록 구부린다.
4.무릎을 펴고 다리를 올린 다음 원위치로 돌아온다.
2) 고관절 돌리기 운동
1.한쪽 손은 발뒤꿈치를 잡고 다른 손은 무릎아래를 잡아 다리를 올리면서 무릎을 구부린다.
2.무릎아래를 꼭 잡은채 발뒤꿈치를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3.원 위치로 되돌아 온다.
4.이번엔 다리를 잡은채 반대로 안쪽으로 움직여 준다.
3) 엉덩이 관절 벌리기 운동
1.한쪽 손은 환자의 무릎 밑에 넣고 다른 손은 발뒤꿈치를 잡아 무릎을 편채 발뒤꿈치를 약간 들어올린다.
2.들어올린 다리를 바깥쪽으로 벌린다.
3.제자리로 돌아온다.
5. 발목 및 발가락 운동
1) 발목 운동
1.발뒤꿈치를 그림과 같이 잡고 다른 손으로 발목 위를 잡는다.
2.간호인의 팔로 발바닥을 밀면서 발뒤꿈치를 잡아 당겨 발목을 구부린다.
3.손의 힘을 빼고 원위치로 되돌아 온다.
4.발목을 잡은 손을 옮겨 발등을 잡고 발뒤꿈치를 잡은 손은 위로 밀어 올려 발목을 편다.
2) 발목회전운동
1. 한쪽 손은 발끝을, 다른 손은 발목을 잡고 발을 바깥쪽으로 돌린다.
2.반대로 안쪽으로 돌려준다.
1.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밀어준다.
2.발가락을 발바닥을 구부린다.
6. 몸통 운동방법
-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살짝 숙이고 먼저 보호자가 손으로 골반을 앞뒤로 기울이면서 움직인다
- 환자가 그 동작을 반복하여 따라하도록 하고. 이때 목이나 어깨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허리 동작을 증가시
킬 수 있다
- 동작의 속도는 환자 스스로 할 수 있을 정도로 천천히 한다.
- 동작이 익숙해지면 환자 혼자서 스스로 실시하고 책상이나 탁자에 손을 올리고 하면 더욱 정확한 운동을 할수 있다.
- 앞뒤로, 그리고, 좌우로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2) 신장운동(stretching exercise)
신장의 기본원칙은 낮은 강도의 힘으로 시작하여 조금씩 힘을 증가시키며 중단하지 말고 장기간 지속하며 이때 온열요법을 병행하면 신장효과를 높일 수 있다.
9) 신경근육의 협동을 발달시키는 운동치료
이 운동치료의 목적은 감각적 잠재기억과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 뇌에 저장해 두었다가 후에 활동에 사용하는 것이다.
조절과 협응의 기능을 위한 운동은 뇌성마비, 뇌손상, 뇌졸중 등 상부운동신경 단위 병변을 가진 대상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근육활동의 조절은 이미 저장된 잠재기억을 선택하여 그 잠재기억에 저장된 운동을 시작, 지속시키고 원할 때 종결하는 과정으로 추체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10) 기능적 운동
(1) Matress 운동
편마비나 하반신 마비 대상자가 침상 위에서 체위를 변경하고, 좌위에서 균형을 잡고, 그 후 좌위에서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며, 손상된 사지를 스스로 다루도록 돕기 위해 mattress 위에서 이루어지는 운동을 말하여, 동시에 근력증진 운동과 신장운동이 병행되고 협동능력과 기술이 향상된다.
①구르기
②앙와위에서 옆으로 이동하기
③앙와위에서 양손으로 일어나 앉기
④좌위 균형잡기
⑤좌위에서 양팔로 상체 들어올리기
⑥손과 무릎으로 균형잡기
(2) 평행봉 운동
훈련을 통해 좌위에서 균형을 잡으면 대상자를 평행봉에 세워 보행을 위한 준비단계의 운동을 시킨다. 우선 의자나 wheelchair에서 평행봉을 잡고 일어나는 훈련을 먼저 실시한다. 다음은 기립 위에서 균형을 잡고 체중부하의 인내력을 기르고, 체간과 팔을 움직이는 동안 기립균형을 교육한다. 동시에 상지의 push-up 운동을 통해 몸을 들어 올려 상지근력을 증진시킨다.
(3) 보행기
평행봉 다음단계는 네발이 달린 보행기를 이용하여 걷는다. 대상자는 굽이 넓고 낮은 미끄러지지 않는 신을 신는다. 보행기 발에는 고무 팁을 부착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평행봉만큼 안전하지 않으나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cructh 보행
평행봉 안에서 crutch를 잡고 전후 좌우 기립균형을 교육한다. 자세를 교정하며 점차 시간을 늘려 내구력도 증대시킨다. 이 때 넘어진 후 일어서는 동작의 훈련이 수반된다.
(5) 충계 오르기
계단을 오를 때는 체중을 옮기는데 고관절과 슬관절의 신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건측의 손으로 난간을 잡고 다른 손에 crutch나 지팡이를 짚는 것이 안전하다. 하반신 마비와 양하지 절단의 경우 한손은 난간을 잡고 한손에는 두 crutch를 잡고 상체를 밀어올려 오르고, 내려갈 때는 crutch를 한 계단 먼저 내리며 몸을 밀어 올렸다가 내리면서 한 계단씩 내려간다.
(6) 마루에서 넘어지고 일어나기
Crutch 보행 중예기치 않게 넘어질 때를 대비하여 충분히 연습하여 당황치 않고 대비하게 함이다. 넘어지기는 삼각자세에서 양쪽 crutch를 액와에서 빼내어 양옆으로 벌리면서 양손으로 바닥을 짚고 주관절을 굴곡하며 엎드린 자세를 유지한다.
참고문헌
-재활간호/ 소희영/ 현문사/ 1999
2. 팔꿈치 운동 - 어깨 안쪽으로 구부리기 운동
1.한쪽 손으로 팔꿈치 위를 잡고 다른 손은 손목을 잡는다.
2.팔꿈치를 편채 위로 올리고 조금씩 안쪽으로 구부린다.
3.가슴 위를 지나 더욱 구부린다.
4.서서히 원 위치로 되돌아 온다.
3. 손목 및 손가락 운동
1) 손목운동
1.한쪽 손으로 손목을 잡고 편다.
2.팔꿈치를 구부린다.
2) 손목 앞뒤로 움직이기
1.한쪽 손으로 환자의 손목을 잡고 다른 손으로 엄지손가락 이외의 네 손가락을 잡는다.
2.네 손가락을 펴면서 손목을 뒤쪽으로 구부린다.
3.원위치로 되돌아 온다.
4.손가락을 구부리면서 손목을 앞으로 구부린다.
3) 손목을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움직이기
1.한쪽 손으로 환자의 손목을 잡고, 다른 손은 그림과 같이 잡는다.
2.손목을 반 듯하게 한 다음 새끼손가락으로 구부린다
3.엄지손가락 쪽으로 구부린다.
4) 손가락 운동
1.한쪽 손은 엄지손가락 이외의 네 손가락을 펴서 잡고, 다른 손은 엄지손가락을 구부린다.
2.엄지손가락은 뒤쪽으로 편다.
3.원을 그리듯 엄지손가락을 돌려준다.
4. 다리관절운동
1) 엉덩이관절과 무릎관절운동
1.한쪽 손은 환자의 무름 밑에 넣고 다른 손은 발꿈치 잡는다.
2.다리를 들어 올리면서 무릎을 구부린다.
3.무릎을 가슴 가까이 가도록 구부린다.
4.무릎을 펴고 다리를 올린 다음 원위치로 돌아온다.
2) 고관절 돌리기 운동
1.한쪽 손은 발뒤꿈치를 잡고 다른 손은 무릎아래를 잡아 다리를 올리면서 무릎을 구부린다.
2.무릎아래를 꼭 잡은채 발뒤꿈치를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3.원 위치로 되돌아 온다.
4.이번엔 다리를 잡은채 반대로 안쪽으로 움직여 준다.
3) 엉덩이 관절 벌리기 운동
1.한쪽 손은 환자의 무릎 밑에 넣고 다른 손은 발뒤꿈치를 잡아 무릎을 편채 발뒤꿈치를 약간 들어올린다.
2.들어올린 다리를 바깥쪽으로 벌린다.
3.제자리로 돌아온다.
5. 발목 및 발가락 운동
1) 발목 운동
1.발뒤꿈치를 그림과 같이 잡고 다른 손으로 발목 위를 잡는다.
2.간호인의 팔로 발바닥을 밀면서 발뒤꿈치를 잡아 당겨 발목을 구부린다.
3.손의 힘을 빼고 원위치로 되돌아 온다.
4.발목을 잡은 손을 옮겨 발등을 잡고 발뒤꿈치를 잡은 손은 위로 밀어 올려 발목을 편다.
2) 발목회전운동
1. 한쪽 손은 발끝을, 다른 손은 발목을 잡고 발을 바깥쪽으로 돌린다.
2.반대로 안쪽으로 돌려준다.
1.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밀어준다.
2.발가락을 발바닥을 구부린다.
6. 몸통 운동방법
-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살짝 숙이고 먼저 보호자가 손으로 골반을 앞뒤로 기울이면서 움직인다
- 환자가 그 동작을 반복하여 따라하도록 하고. 이때 목이나 어깨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허리 동작을 증가시
킬 수 있다
- 동작의 속도는 환자 스스로 할 수 있을 정도로 천천히 한다.
- 동작이 익숙해지면 환자 혼자서 스스로 실시하고 책상이나 탁자에 손을 올리고 하면 더욱 정확한 운동을 할수 있다.
- 앞뒤로, 그리고, 좌우로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2) 신장운동(stretching exercise)
신장의 기본원칙은 낮은 강도의 힘으로 시작하여 조금씩 힘을 증가시키며 중단하지 말고 장기간 지속하며 이때 온열요법을 병행하면 신장효과를 높일 수 있다.
9) 신경근육의 협동을 발달시키는 운동치료
이 운동치료의 목적은 감각적 잠재기억과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 뇌에 저장해 두었다가 후에 활동에 사용하는 것이다.
조절과 협응의 기능을 위한 운동은 뇌성마비, 뇌손상, 뇌졸중 등 상부운동신경 단위 병변을 가진 대상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근육활동의 조절은 이미 저장된 잠재기억을 선택하여 그 잠재기억에 저장된 운동을 시작, 지속시키고 원할 때 종결하는 과정으로 추체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10) 기능적 운동
(1) Matress 운동
편마비나 하반신 마비 대상자가 침상 위에서 체위를 변경하고, 좌위에서 균형을 잡고, 그 후 좌위에서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며, 손상된 사지를 스스로 다루도록 돕기 위해 mattress 위에서 이루어지는 운동을 말하여, 동시에 근력증진 운동과 신장운동이 병행되고 협동능력과 기술이 향상된다.
①구르기
②앙와위에서 옆으로 이동하기
③앙와위에서 양손으로 일어나 앉기
④좌위 균형잡기
⑤좌위에서 양팔로 상체 들어올리기
⑥손과 무릎으로 균형잡기
(2) 평행봉 운동
훈련을 통해 좌위에서 균형을 잡으면 대상자를 평행봉에 세워 보행을 위한 준비단계의 운동을 시킨다. 우선 의자나 wheelchair에서 평행봉을 잡고 일어나는 훈련을 먼저 실시한다. 다음은 기립 위에서 균형을 잡고 체중부하의 인내력을 기르고, 체간과 팔을 움직이는 동안 기립균형을 교육한다. 동시에 상지의 push-up 운동을 통해 몸을 들어 올려 상지근력을 증진시킨다.
(3) 보행기
평행봉 다음단계는 네발이 달린 보행기를 이용하여 걷는다. 대상자는 굽이 넓고 낮은 미끄러지지 않는 신을 신는다. 보행기 발에는 고무 팁을 부착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평행봉만큼 안전하지 않으나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cructh 보행
평행봉 안에서 crutch를 잡고 전후 좌우 기립균형을 교육한다. 자세를 교정하며 점차 시간을 늘려 내구력도 증대시킨다. 이 때 넘어진 후 일어서는 동작의 훈련이 수반된다.
(5) 충계 오르기
계단을 오를 때는 체중을 옮기는데 고관절과 슬관절의 신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건측의 손으로 난간을 잡고 다른 손에 crutch나 지팡이를 짚는 것이 안전하다. 하반신 마비와 양하지 절단의 경우 한손은 난간을 잡고 한손에는 두 crutch를 잡고 상체를 밀어올려 오르고, 내려갈 때는 crutch를 한 계단 먼저 내리며 몸을 밀어 올렸다가 내리면서 한 계단씩 내려간다.
(6) 마루에서 넘어지고 일어나기
Crutch 보행 중예기치 않게 넘어질 때를 대비하여 충분히 연습하여 당황치 않고 대비하게 함이다. 넘어지기는 삼각자세에서 양쪽 crutch를 액와에서 빼내어 양옆으로 벌리면서 양손으로 바닥을 짚고 주관절을 굴곡하며 엎드린 자세를 유지한다.
참고문헌
-재활간호/ 소희영/ 현문사/ 1999
추천자료
[소아물리치료] cerebral palsy
[물리치료] Injury mechanism
[물리치료] Motor learning and control Contents
[물리치료] Muscular Dystrophy and Spinal Muscular Atrophy 근육성이영양증과 척수의 근육...
[물리치료] 연구방법론
심호흡계 물리치료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피로골절의 물리치료와 재활
근골격계 질환[물리치료]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물리치료사의 역할.
[물리치료학] 정상보행과 편마비보행에 관해
[소아물리치료] 아동의 정상적인 운동발달
[신경계 물리치료 사례연구] 신경계case - 안면마비
[질환별 물리치료] PMD[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질환별 물리치료] 운동신경원 질환과 감각신경원 질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