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긴 경우 정확히 판단하여 지나
치게 압력을 가하여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평소에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헤파린 희석액 주입을 지켜야 하며 사용중에도 헤파린 flushing을 시행해야 한다.
혈전이 생겨 카테터가 막힌 경우는 의사의 지시하에 유로카나제(urokinase) 5000u/ml
를 충분히 push-pull maneuver로 주입하고 30분간 막아둔다. 30분 후에도 뚫리지
않으면 반복한다. 이후 혈액이 나오면 주입했던 양만큼 제거한다.
㉢ 공기 색전이 생길수도 있으며 열려있는 바늘이나 카테터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발생한다. 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빈맥, 저혈압, 호흡부전이 생기며 더 이상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즉시 잠근다. 환자를 왼쪽 측와위로 눕히고 머리를 낮추어 주면 산소
를 공급한다.
㉣ 드물게는 약물의 혈관외 유출이 되기도 한다. 카테터나 바늘의 위치를 자주 살피며
약물주입 전에는 반드시 주사기로 당겨 혈액이 역류되는지 확인하고 약물을
주입하도록 한다.
㉤ 주사기의 사용시 10cc 이하는 압력이 커지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포트의 최대 압력부하가 40psi 이므로 작은주사기 일수록 압력이 커진다.
치게 압력을 가하여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평소에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헤파린 희석액 주입을 지켜야 하며 사용중에도 헤파린 flushing을 시행해야 한다.
혈전이 생겨 카테터가 막힌 경우는 의사의 지시하에 유로카나제(urokinase) 5000u/ml
를 충분히 push-pull maneuver로 주입하고 30분간 막아둔다. 30분 후에도 뚫리지
않으면 반복한다. 이후 혈액이 나오면 주입했던 양만큼 제거한다.
㉢ 공기 색전이 생길수도 있으며 열려있는 바늘이나 카테터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발생한다. 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빈맥, 저혈압, 호흡부전이 생기며 더 이상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즉시 잠근다. 환자를 왼쪽 측와위로 눕히고 머리를 낮추어 주면 산소
를 공급한다.
㉣ 드물게는 약물의 혈관외 유출이 되기도 한다. 카테터나 바늘의 위치를 자주 살피며
약물주입 전에는 반드시 주사기로 당겨 혈액이 역류되는지 확인하고 약물을
주입하도록 한다.
㉤ 주사기의 사용시 10cc 이하는 압력이 커지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포트의 최대 압력부하가 40psi 이므로 작은주사기 일수록 압력이 커진다.
추천자료
중심정맥압
중심정맥압 CVP
전신마취(정맥마취.흡입마취,기관내삽관,동맥혈압,중심정맥압)
동맥압/중심정맥압/ 폐동맥압(ABP/CVP/PAP)
ICU실습기록지(중환자실의 설비 및 기구,Emergency Kit, CPR, 인공호흡기, Shock환자간호, 동...
중심정맥압 측정과 간호
[간호학]중심정맥압 측정 (central venous pressure monitoring) CVP
중심정맥압
[기본간호학][간호술기 정리][관장, 산소요법, 신생검, 기관절개관, ABGA, 중환자실 기구,Eme...
[간호학][CVP][중심정맥카테터]문헌고찰[Central Venous Cathet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