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TIP의 개념 및 역사 2P
2. 봉사료의 개념 및 역사 2P
3. TIP과 봉사료의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2~3P
4. TIP과 봉사료의 차이점
Ⅱ.본론
1. 국내의 TIP문화
2. 국외의 TIP문화
3. 봉사료를 받는 외식업체
4. TIP과 봉사료의 장점과 단점
5. TIP과 봉사료에 대한 사례( 베니건스, AU Bar )
Ⅲ.결론
1. 외식업계에 미치는 영향
2. 나아가야 할 방향
※ 참고 자료
1. TIP의 개념 및 역사 2P
2. 봉사료의 개념 및 역사 2P
3. TIP과 봉사료의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2~3P
4. TIP과 봉사료의 차이점
Ⅱ.본론
1. 국내의 TIP문화
2. 국외의 TIP문화
3. 봉사료를 받는 외식업체
4. TIP과 봉사료의 장점과 단점
5. TIP과 봉사료에 대한 사례( 베니건스, AU Bar )
Ⅲ.결론
1. 외식업계에 미치는 영향
2. 나아가야 할 방향
※ 참고 자료
본문내용
주는 것을 방지 한다.
- 기업에서 급여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단점
- 고객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비자발적으로 내야만 한다.
- 봉사료를 임직원들이 수령하여 직원들의 불만을 가중시킨다.
- 자발적 TIP 문화정착에 방해될 수 있다.
5. TIP과 봉사료에 대한 사례(베니건스, AU)
① 베니건스
TIP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만약 TIP을 받는다면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가?
- TIP은 직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되므로 서비스 질 향상을 가져온다. 만약 TIP을 받는다면 음식값의 10%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많이 받으면 부담스럽고, 적게 받으면 조금 부족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국내의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해외 못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값의 10%가 괜찮다고 생각한다.
외국인한테 TIP을 받은 적이 있는가?
- 99% 받는다. 주말이나 특히 그들의 월급날이 되면 많이 방문한다. 내국인과 다른 TIP에 대한 인식으로 각 개인별로 TIP을 준다. 만약, 5명이 50,000원의 식사를 했을 경우 5,000원씩 각 개인별로 TIP을 주거나 테이블에 놓고 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남은 잔돈을 주는 경우도 있다.
베니건스는 봉사료를 받지 않는데, 봉사료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 봉사료 받는 점에 대해서 애매하다고 생각한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봉사료를 받게 되면 고객이 고급 호텔 레스토랑과 같이 더 많은 서비스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서비스업을 하고, 교육을 받고 행함으로 인해 VAT와 봉사료를 알지만, 가끔 고객 중 VAT와 봉사료를 같은 의미로 알고 계시는 고객들도 있다. 고객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곤 한다.
TIP을 받는 경우 어떻게 하는가?
- 팀원으로 구성되는 섹션제로 일하기 때문에 구성원끼리 분배를 한다. 간단한 회식이나 간식 등 팀원들끼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간혹 TIP을 받자마자 주머니에 넣는 직원이 있는데, 그들에게는 팀원에 대한 예의와 개념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 경우도 있다.
②AU
팁과 봉사료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 가게 운영에 실질적으로 팁과 봉사료는 학술적인 정의랑은 다를 수 있다. 봉사료는 테이블 차지로 들어가는 비용 등을 들 수가 있는데 이 부분은 영업장에서 고객에게 직접 받는 금액이다. 그러나 팁은 고객이 직원에게 직접 주는 것으로 관리부분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테이블 차지는 가게에서 직원에게 재분배 하는 형식이지만 팁은 직원 재량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팁 제도가 없는 국가이므로 팁을 강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외국의 팁은 우리나라 봉사료 라고 생각된다.
팁을 주는 고객의 부류는?
- 외국인들은 거의 100% Bar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간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고가의 술을 마시는 층은 거의 주고 간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기분좋은 손님들, 외국문화를 경험한 손님들은 팁을 잊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단 외국인에 비하면 팁을 주는 빈도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팁과 봉사료는 어떻게 분배 되는가?
- 봉사료의 경우 가게에서 결산하여 직원 인센티브로 들어가게 된다. 팁 같은 경우는 앞에서 말했다 시피 직원 재량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게에서 손대지 않는다. 개인이 가져가도록 되어있다.
Ⅲ.결론
1. 외식업계에 미치는 영향
팁과 봉사료에 대한 장단점이 있듯이 이 둘의 제도는 외식업계에서도 장단점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긍정적인 측면을 보면, 현재 외식업계에서는 저임금으로 인한 직원들의 불만과 인력난을 겪고 있다. 만약 TIP이나 봉사료 제도가 우리나라에 제대로 정착되고, 시행된다면 직원들의 사기도 높아지면서 질 좋은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고, 고객만족까지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문화가 제대로 정착 되지 않는다면 가격에 민감한 고객들은 일명 ‘바가지’라는 불만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고, 직원들은 자신의 봉사에 대한 대가를 일하지 않은 임직원들과 나누어지는 것에서 불만을 초래 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나아가야 할 방향
국내는 아직 TIP 문화에 대해 올바른 인식이 잡혀져 있지 않다. 대부분 주점이나 고급 요식업에서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팁과 봉사료의 이해관계자(고객, 종업원, 기업 등) 각각의 입장에 따라서 요구하는 것, 즉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미래방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TIP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리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win-win전략의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아니면, 고객의 부담은 덜어주고,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고객 유치와 고객만족을 실현하는 차별화된 서비스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해 본다.
※출처
[Tip(정보)] 유럽식당에서 Tip(봉사료) 지불 방법 ([유랑]유럽여행의든든한동반자)
http://blog.naver.com/khs5775?Redirect=Log&logNo=140090314551
http://cafe.daum.net/sbsbcom/OjOc/29
http://blog.naver.com/mstarcom1?Redirect=Log&logNo=80047767340
www.kontv.co.kr (코리아 인터넷 방송)
http://blog.naver.com/coffa?Redirect=Log&logNo=40048887343
KATA 한국일반여행업협회 여행불편처리센터
http://cafe.naver.com/gycci2.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27&
http://www.globalwindow.org
http://puwazaza.com/229
http://blog.yahoo.com/_VPIESC7ZET5V6NOK5IG5C5CZ7A/articles/3492
http://uncle_harry.blog.me/50107949595
http://kousa.tistory.com/1010
http://blog.naver.com/shsuhp?Redirect=Log&logNo=140008089388
- 기업에서 급여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단점
- 고객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비자발적으로 내야만 한다.
- 봉사료를 임직원들이 수령하여 직원들의 불만을 가중시킨다.
- 자발적 TIP 문화정착에 방해될 수 있다.
5. TIP과 봉사료에 대한 사례(베니건스, AU)
① 베니건스
TIP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만약 TIP을 받는다면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가?
- TIP은 직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되므로 서비스 질 향상을 가져온다. 만약 TIP을 받는다면 음식값의 10%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많이 받으면 부담스럽고, 적게 받으면 조금 부족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국내의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해외 못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값의 10%가 괜찮다고 생각한다.
외국인한테 TIP을 받은 적이 있는가?
- 99% 받는다. 주말이나 특히 그들의 월급날이 되면 많이 방문한다. 내국인과 다른 TIP에 대한 인식으로 각 개인별로 TIP을 준다. 만약, 5명이 50,000원의 식사를 했을 경우 5,000원씩 각 개인별로 TIP을 주거나 테이블에 놓고 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남은 잔돈을 주는 경우도 있다.
베니건스는 봉사료를 받지 않는데, 봉사료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 봉사료 받는 점에 대해서 애매하다고 생각한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봉사료를 받게 되면 고객이 고급 호텔 레스토랑과 같이 더 많은 서비스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서비스업을 하고, 교육을 받고 행함으로 인해 VAT와 봉사료를 알지만, 가끔 고객 중 VAT와 봉사료를 같은 의미로 알고 계시는 고객들도 있다. 고객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곤 한다.
TIP을 받는 경우 어떻게 하는가?
- 팀원으로 구성되는 섹션제로 일하기 때문에 구성원끼리 분배를 한다. 간단한 회식이나 간식 등 팀원들끼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간혹 TIP을 받자마자 주머니에 넣는 직원이 있는데, 그들에게는 팀원에 대한 예의와 개념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 경우도 있다.
②AU
팁과 봉사료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 가게 운영에 실질적으로 팁과 봉사료는 학술적인 정의랑은 다를 수 있다. 봉사료는 테이블 차지로 들어가는 비용 등을 들 수가 있는데 이 부분은 영업장에서 고객에게 직접 받는 금액이다. 그러나 팁은 고객이 직원에게 직접 주는 것으로 관리부분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테이블 차지는 가게에서 직원에게 재분배 하는 형식이지만 팁은 직원 재량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팁 제도가 없는 국가이므로 팁을 강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외국의 팁은 우리나라 봉사료 라고 생각된다.
팁을 주는 고객의 부류는?
- 외국인들은 거의 100% Bar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간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고가의 술을 마시는 층은 거의 주고 간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기분좋은 손님들, 외국문화를 경험한 손님들은 팁을 잊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단 외국인에 비하면 팁을 주는 빈도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팁과 봉사료는 어떻게 분배 되는가?
- 봉사료의 경우 가게에서 결산하여 직원 인센티브로 들어가게 된다. 팁 같은 경우는 앞에서 말했다 시피 직원 재량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게에서 손대지 않는다. 개인이 가져가도록 되어있다.
Ⅲ.결론
1. 외식업계에 미치는 영향
팁과 봉사료에 대한 장단점이 있듯이 이 둘의 제도는 외식업계에서도 장단점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긍정적인 측면을 보면, 현재 외식업계에서는 저임금으로 인한 직원들의 불만과 인력난을 겪고 있다. 만약 TIP이나 봉사료 제도가 우리나라에 제대로 정착되고, 시행된다면 직원들의 사기도 높아지면서 질 좋은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고, 고객만족까지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문화가 제대로 정착 되지 않는다면 가격에 민감한 고객들은 일명 ‘바가지’라는 불만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고, 직원들은 자신의 봉사에 대한 대가를 일하지 않은 임직원들과 나누어지는 것에서 불만을 초래 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나아가야 할 방향
국내는 아직 TIP 문화에 대해 올바른 인식이 잡혀져 있지 않다. 대부분 주점이나 고급 요식업에서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팁과 봉사료의 이해관계자(고객, 종업원, 기업 등) 각각의 입장에 따라서 요구하는 것, 즉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미래방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TIP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리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win-win전략의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아니면, 고객의 부담은 덜어주고,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고객 유치와 고객만족을 실현하는 차별화된 서비스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해 본다.
※출처
[Tip(정보)] 유럽식당에서 Tip(봉사료) 지불 방법 ([유랑]유럽여행의든든한동반자)
http://blog.naver.com/khs5775?Redirect=Log&logNo=140090314551
http://cafe.daum.net/sbsbcom/OjOc/29
http://blog.naver.com/mstarcom1?Redirect=Log&logNo=80047767340
www.kontv.co.kr (코리아 인터넷 방송)
http://blog.naver.com/coffa?Redirect=Log&logNo=40048887343
KATA 한국일반여행업협회 여행불편처리센터
http://cafe.naver.com/gycci2.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27&
http://www.globalwindow.org
http://puwazaza.com/229
http://blog.yahoo.com/_VPIESC7ZET5V6NOK5IG5C5CZ7A/articles/3492
http://uncle_harry.blog.me/50107949595
http://kousa.tistory.com/1010
http://blog.naver.com/shsuhp?Redirect=Log&logNo=140008089388
추천자료
스위스의 문화와 관광
외식업체의 TIP과 봉사료 부가세 분석
[A+] 신라호텔, W호텔, 오크우드호텔 객실 비교분석 조사보고서 부티크호텔 레지던스호텔의...
여행계획표 - 미 서부 일주 (6박 8일)
[합격자소서] 한화건설 대졸 신입사원 공채 최종 합격자 자기소개서 유출 한화건설 채용 ...
외식산업론-외식업계의 Tip과 봉사료,팁과 봉사료의 차이점,미국과 한국의 개념, 인식 차이
외식업계-TIP과 봉사료,팁문화,봉사료문화,팁과봉사료,한국사회의문화
[TIP과 봉사료]미국과 한국의 개념, 인식차이,팁과봉사료의차이,팁과 봉사료의 차이점
[외식산업론_팁과봉사료의차이]한국문화의팁,한국문화의봉사료,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