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1 이모티콘의 정의
1.2 이모티콘의 발생 배경
1.3 이모티콘의 발생
Ⅱ 본론
1.1 이모티콘의 특징, 유형
1.1.1 표정의형상화
1.1.2 행동의형상화
1.1.3 사물의형상화
1.2 이모티콘의 효과
1.2.1 순기능
1.2.2 역기능
1.3 이모티콘의 사용실태
1.4 외국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1.4.1 영어권 국가
1.4.2 아시아권 국가
1.4.3 국가별 이모티콘 비교
Ⅲ 결론
이모티콘의 발전방향
◈ 참고 문헌
1.1 이모티콘의 정의
1.2 이모티콘의 발생 배경
1.3 이모티콘의 발생
Ⅱ 본론
1.1 이모티콘의 특징, 유형
1.1.1 표정의형상화
1.1.2 행동의형상화
1.1.3 사물의형상화
1.2 이모티콘의 효과
1.2.1 순기능
1.2.2 역기능
1.3 이모티콘의 사용실태
1.4 외국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1.4.1 영어권 국가
1.4.2 아시아권 국가
1.4.3 국가별 이모티콘 비교
Ⅲ 결론
이모티콘의 발전방향
◈ 참고 문헌
본문내용
ε´) ぶぶぶぶ!
(pдq`)(pд`q)(pдq`)
(ρ_*)(ω#) どぬどぬ
(´ДÅ)ょゎょゎ
(´Д⊂) !
(´;ω;`)
(*´;ェ;`*) うぅ
3) 놀라다
()!!!
Σ(Д○)
ΣΣ(дlll)
Σ(∀;)!
Σ|Д|┌┛☆【びっくらこ!】
(\'A`) (;;Д;;; )
Σq|Д|p Σp(`□´)q !!Σ(;)
工工エエェェ(´Д`)ェェエエ工工
(; )!!三三\( )/三三!!( ;)/ (Д;)!!
표 8 일본의 이모티콘 http://sati.chu.jp/
1.4.3 국가별 이모티콘 비교
a 공통점
언어구조와 자판 문자기호의 차이를 떠나 이모티콘은 보이는 것을 문자로 표현한다는 가장 보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표 9 참고). 문화적인 감각이나 쓰는 이의 기호(嗜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그 근원적인 생성의도를 밝혀보면 모두 공통된 하나의 사고에서 출발한다. 이것을 상형성이라고 한다. 그림이 처음 생겨나 약속된 문자로 자리매김할 때까지 여러 변형된 중간 단계를 거친 것처럼, 이모티콘은 약속된 기호의 수많은 집합체로도 볼 수 있다.
의미
우리나라
미국
기쁨
^ ^
:-)
슬픔
ㅜ ㅜ
;(
난처함
-_-;
:-&
화남
-_-
;-(
놀람
+_+
:-O
표 9 우리나라와 미국의 이모티콘 비교 김진의, 「Multimedia 환경의 새로운 Communication Tool ‘이모티콘(emoticon)’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emoticon\' that is new communication tool of a multimedia environment」, 부산대학교, 2003, p41
b 차이점
영미권과 아시아권의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수직형과 수평형 이모티콘의 구조적인 차이점을 들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영미권은 수평형 이모티콘을, 아시아권은 수직형 이모티콘을 사용한다.
두 번째 차이점으로는 영미권의 경우 감정표현과 함께 인물묘사나 직업묘사와 관련된 이모티콘이 많은 것에 비해, 아시아권은 좀 더 미묘하고 다양한 감정표현과 일상에서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이모티콘이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외국의 경우 클립아트와 같은 그래픽적 재미를 위해 이모티콘을 소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아시아권의 경우 실제 대화에 적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 위주로 발달되어왔기 때문이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동서양의 태도 차이가 이모티콘에 있어서의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동양인들은 대화를 할 때 내용(contents)도 중요시 하지만, 맥락(context)이 어떻게 해석되는가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런데 화자의 감정(emotion)은 메신저나 채팅과 같은 text communication에서는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문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에 관한 메시지 등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이모티콘의 사용률이 높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Ⅲ 결론
이모티콘은 하이퍼텍스트라는 인터넷 상의 유동적인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큰 줄기로 굳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속을 바탕으로 하여 계속 변화할 것이다. 이모티콘은 그 특성상 완전체가 존재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모티콘 역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기 때문에 그 형태의 보편화를 위해 동일한 형태로 합쳐지고 응용될 것이다. 한자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문자체계가 각각 다른 아시아권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이모티콘들이 동일한 형태를 띠는 것과 영미권에서 서서히 세로 형태의 이모티콘이 발견되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하겠다.
이모티콘은 아직 은어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문화마다 세대마다 이모티콘의 의미의 단절이 일어나고 있다. 또 이모티콘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만큼 알아보기 난해하거나, 수용자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이모티콘이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의 언어로 자리매김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따라서 이모티콘이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에서 원활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표준 기호로 통합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이모티콘은 발전되고 확장되는 시기이며 초창기의 은어적 성격을 벗어나고 있다. 우리도 이모티콘의 다양한 효용성을 인식하고 문화나 세대를 넘어서 이모티콘을 하나의 표준 기호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인터넷이 점차 세계를 하나의 통신권으로 묶고 있는 오늘날에 이모티콘은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보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그 중요도가 계속해서 높아질 것이다. 우리가 이모티콘을 이용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편의성을 위한 필수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우리는 이모티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보다 쉽고 많은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단일한 형태로 통합하는 연구를 해 나가야 할 것이다.14) 김진의, 「Multimedia 환경의 새로운 Communication Tool ‘이모티콘(emoticon)’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emoticon\' that is new communication tool of a multimedia environment」, 부산대학교, 2003, p55-58
◈ 참고 문헌
단행본
서은아, 『글쓰기로써 말하기 또는 네티즌의 펌글,댓글,베플,악플,아이디, 그리고 이모티콘의 언어학적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논문
이인숙, 「이모티콘(emoticon)의 감성적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이경아,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이모티콘의 활용과 새로운 이모티콘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2006
김진의, 「Multimedia 환경의 새로운 Communication Tool ‘이모티콘(emoticon)’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emoticon\' that is new communication tool of a multimedia environment」, 부산대학교, 2003
인터넷 사이트
http://www.nutricraze.com
www.surem.com
http://kr.blog.yahoo.com/jhkey03/226
http://sati.chu.jp/
(pдq`)(pд`q)(pдq`)
(ρ_*)(ω#) どぬどぬ
(´ДÅ)ょゎょゎ
(´Д⊂) !
(´;ω;`)
(*´;ェ;`*) うぅ
3) 놀라다
()!!!
Σ(Д○)
ΣΣ(дlll)
Σ(∀;)!
Σ|Д|┌┛☆【びっくらこ!】
(\'A`) (;;Д;;; )
Σq|Д|p Σp(`□´)q !!Σ(;)
工工エエェェ(´Д`)ェェエエ工工
(; )!!三三\( )/三三!!( ;)/ (Д;)!!
표 8 일본의 이모티콘 http://sati.chu.jp/
1.4.3 국가별 이모티콘 비교
a 공통점
언어구조와 자판 문자기호의 차이를 떠나 이모티콘은 보이는 것을 문자로 표현한다는 가장 보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표 9 참고). 문화적인 감각이나 쓰는 이의 기호(嗜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그 근원적인 생성의도를 밝혀보면 모두 공통된 하나의 사고에서 출발한다. 이것을 상형성이라고 한다. 그림이 처음 생겨나 약속된 문자로 자리매김할 때까지 여러 변형된 중간 단계를 거친 것처럼, 이모티콘은 약속된 기호의 수많은 집합체로도 볼 수 있다.
의미
우리나라
미국
기쁨
^ ^
:-)
슬픔
ㅜ ㅜ
;(
난처함
-_-;
:-&
화남
-_-
;-(
놀람
+_+
:-O
표 9 우리나라와 미국의 이모티콘 비교 김진의, 「Multimedia 환경의 새로운 Communication Tool ‘이모티콘(emoticon)’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emoticon\' that is new communication tool of a multimedia environment」, 부산대학교, 2003, p41
b 차이점
영미권과 아시아권의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수직형과 수평형 이모티콘의 구조적인 차이점을 들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영미권은 수평형 이모티콘을, 아시아권은 수직형 이모티콘을 사용한다.
두 번째 차이점으로는 영미권의 경우 감정표현과 함께 인물묘사나 직업묘사와 관련된 이모티콘이 많은 것에 비해, 아시아권은 좀 더 미묘하고 다양한 감정표현과 일상에서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이모티콘이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외국의 경우 클립아트와 같은 그래픽적 재미를 위해 이모티콘을 소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아시아권의 경우 실제 대화에 적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 위주로 발달되어왔기 때문이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동서양의 태도 차이가 이모티콘에 있어서의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동양인들은 대화를 할 때 내용(contents)도 중요시 하지만, 맥락(context)이 어떻게 해석되는가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런데 화자의 감정(emotion)은 메신저나 채팅과 같은 text communication에서는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문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에 관한 메시지 등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이모티콘의 사용률이 높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Ⅲ 결론
이모티콘은 하이퍼텍스트라는 인터넷 상의 유동적인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큰 줄기로 굳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속을 바탕으로 하여 계속 변화할 것이다. 이모티콘은 그 특성상 완전체가 존재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모티콘 역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기 때문에 그 형태의 보편화를 위해 동일한 형태로 합쳐지고 응용될 것이다. 한자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문자체계가 각각 다른 아시아권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이모티콘들이 동일한 형태를 띠는 것과 영미권에서 서서히 세로 형태의 이모티콘이 발견되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하겠다.
이모티콘은 아직 은어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문화마다 세대마다 이모티콘의 의미의 단절이 일어나고 있다. 또 이모티콘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만큼 알아보기 난해하거나, 수용자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이모티콘이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의 언어로 자리매김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따라서 이모티콘이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에서 원활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표준 기호로 통합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이모티콘은 발전되고 확장되는 시기이며 초창기의 은어적 성격을 벗어나고 있다. 우리도 이모티콘의 다양한 효용성을 인식하고 문화나 세대를 넘어서 이모티콘을 하나의 표준 기호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인터넷이 점차 세계를 하나의 통신권으로 묶고 있는 오늘날에 이모티콘은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보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그 중요도가 계속해서 높아질 것이다. 우리가 이모티콘을 이용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편의성을 위한 필수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우리는 이모티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보다 쉽고 많은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단일한 형태로 통합하는 연구를 해 나가야 할 것이다.14) 김진의, 「Multimedia 환경의 새로운 Communication Tool ‘이모티콘(emoticon)’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emoticon\' that is new communication tool of a multimedia environment」, 부산대학교, 2003, p55-58
◈ 참고 문헌
단행본
서은아, 『글쓰기로써 말하기 또는 네티즌의 펌글,댓글,베플,악플,아이디, 그리고 이모티콘의 언어학적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논문
이인숙, 「이모티콘(emoticon)의 감성적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이경아,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이모티콘의 활용과 새로운 이모티콘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2006
김진의, 「Multimedia 환경의 새로운 Communication Tool ‘이모티콘(emoticon)’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emoticon\' that is new communication tool of a multimedia environment」, 부산대학교, 2003
인터넷 사이트
http://www.nutricraze.com
www.surem.com
http://kr.blog.yahoo.com/jhkey03/226
http://sati.chu.jp/
추천자료
인터넷 언어
인터넷 게시판 언어 연구
[보안시스템][무선인터넷 보안시스템][무선인터넷][정보통신기술][인터넷][보안][해킹][해커]...
[사이버공간][인터넷][불온통신규제]사이버공간(인터넷)의 역기능, 사이버공간(인터넷)의 범...
인터넷활용 국어교육자료, 수학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인터넷활용 사회교육자료(교수학습자...
[인터넷검열][온라인업체][프로그램][정보통신윤리위원회]인터넷검열의 정책, 인터넷검열의 ...
[인터넷 정보검색활용]인터넷 정보검색활용과 검색엔진, 인터넷 정보검색활용과 ICT(정보통신...
[벤처기업][사내벤처기업][인터넷벤처기업][바이오벤처기업][정보통신벤처기업]사내벤처기업,...
[인터넷][통신][천리안2.0][두루넷][올레][LG유플러스][LG U+][LGT][SK브로드밴드]천리안2.0,...
무선인터넷의 특징, 무선인터넷의 역사, 무선인터넷의 의의, 무선규격과 WAP규격(무선인터넷...
[인터넷 서비스 공통] 1.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http://www.daum.net을 입력하여 ...
[통신사업자][통신사업자 세계동향][통신사업자 인터넷마케팅]통신사업자의 세계동향, 통신사...
정보통신 윤리, 인터넷 윤리의 개념과 인식, 그리고 실천 방안.pptx
소개글